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웹 소설 기반 오디오 콘텐츠의 선호 요인 연구 : 네이버 오디오 클립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referred Factors of Audio Content Based on Web Novels: Focusing on NAVER Audio Clip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1943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2020년 듣는 SNS ‘클럽하우스(Clubhouse)’의 급부상으로 인하여 최근 오디오 기반 콘텐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동안 ‘넷플릭스’, ‘유튜브’, ‘틱톡’ 등의 동영상 콘텐츠의 급...

      2020년 듣는 SNS ‘클럽하우스(Clubhouse)’의 급부상으로 인하여 최근 오디오 기반 콘텐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동안 ‘넷플릭스’, ‘유튜브’, ‘틱톡’ 등의 동영상 콘텐츠의 급격한 성장에 비해 대중들에게 소외되었던음성 기반의 콘텐츠들은 ‘애플’, ‘아마존’, ‘구글’ 등과 같은 세계적인 플랫폼 기업들이 오디오 콘텐츠에 적극적으로참여하며 그 시장은 확대되고 있다. 국내 플랫폼 기업인 ‘카카오’는 2021년 7월 음성 기반 소셜미디어 <음(mm)>을 출시하였고 글쓰기 플랫폼인 <브런치>에 라디오를 연계하였다. ‘네이버’ 역시 최근 <나우>, <바이브>, <오디오클립> 등의 조직을 모아 사내 독립 기업인 <튠 CIC>를 설립하고 오디오 시장 공략을 가시화하는 한편, 이미 제공 중이던 <오디오 라이브>, <도슨트>, <오디오 클립> 서비스에 이어 웹툰, 도서, 전시회 등의 기존 시각적인 이미지 중심 콘텐츠에 오디오 콘텐츠를 결합하는 새로운 사업에 적극적으로 뛰어들고 있다. 이러한 오디오 기반 콘텐츠의 성장 배경에는 기존 텍스트 중심의 원천 콘텐츠가 중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현재 서비스되고 있는 네이버 오디오 클립의 랭킹에 올라와 있는 채널들을 분석한 결과 대다수의 인기 오디오 채널들은 웹 소설을 기반으로제작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웹 소설을 기반으로 한 오디오 채널의 선호 요인을 확인하기 위하여 설문조사와 AHP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웹 소설을 기반으로 한 오디오 채널의 주요 선호 요인은 원천 콘텐츠인 웹 소설에서는 느낄 수 없는 전문 성우들을 통한 극의 몰입감과 현장감 그리고 ‘멀티태스킹(Multitasking)’에 있어 시각적인 콘텐츠 보다 높은 집중도를 바탕으로 원천 콘텐츠와의 상호 시너지 효과 때문이다. 즉, 오디오 콘텐츠의 미디어적 특성과 기존의 시각 위주로 구성된 원천 콘텐츠에 집중하여 즐길 수 없었던 사용자들에게 일상생활을 방해받지 않으면서도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장소에서 콘텐츠를즐길 수 있는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Transmedia storytelling)’ 요소를 통해 콘텐츠가 확장되었기 때문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terest in audio-based content has recently increased due to the rapid rise of SNS “Clubhouse”to be heard in 2020. Voice-based content, which has been alienated from the public comparedto the rapid growth of video content such as Netflix, YouTube...

      Interest in audio-based content has recently increased due to the rapid rise of SNS “Clubhouse”to be heard in 2020. Voice-based content, which has been alienated from the public comparedto the rapid growth of video content such as Netflix, YouTube, and TikTok, is expanding asworld-class platform companies such as Apple, Amazon, and Google actively participate in audiocontent. Kakao, a domestic platform company, launched voice-based social media <MM> in July2021 and linked the radio to the writing platform <Brunch>. Naver is also actively engaged in anew business that combines audio content with existing visual image-oriented content such aswebtoons, books, and exhibitions, following the already provided audio live, docent, and audioclip services, while establishing an in-house independent company, Tune CIC. In the backgroundof the growth of audio-based content, existing text-oriented source content plays a central rol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hannels listed on the ranking of Naver audio clips currently inservice, it was confirmed that most of the popular audio channels were produced based on webnovels. In this study, a survey and AHP analysis were conducted to identify the preferred factorsof audio channels based on existing web novel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main preferredfactors of audio channels based on web novels are the immersion and realism of the play throughprofessional voice actors who cannot be felt in web novels, and mutual synergy with the originalcontent based on higher concentration than visual content. In other words, the content has beenexpanded through the “Transmedia storytelling” element, which allows users to enjoy content inthe form, time, and place they want without being disturbed by their daily liv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2. 네이버 <오디오 클립> 3. 연구 문제 및 선행 연구 검토 4. 오디오 콘텐츠의 선호 요인 분석 5. 결론
      • 1. 서론 2. 네이버 <오디오 클립> 3. 연구 문제 및 선행 연구 검토 4. 오디오 콘텐츠의 선호 요인 분석 5. 결론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남정은, "트랜스미디어 콘텐츠 유형에 관한 연구"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20) : 23-49, 2015

      2 류철균,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이해"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34-, 2015

      3 김은비, "코로나發 집콕에… ‘전자책 플랫폼’ 성장세 쑥쑥"

      4 지한구, "오디오북과 소설의 관련 양상 분석을 통한 오디오북 텍스트 수용 방향"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65 (65): 991-1017, 2017

      5 안현우, "오디오북 인식 및 흥행 요인 연구 : 멀티태스킹 요인과 매체별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출판학회 47 (47): 5-29, 2021

      6 윤덕환, "오디오북 관련 인식 조사" 6-7, 2019

      7 서정민, "오디오 시네마, 오디오 드라마, 들어보셨나요?"

      8 조희영, "상호텍스트성에 기반한 트랜스미디어 콘텐츠 기획 유통 전략 연구- 드라마와 웹툰 연계 콘텐츠를중심으로 -”" 중앙대학교 2019

      9 이윤아, "국내 오디오북 이용의 특성에 관한 연구이용행태, 동기, 만족도 및 재이용 의사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2021

      10 최지연, "‘오디오’ 키워라… 네이버 카카오, 창작자 육성 투자 확대"

      1 남정은, "트랜스미디어 콘텐츠 유형에 관한 연구"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20) : 23-49, 2015

      2 류철균,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이해"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34-, 2015

      3 김은비, "코로나發 집콕에… ‘전자책 플랫폼’ 성장세 쑥쑥"

      4 지한구, "오디오북과 소설의 관련 양상 분석을 통한 오디오북 텍스트 수용 방향"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65 (65): 991-1017, 2017

      5 안현우, "오디오북 인식 및 흥행 요인 연구 : 멀티태스킹 요인과 매체별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출판학회 47 (47): 5-29, 2021

      6 윤덕환, "오디오북 관련 인식 조사" 6-7, 2019

      7 서정민, "오디오 시네마, 오디오 드라마, 들어보셨나요?"

      8 조희영, "상호텍스트성에 기반한 트랜스미디어 콘텐츠 기획 유통 전략 연구- 드라마와 웹툰 연계 콘텐츠를중심으로 -”" 중앙대학교 2019

      9 이윤아, "국내 오디오북 이용의 특성에 관한 연구이용행태, 동기, 만족도 및 재이용 의사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2021

      10 최지연, "‘오디오’ 키워라… 네이버 카카오, 창작자 육성 투자 확대"

      11 유수현, "MZ세대 주목받는 ‘오디오 플랫폼’, 네이버·카카오도 출사표"

      12 Pratten, R, "Getting Started in Transmedia Storytelling: A Practical Guide for Beginners" CreateSpace 4-,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3-2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문화와 융합 -> 문화와융합 KCI등재
      2022-03-16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Culture and Convergence -> The Society of Korean Culture and Convergence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4-03-04 학회명변경 한글명 : 문학과언어학회 -> 한국문화융합학회
      영문명 : Munhak Kwa Eoneo Hakhoi -> The Korean Society of Culture and Convergence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