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졸업학년 간호대학생의 전문직관, 공감능력이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 Influence of Nursing Professionalism, Empathic Ability on Communication Ability in Senior Nursing Stud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60147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졸업학년 간호대학생의 전문직관, 공감능력이 의사소통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자는 8개 대학 간호학과 4학년에 재학 중인 학생 393명이...

      본 연구는 졸업학년 간호대학생의 전문직관, 공감능력이 의사소통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자는 8개 대학 간호학과 4학년에 재학 중인 학생 393명이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18.0으로 상관관계,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의사소통능력은 형제자매여부, 전공만족, 시뮬레이션 실습여부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공감능력은 입학동기와 전공만족도에 따라, 전문직관은 성별, 전공만족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의 의사소통능력은 전문직관의 하부요소인 전문직 자아개념(r=.410, p<.001), 간호의 전문성(r=.413, p<.001), 간호실무의 역할(r=.432, p<.001)과 공감능력의 하부 요소인 인지공감능력(r=.514, p<.001), 정서공감능력(r=.417, p<.001)이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의사소통능력 영향 요인은 인지공감능력이 가장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β=.261, t=4.930), 간호실무의 역할, 간호의 독자성, 감정공감능력의 영향력이 40.7%로 나타났다(F=66.682, p<.001). 따라서 졸업학년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을 예측할 수 있는 중요 변인으로 공감능력과 전문직관의 간호실무역할과 간호의 독자성이 확인되었다. 이에 의사소통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공감능력 배양과 확고한 간호실무의 역할과 간호의 독자성을 확립할 수 있는 간호교육 프로그램 개발할 것을 제안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done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professionalism, empathy, on communication ability in 4th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 The subject was consisted of 393 senior nursing student.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December, 1 to December, 22...

      This study was done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professionalism, empathy, on communication ability in 4th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 The subject was consisted of 393 senior nursing student.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December, 1 to December, 22, 2013.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with IBM SPSS Statistics version 18.0. The professionalism score of subjects was 3.68 out of perfect score 5, cognitive-empathic ability score of subjects was 3.63, emotional- empathic ability score was 3.72 out of perfect score 5, communication ability score of subjects was 3.58 out of perfect score 5. A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for nursing professionalism, empathy, communication ability. The strongest predictor of communication ability was cognitive-empathy, the role of nursing service, originality of nursing, emotional- empathy. Theses finding indicate that there is need to increase emphatic ability, nursing professionalism to improve communication ability of senior nursing student. The results should be reflected in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curricula.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나현숙, "환자-의사 커뮤니케이션 개선을 위한 의사코칭 모델 개발" 한국콘텐츠학회 13 (13): 331-340, 2013

      2 김수관, "치위생(학)과 학생의 전공만족도와 전문직관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12 (12): 248-255, 2012

      3 함연숙, "졸업학년 간호학생이 지각하는 간호전문직관 영향 요인" 한국간호교육학회 17 (17): 538-546, 2011

      4 장선숙, "정서적 공감을 위한 의사소통 기술과 임상수행평가 - 학업성취도와의 관계: 일개 의학전문대학원 자료를 중심으로" 한국의학교육학회 22 (22): 121-130, 2010

      5 김선주, "일부 치위생 전공 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과 공감능력이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치위생과학회 13 (13): 304-313, 2013

      6 이혜범, "유방암 환자들의 치료과정에서 환자-의사 관계의 관계적 체험과 의미 탐색: 감정 체험과 인지적 관점을 바탕으로" 한국교육인류학회 16 (16): 177-205, 2013

      7 원정숙, "소집단 역동을 이용한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 훈련프로그램의 효과" 동서간호학연구소 14 (14): 60-66, 2008

      8 오원옥, "보건의료 및 복지 전공 대학생의 다문화 지식, 공감, 문화적 민감성에 관한 연구" 한국학교보건학회 23 (23): 192-199, 2010

      9 픽은희, "다문화 교육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역량, 공감 능력,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과학회 43 (43): 690-696, 2013

      10 고영지, "간호학생의 간호전문직관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 한국간호교육학회 17 (17): 62-71, 2011

      1 나현숙, "환자-의사 커뮤니케이션 개선을 위한 의사코칭 모델 개발" 한국콘텐츠학회 13 (13): 331-340, 2013

      2 김수관, "치위생(학)과 학생의 전공만족도와 전문직관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12 (12): 248-255, 2012

      3 함연숙, "졸업학년 간호학생이 지각하는 간호전문직관 영향 요인" 한국간호교육학회 17 (17): 538-546, 2011

      4 장선숙, "정서적 공감을 위한 의사소통 기술과 임상수행평가 - 학업성취도와의 관계: 일개 의학전문대학원 자료를 중심으로" 한국의학교육학회 22 (22): 121-130, 2010

      5 김선주, "일부 치위생 전공 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과 공감능력이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치위생과학회 13 (13): 304-313, 2013

      6 이혜범, "유방암 환자들의 치료과정에서 환자-의사 관계의 관계적 체험과 의미 탐색: 감정 체험과 인지적 관점을 바탕으로" 한국교육인류학회 16 (16): 177-205, 2013

      7 원정숙, "소집단 역동을 이용한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 훈련프로그램의 효과" 동서간호학연구소 14 (14): 60-66, 2008

      8 오원옥, "보건의료 및 복지 전공 대학생의 다문화 지식, 공감, 문화적 민감성에 관한 연구" 한국학교보건학회 23 (23): 192-199, 2010

      9 픽은희, "다문화 교육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역량, 공감 능력,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과학회 43 (43): 690-696, 2013

      10 고영지, "간호학생의 간호전문직관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 한국간호교육학회 17 (17): 62-71, 2011

      11 정계선, "간호대학생의 학습유형과 비판적 사고성향이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간호교육학회 19 (19): 413-422, 2013

      12 김경숙, "간호대학생의 전문직 자아개념에 관한 연구" 한국자료분석학회 13 (13): 1991-2001, 2011

      13 지은주,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 의사소통능력과 문제해결능력" 한국간호교육학회 19 (19): 571-579, 2013

      14 박광옥,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스트레스, 자아개념 및 정신건강" 한국자료분석학회 15 (15): 2149-2163, 2013

      15 이은경, "간호대학생의 성별에 따른 간호전문직관,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의 비교" 한국자료분석학회 15 (15): 2135-2148, 2013

      16 양선이, "간호대학생의 공감 능력과 문화적 역량과의 관계" 한국간호교육학회 19 (19): 183-193, 2013

      17 손행미, "간호대학 학부과정 의사소통 교과목 현황 및 분석" 한국간호교육학회 17 (17): 426-434, 2011

      18 박정혜, "간호교육에서 인성교육의 필요성" 한국자료분석학회 15 (15): 3321-3332, 2013

      19 임승주, "「사티어 의사소통 교육」에 참여한 간호대학생들의 의사소통과 인간관계 변화 경험" 한국간호교육학회 19 (19): 151-162, 2013

      20 Gofton, W., "What we don’t know we are teaching : Unveiling the hidden curriculum" 449 : 20-27, 2006

      21 Foronda, C., "Use of virtual clinical simulation to improve communication skills of baccalaureate nursing students : A pilot study" 34 (34): 53-57, 2014

      22 Gallese, V., "The roots of empathy" 36 : 171-180, 2003

      23 Roger, D., "The role of emotion control and emotional rumination in stress management training" 2 (2): 119-132, 1995

      24 Ward, J., "The empathy enigma : An empirical study of decline in empathy among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28 (28): 34-40, 2009

      25 Blair, R. J. R., "Responding to the emotions of others : Dissociating forms of empathy through the study of typical and psychiatric populations" 14 (14): 698-718, 2005

      26 Ward, J.,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Jefferson scale of empathy in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17 (17): 73-88, 2009

      27 Kim, C. J., "Patient-experience comes"

      28 Herdman, E. A., "Nursing in a post emotional society" 5 (5): 95-103, 2004

      29 Bjorkstrom, M. E., "Is the humanistic view of the nurse role still alive in spite of an academic education?" 54 : 502-510, 2006

      30 Trenholm, S., "Interpersonal communication" Wadsworth Publishing Company 2000

      31 Hultman, C. S., "Get on your boots : Preparing fourth-year medical students for a career in surgery, using a focused curriculum to teach the competency of professionalism" 177 : 217-223, 2012

      32 Faul, F., "G*Power 3 :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power analysis program for the social, behavior, and biomedical sciences" 39 (39): 175-191, 2007

      33 Penz, K. L., "Evidence-based nursing in clinical practice : Implications for nurse educators" 37 : 250-254, 2006

      34 Tanzia, S., "Enhancing the empathic connection: Using action methods to understand conflicts in end-of-life care" 1 (1): 14-21, 2014

      35 Davis, M. H., "Empathy: A social psychological approach" Westview Press 1996

      36 Santo, L. D., "Empathy in the emotional interactions with patients. Is it positive for nurses too?" 4 (4): 74-81, 2014

      37 Penprase, B., "Empathy as a determining factor for nursing career selection" 52 (52): 192-197, 2013

      38 Williams, J., "Empathy and nurse education" 30 : 752-755, 2010

      39 Park, S. H., "Empathy and empathic understanding" Wonmisa 1994

      40 Chakrabarti, B., "Empathizing: Neurocognitive developmental mechanisms and individual differences" Elsevier 2006

      41 Kramer, U. M., "Emotional and cognitive aspects of empathy and their relation to social cognition-An fMRI-study" 1311 : 110-120, 2010

      42 Antiel, R. M., "Duty hour recommendations and implications for meeting the ACGME core competencies: Views of residency directors" 86 (86): 85-191, 2011

      43 Yoon, E. J., "Development of a nursing professional value scale" 35 (35): 1091-1100, 2005

      44 Chaffin, A. J., "Creating empathy through use of a hearing voices" 9 : 293-304, 2013

      45 Kirk, T. W., "Beyond empathy : Clinical intimacy in nursing practice" 8 : 233-243, 2007

      46 Zachariae, R., "Association of perceived physician communication style with patient satisfaction, distress, cancer-related selfefficacy and perceived control over the disease" 88 : 658-665, 2003

      47 Bryant, B. K., "An index of empathy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53 : 413-425, 1982

      48 Keeling, J., "An exploratory study: Student nurses’ perceptions of professionalism" 13 : 18-22, 2013

      49 Ouzouni1, C., "An exploratory study of student nurses’ empathy" 6 (6): 534-552, 2012

      50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Accreditation manual for nursing education"

      51 Ahn, J. E., "A study on the image of nurses recognized by university students" 45 : 45-59, 2011

      52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al Institute, "A study on the developmental of life-skills: communication, problem solv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al Institute 2003

      53 Lichez, S. D., "A standardized patient model to teach and assess professionalism and communication skills: The effect of personality type on performance" 71 (71): 297-301, 2014

      54 Brunero, S., "A review of empathy education in nursing" 17 : 65-74, 2010

      55 주미경, "3년제 간호학 전공 남학생과 여학생이 지각한 간호이미지와 간호전문직관" 한국간호교육학회 18 (18): 510-521, 20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6 1.26 1.1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5 0.98 0.956 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