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미르체아 엘리아데의 스펙타콜(Spectacol)론 연구 = A Study of Mircea Eliade’s Spectacol Theory: Focused on the Novel Nouăsprezece trandafiri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12972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의 목적은 영적인 신화와 상징의 해석자라 불리는 엘리아데의 만년작품에서 상징체계를 연구함으로써 수수께끼와 같은 그의 글쓰기 안에 숨겨진작가의 의도와 작품의 깊이 있는 상...

      본 논문의 목적은 영적인 신화와 상징의 해석자라 불리는 엘리아데의 만년작품에서 상징체계를 연구함으로써 수수께끼와 같은 그의 글쓰기 안에 숨겨진작가의 의도와 작품의 깊이 있는 상징적 의미를 바로 보고자 함이다. 엘리아데는 기억상실증에 걸린 현대인들은 원형의 반복을 통하여 그 원형이 처음으로 계시되었던 신화의 시대로 투사된다고 믿었다. 원시적인 존재론의 양상이 현대적 ‘스펙타콜’의 경험을 통해 가능하다는 의미를 지니게 되는 것이다. 엘리아데의 작품 Nouăsprezece Trandafiri(19송이 장미, 1979)에서 오르페우스 신화, 메타노이아(Metanoia), 19송이 장미는 중의적이고 함축적인 요소들을 내포하고
      있으며, 기억과 상기의 양상은 제의적 스펙타콜을 통해서 우주적 대시간과 통합이라는 환상과 실재, 시간의 영원성을 얻는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have a closer look into the author’s intention and the in-depth symbolic meanings of Eliade’s work in his later years who is called an interpreter of spiritual myth and symbols. Eliade believed modern people who a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have a closer look into the author’s intention and the in-depth symbolic meanings of Eliade’s work in his later years who is called an interpreter of spiritual myth and symbols. Eliade believed modern people who are suffering from amnesia repeating archetype.
      And finally the archtype projects on the mythical age where it was originally born. The facet of primitive ontology is expressed and translated though modern experience spectacol. The Orpheus myth, Metanoia, and Nineteen
      roses in the Eliade’s later work in his life Nineteen Roses contains ambiguous and implicative elements. The aspect of memory and recall have fantasy and existence of cosmic time, integration, and temporal eternity via ritualistic
      spectacol.
      According to Eliade s theory, spectacol has a creative archetypal sacred act. This means that archetype repeats by periods. In the unique structural theorem of Nineteen Roses which comprises 25 chapters, we can discover the
      archetype. Orpheus myth, a repeating myth in a spectacol discards secular time and leads humanbeings return to mythical age(illud tempus). As the name of these tragedy demonstrate, Eliade identified archetypal structure in
      Orpheus myth. It reveals sacred myth in human redemption throughout training of remembrance which helps re-create a being that people can approve and people defend themselves from fear of history.
      In a ritualistic sense of spectacol, Metanoia has the most power of discarding time because in spectacol any past time can be revived in present time. Therefore, readers should be shocked and infuriated because of
      spectacol. In doing so he believed it is possible to achieve metanoia, overthrow, awakening, and reconsolidation. Ritual spectacol triggers metanoia, so it gives an experience in between human existence and the structure of the
      cosmos and reconsolidates human as a existential/religious human.
      In the entire work, the numbers which have a complex meaning of the real world and fantasy world are the most important clue. Eliade gave symbolism to 19 roses as he made an appearance of 19 roses in the first and the last
      chapter of the piece. The number 13 is the number means regeneration also related with death. 13 was made from a complete number 12 by adding one, and it symbolize start over and revival. According to Eliade, adding one in a
      circular world represents opening a door to another world. As the message Damian received, this means human who are given the guilty verdict finally free from the historic time and pass the test from God. In addition, roses
      often appear in Eliade’s fantasy novel. The roses symbolize renewal of Western mental world in the Western mysticism tradition. Renewal involves generate a new essence by cutting off of the present essenc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들어가는 말
      • 2. 제의적 스펙타콜(Spectacolul ritual)이란 무엇인가?
      • 3. 소설 Nouăsprezece trandafiri의 스펙타콜 상징체계
      • 3.1. 오르페우스 신화
      • 3.2. 메타노이아
      • 1. 들어가는 말
      • 2. 제의적 스펙타콜(Spectacolul ritual)이란 무엇인가?
      • 3. 소설 Nouăsprezece trandafiri의 스펙타콜 상징체계
      • 3.1. 오르페우스 신화
      • 3.2. 메타노이아
      • 3.3. 19송이의 장미
      • 4. 맺는 말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용수, "연극이론의 탐구- 대립적인 시각들의 대화" 서강대학교 출판부 2012

      2 더글라스 알렌, "엘리아데의 신화와 종교" 이학사 [서울] 2008

      3 안진태, "엘리아데·신화·종교" 고려대학교출판부 2005

      4 미르체아 엘리아데, "성과 속" 한길사 1998

      5 미르체아 엘리아데, "상징, 신성, 예술" 서광사 1991

      6 김성기, "루마니아 문학론"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2005

      7 최문규, "기억과 망각" 책세상 2003

      8 Eliade, Mircea, "Ȋn curte la Dionis" Cartea românească 1981

      9 Eliade, Mircea, "Încercarea labirintului. Convorbiri cu Claude-Henri Rocquet" Dacia 1990

      10 Eliade, Mircea, "Sacrul şi profanul" Humanitas 2005

      1 김용수, "연극이론의 탐구- 대립적인 시각들의 대화" 서강대학교 출판부 2012

      2 더글라스 알렌, "엘리아데의 신화와 종교" 이학사 [서울] 2008

      3 안진태, "엘리아데·신화·종교" 고려대학교출판부 2005

      4 미르체아 엘리아데, "성과 속" 한길사 1998

      5 미르체아 엘리아데, "상징, 신성, 예술" 서광사 1991

      6 김성기, "루마니아 문학론"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2005

      7 최문규, "기억과 망각" 책세상 2003

      8 Eliade, Mircea, "Ȋn curte la Dionis" Cartea românească 1981

      9 Eliade, Mircea, "Încercarea labirintului. Convorbiri cu Claude-Henri Rocquet" Dacia 1990

      10 Eliade, Mircea, "Sacrul şi profanul" Humanitas 2005

      11 Eliade, Mircea, "Proză Fantastică vol.II" Tana 2007

      12 Borbély, Ştefan, "Proza fantastică a lui Mircea Eliade" Biblioteca Apostrof 2003

      13 Eliade, Mircea, "Mituri, vise si mistere" Editura Univers Enciclopedic 2008

      14 Simion, Eugen, "Mircea Eliade: Nodurile şi semnele prozei" univers enciclopedic 2005

      15 Scarlat, Cristina, "Mircea Eliade, Hermeneutica spectacolului II" Editura Lumen 2011

      16 Scarlat, Cristina, "Mircea Eliade, Hermeneutica spectacolului I" Editura Timpul 2008

      17 Eliade, Mircea, "Istoria credinţelor şi ideilor religioase. vol I, II, III" Ed. Ştiinţifică şi enciclopedică 1988

      18 Eliade, Mircea, "Imagini şi simboluri" Humanitas 1994

      19 Ruşti, Doina, "Dicţionar de teme şi simboluri din literatura romȃnă" Polirom 2009

      20 Ruşti, Doina, "Dicţionar de simboluri în opera lui Mircea Eliade" Coresi 199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
      2013-01-0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동유럽연구 -> 동유럽발칸연구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3 0.13 0.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6 0.15 0.459 0.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