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학급 내 수준별 분단학습이 중학생의과학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Influence on Middle School Students'science academic achievement by level classified group work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168899

      • 저자
      • 발행사항

        구미 : 금오공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금오공과대학교 교육대학원 , 과학교육전공 , 2007. 8

      • 발행연도

        2007

      • 작성언어

        한국어

      • 발행국(도시)

        경상북도

      • 형태사항

        86 ; 26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이태동

      • 소장기관
        • 국립금오공과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fluence on Middle School Students'science academic achievement by level classified group working. Ki-Soo Kim Department of Science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umoh National Institute of Technology Abstract The purpose...

      Influence on Middle School Students'science academic achievement by level classified group working.

      Ki-Soo Kim

      Department of Science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umoh National Institute of Technology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experiment is to find how level classifying group work can influence on middle school students. To do this survey, we selected 132 students from 4 of 6 classes in a middle school. Two classes were taught, using new group working method and other two classes were taught using traditional method. From this experiment, we studied students' satisfaction, achievement, and marks.
      Following information are the results from this experiment.
      First, Group work had more positive influence on academic achievement compare to tradition way of teaching.
      Second, comparing academic achievement, the group working method greatly improved those people who were at average level or people who were struggling. Especially, it had dramatic effect on those people who had academic challenge.
      Third, looking at a degree of difficulty in each group, most of groups had similar degree of difficulty, however, applied level had some visible difference and it helped them improve academically.
      Fourth, survey on people's opinion showed that many students preferred the group working method and especially students in applied level showed great interest in this method.
      For these reasons, compare to the tradition teaching method, the group working method was more effective and preferred. The most preferred teaching method was the group teaching method within the class and therefore I believe it is a very effective way of teaching science course in a middle school.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 차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 문제 3
      • 목 차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 문제 3
      • 3. 연구의 제한점 3
      • 4. 용어의 정의 4
      •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 연구 6
      • 1. 수준별 교육과정 6
      • 2. 수준별 교육과정의 도입 필요성 14
      • 3. 과학과 수준별 교육과정 16
      • 4. 수준별 교육과정의 문제점 19
      • 5. 선행 연구의 고찰 20
      •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22
      • 1. 연구 대상 22
      • 2. 연구 절차 23
      • 3. 검사 도구 26
      • 4. 자료처리 및 분석 방법 27
      • Ⅳ. 연구 결과 및 분석 29
      • 1. 집단별 학업성취도 분석 29
      • 2. 성적등위별 집단 간 학업성취도 차이 분석 32
      • 3. 문제난이도별 집단 간 학업성취도 차이 분석 38
      • 4. 학급 내 수준별 분단학습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분석 40
      • Ⅴ. 결론 및 제언 50
      • 1. 결론 50
      • 2. 제언 51
      • 참고 문헌 52
      • 부록 54
      • 표 목 차
      • <표 Ⅱ-1> 학급 내 수준별 수업 모형 19
      • <표 Ⅲ-1> 집단별 연구 대상자 수 22
      • <표 Ⅲ-2> 표집의 구성 22
      • <표 Ⅲ-3> 학습 집단별 수업 과정 및 처치 내용 25
      • <표 Ⅳ-1> 집단별 학업성취도 29
      • <표 Ⅳ-2> 수업처치에 따른 집단별 학업성취도 공변량 분석 30
      • <표 Ⅳ-3> 성적등위별 집단간 학업성취도 32
      • <표 Ⅳ-4> 수업처치에 따른 상위집단 학업성취도 33
      • <표 Ⅳ-5> 수업처치에 따른 중위집단 학업성취도 34
      • <표 Ⅳ-6> 수업처치에 따른 하위집단 학업성취도 34
      • <표 Ⅳ-7> 난이도별 집단간 학업성취도 38
      • <표 Ⅳ-8> 적절한 수준별 단계의 수 41
      • <표 Ⅳ-9> 집단 편성 방법 42
      • <표 Ⅳ-10> 학습의욕의 변화 43
      • <표 Ⅳ-11> 학업성취의 변화 44
      • <표 Ⅳ-12> 학급 내 수준별 분단학습의 장점 45
      • <표 Ⅳ-13> 학급 내 수준별 분단학습의 단점 46
      • <표 Ⅳ-14> 계속적으로 학업성취에 미칠 영향 47
      • <표 Ⅳ-15> 희망하는 수업 형태 48
      • <표 Ⅳ-16> 집단 재편성 횟수 49
      • 그 림 목 차
      • <그림 Ⅲ-1> 좌석 배치도 24
      • <그림 Ⅳ-1> 사전 학업성취도 분포도 31
      • <그림 Ⅳ-2> 사후 학업성취도 분포도 31
      • <그림 Ⅳ-3> 상위집단 사전 학업성취도 분포도 35
      • <그림 Ⅳ-4> 상위집단 사후 학업성취도 분포도 35
      • <그림 Ⅳ-5> 중위집단 사전 학업성취도 분포도 36
      • <그림 Ⅳ-6> 중위집단 사후 학업성취도 분포도 36
      • <그림 Ⅳ-7> 하위집단 사전 학업성취도 분포도 37
      • <그림 Ⅳ-8> 하위집단 사후 학업성취도 분포도 37
      • <그림 Ⅳ-9> 난이도 상 문제 학업성취도 분포도 39
      • <그림 Ⅳ-10> 난이도 중 문제 학업성취도 분포도 39
      • <그림 Ⅳ-11> 난이도 하 문제 학업성취도 분포도 4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