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전쟁관련 헝가리 문서보관소 자료: = The Materials in the National Archives of Hungary Regarding the Korean War: Data, Information, and Academic Activit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86760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M. McDonough once distinguished data, information, knowledge, and wisdom from the “materials” that he called widely in his work, “Information economics”. He classified them into four categories; data, like meaning-excluded records; informa...

      A. M. McDonough once distinguished data, information, knowledge, and wisdom from the “materials” that he called widely in his work, “Information economics”. He classified them into four categories; data, like meaning-excluded
      records; information, which is meaning-added data; knowledge, which is an extracted value from information; and wisdom, which is patterned knowledge. If this classification can be applied, then the archival documents can belong to the data category because the archival documents themselves stay in that level without any meaning. Moreover, without the accumulation of data, the archival documents cannot be utilized as information, which is the next step. This article deals with the documents from the National Archives of Hungary regarding the Korean War, and the study is based on bibliographical information. This method is extensive and compared to research for the Kyujanggak, this kind of study uses the well-known research method of philology. In addition, the
      bibliographical information in the archives pertains to basic academic activit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들어가는 말
      • 2. 규장각(奎章閣) 서목(書目) 관련 연구 성과
      • 3. 헝가리 국립문서보관소 소장 한국전쟁 관련 자료
      • 3.1. XIX-J-1-j 1945-1964 Korea (1945-1964)
      • 3.2. XIX-J-1-k 1945-1964 Korea (1945-1964)
      • 1. 들어가는 말
      • 2. 규장각(奎章閣) 서목(書目) 관련 연구 성과
      • 3. 헝가리 국립문서보관소 소장 한국전쟁 관련 자료
      • 3.1. XIX-J-1-j 1945-1964 Korea (1945-1964)
      • 3.2. XIX-J-1-k 1945-1964 Korea (1945-1964)
      • 3.3. XIX-J-14(-a)
      • 3.4. XXVI-C-1
      • 4. 맺는 말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용남, "학술정보자원 활용" 한성대학교 출판부 2001

      2 조계영, "조선후기 선원각의 왕실 기록물 보존체계 -정족산사고 「璿源錄形止案」을 중심으로-" 조선시대사학회 (55) : 179-217, 2010

      3 이상찬, "전주사고본 실록의 보존과 관리" 규장각한국학연구원 (39) : 213-240, 2011

      4 윤진영, "봉모당 소장 逸失 繪畵의 현황과 행방" 한국학중앙연구원 (29) : 339-349, 2013

      5 김건우, "구한말 궁내부의 공문서 관리 규칙에 관한 일고찰" 한국기록관리학회 7 (7): 111-128, 2007

      6 윤병태, "藏書閣의 沿革과 所藏圖書" 44 : 1991

      7 옥영정, "藏書閣 所藏 御製類 刊本의 書誌的 分析" 29 : 2004

      8 심우준, "登瀛閣考" 1 : 1986

      9 송일기, "淸浪鄭駜謨博士華甲紀念論文集" 1990

      10 김동환, "淸浪鄭駜謨博士華甲紀念論文集" 1990

      1 이용남, "학술정보자원 활용" 한성대학교 출판부 2001

      2 조계영, "조선후기 선원각의 왕실 기록물 보존체계 -정족산사고 「璿源錄形止案」을 중심으로-" 조선시대사학회 (55) : 179-217, 2010

      3 이상찬, "전주사고본 실록의 보존과 관리" 규장각한국학연구원 (39) : 213-240, 2011

      4 윤진영, "봉모당 소장 逸失 繪畵의 현황과 행방" 한국학중앙연구원 (29) : 339-349, 2013

      5 김건우, "구한말 궁내부의 공문서 관리 규칙에 관한 일고찰" 한국기록관리학회 7 (7): 111-128, 2007

      6 윤병태, "藏書閣의 沿革과 所藏圖書" 44 : 1991

      7 옥영정, "藏書閣 所藏 御製類 刊本의 書誌的 分析" 29 : 2004

      8 심우준, "登瀛閣考" 1 : 1986

      9 송일기, "淸浪鄭駜謨博士華甲紀念論文集" 1990

      10 김동환, "淸浪鄭駜謨博士華甲紀念論文集" 1990

      11 배현숙, "江都外奎章閣考" 6 : 1979

      12 배현숙, "江華府史庫 收藏本考" 3 : 1979

      13 강순애, "正祖朝 奎章閣의 圖書編纂 및 刊行" 9 : 1985

      14 배현숙, "朝鮮朝 史庫의 藏書管理" 2 : 1978

      15 이종묵, "朝鮮時代 王室圖書의 收藏에 대하여" 26 : 2002

      16 황정연, "朝鮮時代 宮中 書畫收藏處에 대한 연구" 32 : 2005

      17 임지영, "朝鮮 正祖朝에 購入된 中國本의 書誌學的 硏究" 한국서지학회1 (32) : 171-210, 2008

      18 남권희, "文獻閣과 文獻閣書目의 分析-肅宗朝의 文化的背景을 통한 韓國本書庫의 硏究" 11 : 1984

      19 옥영정, "摛文院의 藏書와 書目에 관한 硏究" 12 : 1996

      20 남권희, "承華樓書目考" 3 : 1987

      21 신병주, "實錄形止案’을 통해 본 『조선왕조실록』의 관리체계" 102 : 2003

      22 강순애, "奎章閣의 圖書刊印에 관한 硏究" 5-6 : 1990

      23 신용하, "奎章閣圖書의 變遷過程에 대한 一硏究" 5 : 1981

      24 남권희, "奎章閣 西庫 그 書目分析" 7 : 1983

      25 양계봉, "太宗·世宗 年間의 寶文閣 藏書 利用에 관한 硏究" 12 : 1996

      26 정연식, "內閣訪書錄 解題" 13 : 1990

      27 옥영정, "侍講院의 書籍編纂과 刊行記錄 考察" 18 : 1999

      28 배현숙, "五臺山史庫와 收藏書籍에 대하여" 1 : 1986

      29 남권희, "『西序書目籤錄』 解題" 12 : 1989

      30 방효순, "『芸閣冊都錄』을 통해 본 校書館 藏書에 관한 硏究" 8 : 1992

      31 신용하, "『奎章總目』 解題" 4 : 1981

      32 강혜영, "『內閣訪書錄』의 書誌學的 硏究" 10 : 1994

      33 연갑수, "『內閣藏書彙編』 解題" 16 : 1994

      34 남권희, "「奎章閣志」의 편찬과 19세기 奎章閣 서적보관제도" 한국서지학회 (40) : 73-120, 2008

      35 신병주, "‘오대산본’ 조선왕조실록의 간행과 보관" 한국역사연구회 (61) : 175-211, 2006

      36 "XXVI-C-1"

      37 "XIX-J-14(-a)"

      38 "XIX-J-1-k 1945-1964 Korea"

      39 "XIX-J-1-j 1945-1964 Korea"

      40 Kocsis, Piroska, "Magyar orvosok Koreában" ArchivNet, 5. évf. 6. sz 2005

      41 안미경, "17세기 적상산사고 「실록형지안」에 관한 연구 - 일반서책을 중심으로 -" 한국서지학회 (55) : 291-335,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
      2013-01-0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동유럽연구 -> 동유럽발칸연구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3 0.13 0.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6 0.15 0.459 0.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