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국내산 봉독의 어류병원성 세균에 대한 항균활성 = Antimicrobial activity of honeybee venom against fish pathogenic bacteri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67233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양식 넙치의 주요 어병세균인 E. tarda, V. ichthyoenteri와 S. iniae에 대한 국내산 꿀벌로부터 분리한 봉독의 항균활성을 검색하였다. 그 결과 봉독은 폐사 납치로부터 분리한 그람음...

      본 연구에서는 양식 넙치의 주요 어병세균인 E. tarda, V. ichthyoenteri와 S. iniae에 대한 국내산 꿀벌로부터 분리한 봉독의 항균활성을 검색하였다. 그 결과 봉독은 폐사 납치로부터 분리한 그람음성균인 E. tarda, V. ichthyoenteri와 양성균인 S. iniae 모두에서 강한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봉독은 E. tarda와 V. ichthyoenteri에 대하여 최소발육저지농도는 각각 17.6 ㎍/㎖, 1.76 ㎍/㎖였으며, 최소살균농도는 34.6 ㎍/㎖, 6.8 ㎍/㎖, 항균력 지속시간은 5시간, 6시간으로 측정되었다. 또한 그람 양성균인 S. iniae에 대한 최소발육저지농도는 3.49 ㎍/㎖, 최소살균농도는 11 ㎍/㎖였으며, 항균력지속시간은 7시간으로 봉독은 매우 강한 증식 및 살균 억제력을 보였다. 뿐만 아니라, 다양한 pH 조건하에서도 항균활성이 유지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we examined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bee venom isolated from honeybee (Apis mellifera L.) against fish pathogenic bacteria, Edwardsiella tarda, Vibrio ichthyoenteri and Streptococcus iniae of cultured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

      In this study, we examined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bee venom isolated from honeybee (Apis mellifera L.) against fish pathogenic bacteria, Edwardsiella tarda, Vibrio ichthyoenteri and Streptococcus iniae of cultured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vaceus. The bee venom exhibited significant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the both Gram-negative bacteria, E. tarda and V. ichthyoenteri and Gram-positive bacteria, S. iniae.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and minimun bactericidal concentration (MBC) of the bee venom were 17.6 ㎍/㎖, 34.6 ㎍/㎖ against E. tarda., and 1.76 ㎍/㎖, 6.8 ㎍/㎖ against V. ichthyoenteri, respectively. MIC and MBC of the bee venom were 3.49 ㎍/㎖, 11 ㎍/㎖, respectively against S. iniae The postantibiotic effect (PAE) of the bee venom was 5 hr, 6 hr, and 7 hr against E. tarda, V. ichthyoenteri, and S. iniae, respectively. In addition, its antimicrobial activity was stable under various pH conditions. According to these results, the bee venom showed the excellent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the tested pathogenic bacteria.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전봉근, "한약재 추출물에 배양된 유산균 배양액이 양식어류의 사료첨가제로서 성장과 비 특이적 면역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명과학회 19 (19): 87-93, 2009

      2 한상미, "전기충격법으로 채취한 국내산 봉독의 항균효과 (I)" 20 : 53-58, 2005

      3 김성삼, "저수온기 넙치 치어에 있어서 스피룰리나와 아스타잔틴의 사료 내 첨가효과" 한국양식학회 19 (19): 57-63, 2006

      4 강소영, "어류병원성 그람음성세균 Edwardsiella tarda와 Vibrio anguillarum에 대한 칠피의 항균활성물질" 한국어병학회 18 (18): 227-237, 2005

      5 김명석, "양식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에서 분리된 Edwardsiella tarda, Vibrio spp., Streptococcus spp.의 항균제 내성 경향" 한국어병학회 23 (23): 37-45, 2010

      6 성창현, "시판 횟감어류에서의 Vibrio parahaemolyticus 분포 및 항생제 감수성에 관한 연구" 34 : 197-202, 2010

      7 이남실, "생약재 5종 열수추출물의 어류 병원체에 대한 in-vitro 약효와 선택된 한 종(황금)의 넙치에서의 항균효능과 독성시험" 한국어병학회 23 (23): 137-143, 2010

      8 김문호, "봉독요법과 봉침요법" 한국교육기획, 서울 67-141, 1992

      9 서주영, "배합사료에 생약재 첨가가 조피볼락 치어 및 육성어의 성장, 사료 이용성 및 체조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양식학회 22 (22): 112-117, 2009

      10 Choi, M.S, "Survey of drug resistance in Edwardsiella tarda isolated from diseased eels (Anguilla japonica)" 9 (9): 195-201, 1996

      1 전봉근, "한약재 추출물에 배양된 유산균 배양액이 양식어류의 사료첨가제로서 성장과 비 특이적 면역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명과학회 19 (19): 87-93, 2009

      2 한상미, "전기충격법으로 채취한 국내산 봉독의 항균효과 (I)" 20 : 53-58, 2005

      3 김성삼, "저수온기 넙치 치어에 있어서 스피룰리나와 아스타잔틴의 사료 내 첨가효과" 한국양식학회 19 (19): 57-63, 2006

      4 강소영, "어류병원성 그람음성세균 Edwardsiella tarda와 Vibrio anguillarum에 대한 칠피의 항균활성물질" 한국어병학회 18 (18): 227-237, 2005

      5 김명석, "양식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에서 분리된 Edwardsiella tarda, Vibrio spp., Streptococcus spp.의 항균제 내성 경향" 한국어병학회 23 (23): 37-45, 2010

      6 성창현, "시판 횟감어류에서의 Vibrio parahaemolyticus 분포 및 항생제 감수성에 관한 연구" 34 : 197-202, 2010

      7 이남실, "생약재 5종 열수추출물의 어류 병원체에 대한 in-vitro 약효와 선택된 한 종(황금)의 넙치에서의 항균효능과 독성시험" 한국어병학회 23 (23): 137-143, 2010

      8 김문호, "봉독요법과 봉침요법" 한국교육기획, 서울 67-141, 1992

      9 서주영, "배합사료에 생약재 첨가가 조피볼락 치어 및 육성어의 성장, 사료 이용성 및 체조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양식학회 22 (22): 112-117, 2009

      10 Choi, M.S, "Survey of drug resistance in Edwardsiella tarda isolated from diseased eels (Anguilla japonica)" 9 (9): 195-201, 1996

      11 Kwon, Y.B, "Substantial role of locus coeruleus-noradrenergic activation and capsaicin-insensitive primary afferent fibers in bee venom’ anti-inflammatory effect" 55 (55): 197-203, 2006

      12 Han, S.M, "Somatic cell count in milk of bee venom treated dairy cows with mastitis" 1 (1): 104-109, 2009

      13 Chang, H.S, "Prevalence and antimicrobial resistance of Vibrio parahaemolyticus isolated from raw fishes" 34 (34): 197-202, 2010

      14 Matthew, E, "Pharmacodynamics of antimicrobial drugs" 18 : 451-465, 2004

      15 Habermann, E, "On the biochemistry of bee venom peptides, melittin and apamin" 343 (343): 192-203, 1965

      16 Curcio-Vonlanthen, V, "Molecular parameters in melittin immunogenicity" 3 (3): 267-276, 1997

      17 Moon, D.O, "Modulation of melittin-induced hemolysis of erythrocytes" 61 (61): 2116-2124, 1996

      18 Wu, M, "Interaction of the cyclic antimicrobial cationic peptide bactenecin with the outer and cytoplasmic membrane" 274 : 29-35, 1999

      19 Jung, S.H, "In vitro Antimicrobial activity in combination of antibacterials against fishpathogenic bacteria" 13 (13): 45-51, 2000

      20 이은미, "Florfenicol-amoxicillin 혹은 florfenicol-cefuroxime 병용투여시 어류 병원성 세균에 대한 약역학" 대한수의학회 50 (50): 279-284, 2010

      21 Vick, J.A, "Effects of whole bee venom and its fractions (apamin and melittin) on plasma cortisol levels in the dog" 10 (10): 377-380, 1972

      22 Han, S.M, "Effects of honeybee venom supplementation in drinking water on growth performance of broiler chickens" 89 (89): 2396-2400, 2010

      23 Han, S.M, "Effects of bee venom treatment on growth performance of young pigs" WORLD SCIENTIFIC PUBL CO PTE LTD 37 (37): 253-260, 2009

      24 Abbadie, C, "Chronic treatments with aspirin or acetaminophen reduce both the development of polyarthritis and Fos-like immunoreactivity in rat lumbar spinal cord" 57 : 45-54, 1994

      25 Han, S.M, "Biological effects of treatment of an animal skin wound with honeybee (Apis melifera. L) venom" 64 (64): 67-72, 2011

      26 Lee, J.D, "Bee venom and melittin reduce proinflammatory mediators in lipopolysaccharide-stimulated BV2 microglia" ELSEVIER SCIENCE BV 7 (7): 1092-1101, 2007

      27 Han, S.M, "Antibacterial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honeybee(Apis mellifera) venom against acne-inducing bacteria" 4 (4): 459-464, 2010

      28 Yoon, S.Y, "Acupoint Stimulation With Diluted Bee Venom (Apipuncture) Potentiates the Analgesic Effect of Intrathecal Clonidine in the Rodent Formalin Test and in a Neuropathic Pain Model" CHURCHILL LIVINGSTONE 10 (10): 253-263, 2009

      29 김진우, "2005년부터 2007년 사이 양식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 질병에 대한 통계 자료" 한국어병학회 23 (23): 369-377, 2010

      30 조미영, "2005년부터 2006년 사이 우리나라 양식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의 세균성 질병에 대한 역학 조사" 한국어병학회 20 (20): 61-70,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3-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등재후보2차)
      2012-01-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등재유지)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