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어 읽기능력 요인들의 구조적 관계 =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n Korean Reading Comprehens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78286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investigate (1) which phonological variation is different in Korean word recognition, (2) which components is a strong predictor for Korean reading comprehension and (3) what is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of v...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investigate (1) which phonological variation is different in Korean word recognition, (2) which components is a strong predictor for Korean reading comprehension and (3) what is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of variable having a possible impact on Korean reading comprehension. In order to accomplish this research purpose, Korean reading comprehension and word recognition were used respectively. The tasks of word recognition consisted of nasalization, palatalization, liquidization, and reinforcement. Data sources were from 86 foreigners. The Paired-sample T-test showed that nasalization is the highest score among four types of phonological rules. Regression analysis found that liquidization is a strong predictor for Korean reading comprehension. SEM identified that liquidiz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for Korean reading comprehension. Finally, theoretical implication is that these findings are consistent with the simple view of reading that word recognition contributes a significant amount of unique variance for reading comprehens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음운현상을 고려한 단어인지 능력 측정과 한국어 읽기학습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 변수를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변수들간의 구조적 인과관계를 규명하는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음운현상을 고려한 단어인지 능력 측정과 한국어 읽기학습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 변수를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변수들간의 구조적 인과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외국인 86명 대상으로 한국어 읽기와 비음화, 유음화, 구개음화, 경음화 등 4가지 영역의 단어인지를 측정하였다. 한국어 단어인지 능력의 차이를 규명하고자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으며, 4개의 단어인지 영역을 독립변수로 설정하여 한국어 읽기의 영향력을 조명하고자 회귀분석을 실행하였다. 한국어 읽기능력에 영향을 주는 직․간접적 인과관계를 밝히고자 비음화, 구개음화, 경음화를 간접적 외생변수로, 유음화를 직접적 내생변수로 설정하여 구조방정식 분석을 실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4가지의 음운현상을 고려한 단어인지 능력은 비음화 단어인지 능력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음화 음운 현상이 한국어 읽기 향상을 예측할 수 있는 중요한 변수로 입증되었다. 셋째, 유음화 음운현상은 한국어 읽기 능력에 직접적 원인 변수로, 비음화, 구개음화, 경음화 음운현상은 한국어 읽기 능력에 간접적 원인 변수로 밝혀졌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단어인지는 읽기능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읽기모형(Simple View of Reading)을 재검증 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장현묵, "한국어교육에서의 읽기 연구 동향 분석 - 2010년 이후의 연구를 중심으로 -" 한국국어교육학회 (108) : 325-368, 2016

      2 송영복, "초등 다문화 학습자의 읽기 유창성 신장에 관한 실행 연구"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54) : 217-259, 2014

      3 오세진,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읽기 유창성 진단 및 오류 유형 분석 - 한국어 능력시험 3급, 4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 한국언어문화학회 (59) : 337-357, 2016

      4 김중섭,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읽기 교육 방법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3 (13): 3-71, 2002

      5 이효숙, "일본인의 한국어 초급 학습자를 위한 발음교육" 교육연구소 14 (14): 179-213, 2008

      6 조향숙,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발음 교육 연구-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를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7 (7): 531-559, 2013

      7 한영, "소리 내어 읽기 오류의 양상 연구-중급 한국어 학습자를 중심으로" 한국어문교육연구소 11 : 301-331, 2012

      8 Zadeh, Z. Y., "Toward modeling reading comprehension and reading fluency in English language learners" 25 : 163-187, 2012

      9 Hoover, W. A., "The simple view of reading" 2 : 127-190, 1990

      10 Nation, K., "The science of reading:A handbook" Blackwell 248-265, 2005

      1 장현묵, "한국어교육에서의 읽기 연구 동향 분석 - 2010년 이후의 연구를 중심으로 -" 한국국어교육학회 (108) : 325-368, 2016

      2 송영복, "초등 다문화 학습자의 읽기 유창성 신장에 관한 실행 연구"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54) : 217-259, 2014

      3 오세진,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읽기 유창성 진단 및 오류 유형 분석 - 한국어 능력시험 3급, 4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 한국언어문화학회 (59) : 337-357, 2016

      4 김중섭,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읽기 교육 방법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3 (13): 3-71, 2002

      5 이효숙, "일본인의 한국어 초급 학습자를 위한 발음교육" 교육연구소 14 (14): 179-213, 2008

      6 조향숙,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발음 교육 연구-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를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7 (7): 531-559, 2013

      7 한영, "소리 내어 읽기 오류의 양상 연구-중급 한국어 학습자를 중심으로" 한국어문교육연구소 11 : 301-331, 2012

      8 Zadeh, Z. Y., "Toward modeling reading comprehension and reading fluency in English language learners" 25 : 163-187, 2012

      9 Hoover, W. A., "The simple view of reading" 2 : 127-190, 1990

      10 Nation, K., "The science of reading:A handbook" Blackwell 248-265, 2005

      11 Saeed Mehrpour, "The impact of general and specific vocabulary knowledge on reading and listening comprehension: A case of Iranian EFL learners" Elsevier BV 38 (38): 292-300, 2010

      12 Lipka, O., "The development of reading comprehension skills in children learning English as a second language" 25 (25): 1873-1898, 2012

      13 Snow, C. E., "Reading for understanding:Toward an R & D program in reading comprehension" RAND 2002

      14 Rupley, W. H., "Reading diagnosis and remediation:Classroom and clinic" Houghton Mifflin 1983

      15 Hoover, W. A., "Reading acquisition processes. Language and education library, Vol. 4" Multilingual Matters, Ltd 1-19, 1993

      16 안효빈, "Reading Fluency and Listening Comprehension Abilities as Predictors of Reading Comprehension" 한국영어교육학회 71 (71): 3-24, 2016

      17 강유선, "Prediction of Korean EFL Learners’ English Reading Comprehension Abilities: An Examination of the Simple View of Reading" 한국영어교육학회 66 (66): 23-38, 2011

      18 Panayiota Kendeou, "Predicting reading comprehension in early elementary school: The independent contributions of oral language and decoding skills."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APA) 101 (101): 765-778, 2009

      19 MacCallum, R. C., "Power analysis and determination of simple size for covariance structure modeling" 1 (1): 130-149, 1996

      20 Valerie Muter, "Phonemes, Rimes, Vocabulary, and Grammatical Skills as Foundations of Early Reading Development: Evidence From a Longitudinal Study."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APA) 40 (40): 665-681, 2004

      21 Storch, S. A., "Oral language and code-related presursors to reading:Evidence from a longitudinal structural model" 38 : 934-947, 2002

      22 C. Patrick Proctor, "Native Spanish-Speaking Children Reading in English: Toward a Model of Comprehension."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APA) 97 (97): 246-256, 2005

      23 Coltheart, M., "Models of reading aloud:Dual-route and parallel-distributed-processing approaches" 100 : 589-608, 1993

      24 Schoonen, R., "Metacognitive and language-specific knowledge in native and foreign language reading comprehension:An empirical study among Dutch students in grades 6, 8, and 10" 48 (48): 71-106, 1998

      25 Meschyan, G., "Is native-language decoding skill related to second-language learning?" 94 (94): 14-22, 2002

      26 van Gelderen, A., "Development of adolescent reading comprehension in language 1 and language 2:A longitudinal analysis of constituent components" 99 (99): 477-491, 2007

      27 Gough, P. B., "Decoding, reading, and reading disability" 7 : 6-10, 1986

      28 Hu, L., "Cutoff criteria for fit indexes in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6 (6): 1-55, 1999

      29 Adams, M. J., "Beginning to read:Thinking and learning about print" MIT Press 1990

      30 Hannon, B., "A new tool for measuring and understanding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component processes of reading comprehension" 93 : 103-128, 2001

      31 Daryl F. Mellard, "A Path Analysis of Reading Comprehension for Adults With Low Literacy" SAGE Publications 43 (43): 154-165, 201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12-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Association of Korean Education KCI등재
      2013-12-0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Modern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 KOREAN EDUCA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6 1.06 1.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8 0.95 1.479 0.3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