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아의 행복감과 관련변인들 간의 관계구조분석 = Analysis on Relational Structure among Preschool children’s Happiness and Related Variabl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36113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목적은 유아의 행복감과 관련변인인 자아존중감, 유아-교사친밀감, 그리고 또래유능성 간의 구조적 관계를 설정하고 검증을 통해 이 변인들의 관계구조가 유아의 행복감에 미치는 ...

      본 연구목적은 유아의 행복감과 관련변인인 자아존중감, 유아-교사친밀감, 그리고 또래유능성 간의 구조적 관계를 설정하고 검증을 통해 이 변인들의 관계구조가 유아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서울특별시와 경기도에 위치한 유치원과 어린이집 만 3∼5세 유아 470명이다. 수집된 자료들은 AMOS 26.0을 이용하여 분석한 후 유의수준 .05, .01, .001에서 통계적인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자아존중감, 유아-교사친밀감, 또래 유능성은 각각 유아행복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자아존중감이 유아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유아-교사친밀감과 또래유능성은 매개변인으로서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유아교육기관에서 교사, 또래와의 긍정적인 관계형성은 유아의 자아존중감을 지지해주는 환경이 되어 유아가 지속적으로 행복감을 느낄 수 있도록 도울 수 있음을 시사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preschool children’s happiness and related variables such as self-esteem, preschool childrenteacher intimacy and peer competence and to examine the effect of such a relati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preschool children’s happiness and related variables such as self-esteem, preschool childrenteacher intimacy and peer competence and to examine the effect of such a relational structure of these variables on preschool children’s happiness. The participants included 470 3 to 5 years old preschool children enrolled in kindergartens and child 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The data were analyzed with teste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data at p=.05, .01, .001 by using AMOS 26.0.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each of self-esteem, infant-teacher intimacy and peer competence had a direct effect on preschool children’s happiness. Second, both preschool childrenteacher intimacy and the peer competence, as mediating variables, had indirect effects on the effect of preschool children’s self-esteem on their happin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formation of positive relationships with teachers and pee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can help preschool children feel happy continuously as an environment that supports preschool children’s self-esteem.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