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Big idea를 중심으로 한 통합형 과학 교육과정 틀 설계 = The Design of Curricular Framework for Integrated Science Education based on Big idea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ig ideas are overarching principles that help students to build a holistic understanding of domain-specific knowledge and assimilate individual facts and theories. This study aims to design a standard-based integrated science curriculum framework bas...

      Big ideas are overarching principles that help students to build a holistic understanding of domain-specific knowledge and assimilate individual facts and theories. This study aims to design a standard-based integrated science curriculum framework based on Big ideas. The core contents were extracted by analysing the 2009 National science standards curriculum of primary and middle schools. Four Big ideas, ``diversity,`` ``structure,`` ``interaction,`` and ``change,`` were generated after the process of examination and categorization or core contents. The scientific facts. disciplinary concepts, and interdisciplinary concepts of every scientific domains included in each Big idea were represented as a knowledge pyramid. Essential questions guiding the direction of curriculum design were proposed on each Big idea. Based on the framework, teaching modules for ``structure`` were developed for grades 5--6.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미화, "통합주제를 중심으로 한 중학교 수준의 통합과학 내용 구성 방안" 19 (19): 204-216, 1999

      2 최일선, "통합교육과정의 효과적 운영" 학지사 2009

      3 Donna, M. W., "통합교육과정의 이론과 실제" 양서원 2003

      4 손연아, "통합과학교육의 방향 설정을위한 이론적 고찰" 19 (19): 41-61, 1999

      5 강호감, "통합과학교육" 한국학술정보 2007

      6 권난주, "융합 및 통합 과학교육 관련 국내 연구 동향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 32 (32): 265-278, 2012

      7 이정모, "미래 융합과학기술의 틀과 인지과학" 1 : 22-42, 2005

      8 Bruner, J. S., "교육의 과정" 배영사 2010

      9 곽병선, "교육과정" 주영 문화사 1983

      10 조희형, "과학론과 과학교육" 교육과학사 1994

      1 최미화, "통합주제를 중심으로 한 중학교 수준의 통합과학 내용 구성 방안" 19 (19): 204-216, 1999

      2 최일선, "통합교육과정의 효과적 운영" 학지사 2009

      3 Donna, M. W., "통합교육과정의 이론과 실제" 양서원 2003

      4 손연아, "통합과학교육의 방향 설정을위한 이론적 고찰" 19 (19): 41-61, 1999

      5 강호감, "통합과학교육" 한국학술정보 2007

      6 권난주, "융합 및 통합 과학교육 관련 국내 연구 동향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 32 (32): 265-278, 2012

      7 이정모, "미래 융합과학기술의 틀과 인지과학" 1 : 22-42, 2005

      8 Bruner, J. S., "교육의 과정" 배영사 2010

      9 곽병선, "교육과정" 주영 문화사 1983

      10 조희형, "과학론과 과학교육" 교육과학사 1994

      11 손연아, "과학과 통합교육과정의 이해와 운영의실제" 4 : 43-77, 2009

      12 교육인적자원부, "과학과 교육과정-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2007-79호(별책 9)"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2007

      13 김남희, "고등학교 ‘과학’ 과목의 생명과학 관련 학습 내용에 관한 과학 융합 요소와 STEAM 요소 분석 및 ‘과학’ 과목의 ‘생명과학Ⅰ’, ‘생명과학Ⅱ’와의 연계성" 한국생물교육학회 40 (40): 121-131, 2012

      14 McTighe. J., "거꾸로 생각하는 교육과정 개발-교사 연수를 위한 워크북" 학지사 2008

      15 Wiggins, G., "Understanding by design" ASCD 2005

      16 Nordine, J., "Transforming energy instruction in middle school to support integrated understanding and future learning" 95 (95): 670-699, 2011

      17 Cervetti, G. N., "The impact of an integrated approach to science and literacy in elementary school classrooms" 49 (49): 631-658, 2012

      18 Morrow, L. M., "The effect of literature-based program integrated into literacy and science instruction with children from diverse backgrounds" 32 (32): 54-76, 1997

      19 Fogarty, R., "Ten ways to integrated curriculum" 49 (49): 61-65, 1991

      20 Duschl, R. A., "Taking science to school: Learning and teaching science in grades K-8(Eds.)" National Academies Press 2007

      21 Sanders, M., "STEM, STEM education, STEM mania" 68 (68): 20-26, 2009

      22 Drake, S. M., "Meeting standards through integrated curriculum" ASCD 2004

      23 Reeves, D., "Making standards work" Center for performance assessment 2002

      24 Rennie, L. J., "Learning science in an integrated classroom : Finding balance through theoretical triangulation" 43 (43): 139-162, 2011

      25 Sanders, M., "Integrative STEM(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nd mathematics)education : contemporary trends and issues" 59 (59): 729-762, 2011

      26 "Integrating nanoscience into virginia’s standards of learning for science. A draft document developed by the mathscience innovation center for use in advocating revisions to the science standards"

      27 Stoddart, T., "Integrating inquiry science and lanuage development for English language learners" 39 (39): 664-687, 2002

      28 Smith, C. L., "Implications of research on children’s learning for standards and assessment : A proposed learning progression for matter and the atomic molecular theory. Focus Article" 14 : 1-98, 2006

      29 Drake, S. M., "Creating standards-based integrated curriculum: Aligning curriculum, content, assessment and instruction" Corwin Press, Inc 2007

      30 Erickson, H. L., "Concept-bas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Corwin Press 2002

      31 Plummer, J. D., "Building a learning progression for celestial motion : Elementary levels from an earth-based perspective" 47 (47): 768-787, 2010

      32 Gehrke, N. J., "A look at curriculum integration from the bridge" 9 (9): 247-260, 1998

      33 National Research Council., "A framework for K- 12 science education: practices, crosscutting concepts, and core ideas" National Academy Press 2010

      34 교육과학기술부, "2009 개정교육과정에 따른과학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1-361호"

      35 윤회정, "2009 개정 교육과정과 융합형 과학 교과서에 대한 고등학교 과학교사들의 인식" 교과교육연구소 15 (15): 757-776,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3-2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in Science Educati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4-2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in Science Education KCI등재
      2007-04-03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87 1.87 1.6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66 1.54 2.133 0.4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