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특집1: 보편과 특수로서의 북한 문학예술, 그 중층적 독해의 가능성 : 북한문학의 정치, 정치의 문학 -『해방후서정시선집』의 정전 재구성을 중심으로- = Politics of North Korean Literature, Literature of Politics-Focusing on re-construction of the canon in “The Anthology After Liber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74394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해방후서정시선집』(1979)을 중심으로 북한의 문학 정전이 어떻게 1970년대 의식으로 재구성되는지 고찰하였다. 애국주의 주제, 사회주의건설 주제, 조국해방전쟁 주제, 조국통일 ...

      이 글은 『해방후서정시선집』(1979)을 중심으로 북한의 문학 정전이 어떻게 1970년대 의식으로 재구성되는지 고찰하였다. 애국주의 주제, 사회주의건설 주제, 조국해방전쟁 주제, 조국통일 주제보다 김일성과 가계 형상 및 혁명전통 주제를 우선 배치하는 방식은 ‘유일사상체계’를 염두에 둔 것이다. 1970년대 작품이 대거 수록된 것은 선집 출간 당시의 시대정신과 동시성을 지닌다. 이는 정치적 움직임이 문학에서 실천되는 양상이면서, 정치.이념적 논리가 문학성에 우선하는 배치방식이었다. 선집은 주체문예이론과 주체문학예술의 과도기형을 보여주었다. 문학사와 평가의 차이를 보여주는 선집 수록 작품과 작가들은 정전형성 과정에서 갈등이 있었음을 보여준다. 1960년대까지는 대개 합의를 보여주지만, 1970년대 작품들은 대개 문학사 평가에서 누락되기 때문이다. 이는 갈등과 논쟁이 북한 문학장에 존재하는 양상이면서, 문학사와 선집의 아비투스 투쟁으로 볼 수 있다. 종합해 보자면, 1970년대 의식으로 재배치된 선집은 북한이 독자적인 문학예술 지평을 확립하려는 의도를 실천하는 행위 중 하나였다. 역사적 단계를 대표하는 서정시를 종합하고 정리했다는 측면에서 정전의 성격을 함유하고 있으며, 주체문학의 전형으로 생산되고 소비될 준비를 했다고 볼 수 있다. 선집은 편찬자의 관심과 이해가 반영되어 있지만, 출판과정은 텍스트 외부의 요건들과 삼투함으로써 당대의 문학장과 정치·이념적 환경과 복합적으로 작용하였던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paper, by studying the canon formation process focusing on “The Anthology After Liberation(1979)” of North Korea, there is a purpose to clarify the embodiment of the new paradigm of ‘Juche literature’ age in the course of reorganizing ...

      In this paper, by studying the canon formation process focusing on “The Anthology After Liberation(1979)” of North Korea, there is a purpose to clarify the embodiment of the new paradigm of ‘Juche literature’ age in the course of reorganizing into the literary field of the 1970s. The 551-page anthology contains 109 poets and 177 poems. All is listed without headings, not classified according to subjects. There seems to be no rule for editing. But all the poems in the anthology are ordered thematically. It is the internal system of classification used in the anthology. Besides, two topics, literature for shaping chieftain figure and the theme of the revolutionary tradition, outmeasure and are placed above others in the anthology. This is based on monolithic ideology system, and it`s a literary action reflecting the times and circumstances when the anthology was published. It takes all factors to make a structural system of the anthology. The anthology is a transitional type of ‘Juche literary theory’ and ‘Juche literature and arts.’ Here are differences between the anthology and histories of literature. Many poems and poets in the anthology are omitted from histories of literature. This aspect implies a conflict and an altercation between two. Two have a meeting of minds in the list of poems and poets until the 1960s, not after the 1970. The publishing the anthology cannot be fully understood outside of their social, cultural and political contexts. Overall, the anthology rearranged into the spirit of the 1970s, bespeaks the intention that North Korea would like to establish its own independent prospect for literature and arts. It contains the canonical character preparing to be produced and consumed into a typical ‘Juche literatur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류만, "현대조선시문학연구" 사회과학출판사 1988

      2 김일성, "혁명적문학예술을 창작할데 대하여(1964.11.7. 문학예술부문일군들앞에서한 연설)" 조선로동당출판사 1978

      3 문예출판사, "해방후서정시선집" 문예출판사 1979

      4 하루오 시라네, "창조된 고전" 소명출판 2002

      5 김정일, "주체문학론" 조선로동당출판사 1992

      6 조선중앙통신사, "조선중앙년감" 조선중앙통신사 1980

      7 사회과학원 문학연구소, "조선문학통사 : 현대문학 편" 인동 1988

      8 사회과학원 문학연구소, "조선문학사 1959-1975" 백과사전출판사 1977

      9 사회과학원 문학연구소, "조선문학사 1945-1958" 백과사전출판사 1978

      10 천재규, "조선문학사 14" 사회과학출판사 1996

      1 류만, "현대조선시문학연구" 사회과학출판사 1988

      2 김일성, "혁명적문학예술을 창작할데 대하여(1964.11.7. 문학예술부문일군들앞에서한 연설)" 조선로동당출판사 1978

      3 문예출판사, "해방후서정시선집" 문예출판사 1979

      4 하루오 시라네, "창조된 고전" 소명출판 2002

      5 김정일, "주체문학론" 조선로동당출판사 1992

      6 조선중앙통신사, "조선중앙년감" 조선중앙통신사 1980

      7 사회과학원 문학연구소, "조선문학통사 : 현대문학 편" 인동 1988

      8 사회과학원 문학연구소, "조선문학사 1959-1975" 백과사전출판사 1977

      9 사회과학원 문학연구소, "조선문학사 1945-1958" 백과사전출판사 1978

      10 천재규, "조선문학사 14" 사회과학출판사 1996

      11 최형식, "조선문학사 13" 사회과학출판사 1999

      12 리기주, "조선문학사 12" 사회과학출판사 1999

      13 김선려, "조선문학사 11" 사회과학출판사 1994

      14 오정애, "조선문학사 10" 사회과학출판사 1994

      15 박종원, "조선문학개관 2" 사회과학출판사 2010

      16 김대행, "쟝르로 본 북한의 시가문학" 1986

      17 최성욱, "우리 당의 주체사상과 사회주의적 애국주의" 조선로동당출판사 1966

      18 "신년사"

      19 김경훈, "북한시학의 형성과 사회주의 문학" 소명출판 2013

      20 남원진, "북조선 시문학 연구를 위한 제언" 한국현대문학회 (41) : 83-140, 2013

      21 고규진, "문학정전" 연세대학교 출판문화원 2012

      22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문학예술사전 하"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1993

      23 김정일, "김정일선집 증보판 2" 조선로동당출판사 2009

      24 김정일, "김정일선집 7" 조선로동당출판사 1996

      25 김정일, "김정일선집 5" 조선로동당출판사 1995

      26 김정일, "김정일선집 2" 조선로동당출판사 1993

      27 김정일, "김정일선집 1" 조선로동당출판사 1992

      28 김일성, "김일성전집 22" 조선로동당출판사 1998

      29 Brooks, L. W., "Effects on Headings on Text Processing" 75 (75): 1983

      30 Lorch, R. F., "Effects of Signaling Topic Stucture on Text Recall" 85 (85): 1993

      31 Klusewitz, M. A., "Effects of Headings and Familiarity with a Text on Strategies for Searching a Text" 28 (28): 2000

      32 Peer, Willie van, "Canon Formation : Ideology or Aesthetic Quality?" 36 (36): 1996

      33 Altieri, Charles, "An Idea and Ideal of a Literary Canon" 10 (10): 1983

      34 Rajagopalan, Kanavillil, "Aesthetics vs. Ideology : the case of canon formation" 37 (37): 1997

      35 문화전선사, "15해방사주년기념출판 시집" 문화전선사 194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2 0.92 0.9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7 0.92 1.76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