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통일국민협약과 남남갈등, 사회문화적 환경, 시민단체 간의 관계 구조분석 = A Structural Analysis on the National Unification Contract, South-South Conflict, SocialㆍCultural Environment, and Civic Group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93128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남남갈등, 사회문화적 환경, 시민단체가 통일국민협약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남남갈등, 사회문화적 환경, 시민단체 사이에는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

      본 연구는 남남갈등, 사회문화적 환경, 시민단체가 통일국민협약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남남갈등, 사회문화적 환경, 시민단체 사이에는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논문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남갈등과 사회문화적 환경, 시민단체는 통일국민협약에 대한 국민인식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문화적 환경, 시민단체는 남남갈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문화적환경은 시민단체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연구결과는 문재인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통일국민협약의 성공적 추진을 위해서는 남남갈등 관리, 사회문화적 환경 차이에 따른 국민 이견 조율, 통일국민협약을 이끌어 가는 시민단체의 책임 있는 리더십 함양이 요구됨을 보여 준다. 또한 한국 사회의 갈등 발생의 근본적인 원인이 되는 사회문화적 환경 차이를 극복할 수 있는 통합 노력이 선행되어야 함을 보여 준다. 본 연구 결과는통일국민협약뿐 아니라 기타 사회적 합의의 성공적 추진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find out how much such factors as the south-south conflict in South Korea, socialㆍcultural environment, and civic groups affect South Koreans’ recognition of the “National Unification Contract” which has been car...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find out how much such factors as the south-south conflict in South Korea, socialㆍcultural environment, and civic groups affect South Koreans’ recognition of the “National Unification Contract” which has been carrying out under the Moon Jain administration.
      The study also tries to find out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south-south conflict in Korea, socialㆍ cultural environment, and civic group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direct correlation between the south-south conflict in Korea, socialㆍcultural environment, civic groups and South Koreans’ recognition of the “National Unification Contract.” Second, there is a direct correlation between socialㆍcultural environment, civic groups and the south-south conflict in South Korea. Third, there is a direct correlation between socialㆍcultural environment and civic groups. The research findings show that it is necessary to manage the south-south conflict in South Korea, mediate different opinions of people who have diverse backgrounds, and develop the leadership of civic groups who play major roles to conclude the contract. Moreover, it needs governmental and civil efforts to integrate South Korean people who have diverse backgrounds. The research findings are expected to contribute not only to the successful conclusion of the “National Unification Contract” but also to the achievement of another social consensus in South Korea.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하상섭, "한국정부의 대북·통일 정책과 통일국민협약 추진방안" 북한연구소 43 (43): 80-107, 2018

      2 최용섭, "한국의 정당과 사회 제집단의 북한통일관: 남남갈등을 중심으로" 한국동북아학회 20 : 2001

      3 김순양, "한국에서의 ‘사회적 합의(Social Consensus)’의 실험과 평가: 시기별 비교 분석의 관점에서" 서울행정학회 11 (11): 2000

      4 조한범, "통일국민협약 추진방안" 통일연구원 2017

      5 김창희, "통일교육과 국민통합: 통일 교육매체를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2010

      6 이정희, "통일관련 사회단체의 이념적 차별성 연구: 남북관계와 대북정책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국제정치학회 42 (42): 117-149, 2002

      7 최용섭, "천안함 사건 이후 나타난 남남갈등에 대한 연구" 인류사회재건연구원 26 (26): 113-139, 2011

      8 허석재, "지역균열은 어떻게 균열되는가?: 역대 대선에서 나타난 지역·이념·세대의 상호작용" 현대정치연구소 12 (12): 6-37, 2019

      9 이광희, "지방 시민사회에 대한 비교사례 연구 - 구미시와 창원시를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 38 (38): 139-161, 2004

      10 김창희, "제4장 통일교육매체에 관한 분석" 한국통일전략학회 11 (11): 103-134, 2011

      1 하상섭, "한국정부의 대북·통일 정책과 통일국민협약 추진방안" 북한연구소 43 (43): 80-107, 2018

      2 최용섭, "한국의 정당과 사회 제집단의 북한통일관: 남남갈등을 중심으로" 한국동북아학회 20 : 2001

      3 김순양, "한국에서의 ‘사회적 합의(Social Consensus)’의 실험과 평가: 시기별 비교 분석의 관점에서" 서울행정학회 11 (11): 2000

      4 조한범, "통일국민협약 추진방안" 통일연구원 2017

      5 김창희, "통일교육과 국민통합: 통일 교육매체를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2010

      6 이정희, "통일관련 사회단체의 이념적 차별성 연구: 남북관계와 대북정책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국제정치학회 42 (42): 117-149, 2002

      7 최용섭, "천안함 사건 이후 나타난 남남갈등에 대한 연구" 인류사회재건연구원 26 (26): 113-139, 2011

      8 허석재, "지역균열은 어떻게 균열되는가?: 역대 대선에서 나타난 지역·이념·세대의 상호작용" 현대정치연구소 12 (12): 6-37, 2019

      9 이광희, "지방 시민사회에 대한 비교사례 연구 - 구미시와 창원시를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 38 (38): 139-161, 2004

      10 김창희, "제4장 통일교육매체에 관한 분석" 한국통일전략학회 11 (11): 103-134, 2011

      11 변창구, "제1장 한국 통일교육의 쟁점과 방향 - 남남갈등을 중심으로 -" 한국통일전략학회 10 (10): 9-36, 2010

      12 김진하, "정치의식의 지역차이: 지역주의에 대한 새로운 접근" 한국정당학회 5 (5): 2006

      13 이동기, "정치 갈등 극복의 교육 원칙" 한국역사교육학회 (26) : 137-170, 2016

      14 이덕재, "우리나라 사회합의주의의 형식과 실질 간의 괴리 : 노사정위원회를 중심으로" 비판사회학회 (83) : 143-168, 2009

      15 허석재, "소득 불평등과 정치참여의 양식" 한국정당학회 14 (14): 41-67, 2015

      16 선학태, "사회협약정치와 민주주의 공고화스페인과 한국의 비교연구" 5.18연구소 7 (7): 229-265, 2007

      17 장선화, "사회협약의 정치: 세계화시대 경제위기와 집권 정당의 위기극복 전략 (핀란드, 벨기에, 스페인, 아일랜드)" 한국정당학회 13 (13): 63-99, 2014

      18 박병철, "사회통일교육의 쟁점과 활성화 방향" 한국통일전략학회 14 (14): 41-64, 2014

      19 김태균, "사회적 합의주의(corporatism)에 대하여" 노동사회과학연구소 (142) : 2018

      20 김태수, "사회적 합의기구로서의 노사정위원회의 위상에 관한 관점별 검토" 한국행정학회 40 (40): 205-224, 2006

      21 황수환, "북아일랜드의 평화구축 과정: 평화협정을 중심으로" 국제지역연구센터 21 (21): 33-64, 2017

      22 김남국, "북아일랜드 평화 프로세스의 성공요인: 정책, 리더십, 국제적 차원을 중심으로" 한국유럽학회 36 (36): 49-92, 2018

      23 김병연, "보이텔스바흐 합의가 학교 통일교육에 주는 함의" 한국윤리학회 1 (1): 307-332, 2019

      24 이우영, "남아프리카공화국과 북아일랜드의 사례가 남북한 통합에 주는 시사점" 인문학연구원 67 : 5-39, 2016

      25 서상현, "남아공 정치지형에서 본 ANC의 통합과 분화" 한국아프리카학회 38 (38): 67-97, 2013

      26 황인표, "남북통합을 위한 통일교육의 사회적 합의 내용에 대한 일고"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61) : 179-203, 2018

      27 이인정, "남북통일과 시민성 - 세대갈등 통합과 교육적 과제"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41 (41): 157-186, 2013

      28 박찬석, "남남갈등 해소를 위한 통일교육의 구현 방안"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39) : 27-48, 2013

      29 조한범, "남남갈등 해소를 위한 ‘통일국민협약’ 제언" 통일연구원

      30 문수백, "구조방정식모델링의 이해와 적용" 학지사 2009

      31 이숙정, "교육수준에 따른 정치참여 격차 : 뉴스미디어, 사회적 연결망, 정치사회적 대화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7 (57): 113-136, 2013

      32 제성호, "“통일헌장” 구상 재검토 - "통일국민협약"의 현실화를 위한 기초연구 차원에서 -" 법학연구원 42 (42): 321-357, 2018

      33 최철영, "‘평화통일국민협약’ 추진의 법제도적 과제" 한국법제연구원 (55) : 57-94, 2018

      34 Kline, Rex B,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Guilford Press 2011

      35 박귀천, "9.15노사정 대타협과 법적 쟁점 - 해고 및 취업규칙 관련 독일 법리 -" 한국노동법학회 (56) : 69-89, 2015

      36 차승주, "'통일국민협약'이 통일교육에 주는 함의와 대안적 사회통일교육 방안 모색" 인류사회재건연구원 34 (34): 5-31, 202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11-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Korean Association of Northeast Asia Studies KCI등재
      2013-12-1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Northeast Asian Studies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29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동북아논총
      외국어명 : 미등록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9 0.49 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6 0.43 0.703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