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지속임신에서 시행한 경복식 융모막채취법 = Transabdominal Chorionic Villus Sampling in Continuing Pregnanc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335895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1990년 4월부터 1991년 1월까지 경희대학병원 산부인과에 내원한 임신 10~18주사이의 임산부 24명을 대상으로 freehand 초음파유도하에 single needle을 삽입하여 경복식 융모막채취법(TA-CVS)을 시행한 ...

      1990년 4월부터 1991년 1월까지 경희대학병원 산부인과에 내원한 임신 10~18주사이의 임산부 24명을 대상으로 freehand 초음파유도하에 single needle을 삽입하여 경복식 융모막채취법(TA-CVS)을 시행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총 대상 24례중 22례에서 TA-CVS가 성공하여 융모막채취 성공률은 91.7%이었는데 임신초기에는 21례중 19례(90.5%)에서 성공하였고 임신중기에 시행한 3례에서는 모두 성공하였다.
      2. 총 대상 24례에서 바늘삽입횟수는 평균 1.3 0.4회이었으며 TA-CVS가 성공한 22례중 1회 바늘 삽입으로 성공한 경우가 17례(77.3%)이었다.
      3. 총 대상 24례중 태반의 위치가 자궁전벽에 있었던 경우가 16례(66.7%), 자궁후벽에 위치한 경우가 4례(16.7%), 자궁저부에 위치한 경우가 4례(16.7%)이었다.
      4. TA-CVS가 성공한 22례에서 채취된 융모막 양은 평균 10.2 6.9 mg이었는데 임신초기에 18 gauge바늘을 사용한 19례에서는 평균 11.4 6.8 mg, 임신중기에 20 gauge 바늘을 사용한 3례에서는 평균 3 mg이었다.
      5. TA-CVS가 성공한 22례중 5 mg이상의 충분한 융모막을 채취하여 직접법과 배양법을 동시에 시행할 수 있었던 경우가 15례(68.2%)이었고, 5 mg미만을 채취하여 배양법만을 시행한 경우가 7례(31.8%)이었다.
      6. TA-CVS를 시도한 24례중 현재까지 태아손실은 한 예도 없었다.
      결론적으로 TA-CVS는 경질식 융모막채취법(TC-CVS)과 더불어 임신초기의 산전진단에 유용하게 시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TC-CVS가 불가능한 때에도 TA-CVS를 시행할 수 있는 경우가 있으므로 전반적인 융모막채취 성공률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ransabdominal chorionic villus sampling(TA-CVS) has been carried out in twenty-four pregnant women at Kyung Hee University Hospital from April, 1990 to January, 1991. We present here our technique and clinical experience with TA-CVS. We have perfor...

      Transabdominal chorionic villus sampling(TA-CVS) has been carried out in twenty-four pregnant women at Kyung Hee University Hospital from April, 1990 to January, 1991.
      We present here our technique and clinical experience with TA-CVS. We have performed TA-CVS using a single aspiration needle under the freehand ultrasound guidance.
      Twenty-four pregnant women underwent TA-CVS between 10 and 18 weeks of gestation. Sampling was usually carried out at the tenth or eleventh weeks of gestation.
      TA-CVS was successful in 22 of 24 pregnant women, a success rate of 91.7%.
      The amount of chorionic villi obtained by TA-CVS was 10.2 6.9 mg and sufficient chorionic villi( 5 mg) were obtained from 15(68.2%) of the 22 successful TA-CVS cases.
      The mean number of needle insertion was 1.3 0.4 and in 77.3%(17/22) of the successful sampling only a single needle passage was required.
      To date, no fetal loss was observed in this TA-CVS program.
      We conclude that TA-CVS is a potentially useful technique in case of unfavorable anatomic and clinical conditions for safe transcervical chorionic villus sampling.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