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월경과 몸의 혐오에 대한 도전 - 다큐멘터리 <피의 연대기> 분석을 중심으로 = Menstruation, Body, and the Politics of Disgust in For Vagina's Sake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다큐멘터리 <피의 연대기>는 월경과 몸에 관한 금기와 통념들에 도전하고, 여성 경험의 경청을 통해 여성 연대의 유의미성을 시사한다는 점에서 여성주의 다큐멘터리로서의 의의를 갖...

      다큐멘터리 <피의 연대기>는 월경과 몸에 관한 금기와 통념들에 도전하고, 여성 경험의 경청을 통해 여성 연대의 유의미성을 시사한다는 점에서 여성주의 다큐멘터리로서의 의의를 갖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이 다큐멘터리가 여성혐오의 기반이 되었던 여성의 몸에 부착되어온 부정적 의미들에 대한 문제제기와 몸에 대한 관점의 전환을 촉구하는 점을 분석하고, 보다 넓은 몸의 정치학과 우리 사회의 혐오현상 및 페미니즘의 흐름 속에서 맥락화하며 논의를 발전시키고자 한다. 특히 몸의 물질성과 사회문화적 맥락이 분리될 수 없다고 보는 페미니스트 접근을 통해, 몸과 동물성을 여성에 더 가까운 것으로 묘사하면서 여성의 몸을 문제화해온 가부장적 방식의 ‘이상적 몸’의 개념에 대해 문제제기하는 계기로서 이 영화가 촉발한 월경에 관한 논의를 주목한다. 월경은 모든 여성의 보편적 경험인 것처럼 여겨지지만, 지역, 문화, 세대, 계급, 장애, 젠더 등에 따라 다양한 경험이 있다. <피의 연대기>는 다양한 월경 경험이 이야기되는 시작점을 제공하지만, 향후 개인적 선택의 이슈를 넘어 몸에 대한 인식의 전환과 소외된 몸들의 연대를 위한 인식론으로 더 발전되기 위한 논의를 과제로 남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For Vagina’s Sake is a documentary film that challenges taboos and conventional ideas associated with menstruation and the body and illuminates women’s experiences and solidarity. The film contributes to the feminist intervention against the negat...

      For Vagina’s Sake is a documentary film that challenges taboos and conventional ideas associated with menstruation and the body and illuminates women’s experiences and solidarity. The film contributes to the feminist intervention against the negative meanings attached to women’s bodies that have been the basis of misogyny. This paper examines the film and situates it in the context of the politics of the body, the politics of disgust, and recent Korean feminist movements through the lens of feminist new materialism. Feminist new materialism argues that materiality and culture are inseparable. It provides insights into the patriarchal way of thinking of the body, which, it determines, is more akin to that of women and, thus, problematizes the notion of the “ideal body.” Women’s experiences of menstruation are not universal but vary depending on factors such as region, culture, generation, class, disability, gender, and sexuality. This film explores the different experiences of women based on culture, generation, and class, but further discussion on disability and queer bodies are needed. More importantly, it is critical to engage transformative rethinking in body politics and solidarity to move beyond the liberalist frame of individual choic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보명, "혐오의 정동경제학과 페미니스트 저항: <일간 베스트>, <메갈리아>, 그리고 <워마드>를 중심으로" 한국여성학회 34 (34): 1-31, 2018

      2 손희정, "혐오의 시대-2015, 혐오는 어떻게 문제적 정동이 되었는가" 32 : 12-42, 2015

      3 Nussbaum, M., "혐오에서 인류애로 : 성적지향과 헌법" 뿌리와이파리 2016

      4 배은경, "현대 한국의 인간 재생산 여성, 모성, 가족계획사업" 시간여행 2012

      5 맥스무비, "피의 연대기’ 알고 보면 더 재밌다 | 김보람 감독이 들려준 취재 비하인드 15"

      6 김보람, "피의 연대기 [영화]"

      7 서울독립영화제, "피의 연대(連帶)가 흘러가는 곳- <피의 연대기> 김보람감독"

      8 김지아, "포스트페미니즘 시대의 여성주의 다큐멘터리: 감독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5 (15): 104-114, 2015

      9 성새론, "탐폰설명서 [영화]"

      10 엄진, "전략적 여성혐오와 그 모순: 인터넷 커뮤니티 ‘일간베스트저장소’의 게시물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31 (31): 193-236, 2016

      1 김보명, "혐오의 정동경제학과 페미니스트 저항: <일간 베스트>, <메갈리아>, 그리고 <워마드>를 중심으로" 한국여성학회 34 (34): 1-31, 2018

      2 손희정, "혐오의 시대-2015, 혐오는 어떻게 문제적 정동이 되었는가" 32 : 12-42, 2015

      3 Nussbaum, M., "혐오에서 인류애로 : 성적지향과 헌법" 뿌리와이파리 2016

      4 배은경, "현대 한국의 인간 재생산 여성, 모성, 가족계획사업" 시간여행 2012

      5 맥스무비, "피의 연대기’ 알고 보면 더 재밌다 | 김보람 감독이 들려준 취재 비하인드 15"

      6 김보람, "피의 연대기 [영화]"

      7 서울독립영화제, "피의 연대(連帶)가 흘러가는 곳- <피의 연대기> 김보람감독"

      8 김지아, "포스트페미니즘 시대의 여성주의 다큐멘터리: 감독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5 (15): 104-114, 2015

      9 성새론, "탐폰설명서 [영화]"

      10 엄진, "전략적 여성혐오와 그 모순: 인터넷 커뮤니티 ‘일간베스트저장소’의 게시물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31 (31): 193-236, 2016

      11 윤보라, "일베와 여성혐오" 57 : 33-56, 2013

      12 Counihan, C., "음식과 몸의 인류학" 갈무리 2005

      13 박이은실, "월경의 정치학 : 아주 평범한 몸의 일을 금기로 만든 인류의 역사" 동녘 2015

      14 달나라 딸세포, "월경 페스티벌 2000–달떠들떠"

      15 김수아, "온라인상의 여성 혐오 표현" 한국여성연구소 15 (15): 279-317, 2015

      16 이나영, "여성혐오와 젠더차별, 페미니즘: ‘강남역 10번 출구’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사회학회 22 : 147-186, 2016

      17 이현재, "여성혐오, 그 후-우리가 만난 비체들" 들녘 2016

      18 이재경, "여성주의 역사쓰기 : 구술사 연구방법" 아르케 2012

      19 박선영, "여성의 몸, 우리가 말한다!" 15 : 210-231, 2004

      20 노지은, "아시아 지역 월경 액티비즘과 성재생산건강권(SRHR)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2016

      21 노지은, "아시아 여성들의 월경 관리 사례 연구: 생리대 선택을 중심으로" 한국여성학회 34 (34): 143-178, 2018

      22 한겨레, "서울 모든 여성청소년에게 무상생리대 지급 추진"

      23 손현주, "생리해 주세요 [영화]"

      24 김보람, "생리공감" 행성B 2018

      25 김환석, "사회과학의 새로운 패러다임, 신유물론" 25 : 1-9, 2018

      26 김숙현, "사적 다큐멘터리의 서사적 경향 및 특성: 신진 여성 다큐멘터리 감독들의 작품을 중심으로"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33 (33): 45-86, 2018

      27 프란, "본격 생리 탐구 다큐, 영화 ‘피의 연대기’ 김보람 감독과의 코멘터리"

      28 노컷뉴스, "본격 생리 탐구 다큐 '피의 연대기', 모두가 봐야 할 이유"

      29 Grosz, E., "뫼비우스 띠로서 몸" 여성문화이론연구소 2001

      30 Shilling, C., "몸의 사회학" 나남 2011

      31 경향신문, "남자 기자들이 본, 생리 다큐 ‘피의 연대기’"

      32 Wendell, S., "거부당한 몸 : 장애와 질병에 대한 여성주의 철학" 그린비 2013

      33 여성환경, "[카드뉴스] 모두를 위한 월경권" 카드뉴스

      34 리나, "[월경 페스티벌 연속기고 ⑥] 월경과 트랜스젠더"

      35 장애여성공감, "[월경 페스티벌 연속기고 ⑤] 월경하는 장애여성을 떠올리지 않는 사회, 문제는 '상상력의 부재'"

      36 Mulvey, L., "Visual Pleasure and Narrative Cinema" 16 (16): 6-18, 1975

      37 Vostral, S., "Under Wrap: A History of Menstrual Hygiene Technology" Lexington Books 2008

      38 Orlikowski, W. J., "The sociomateriality of organisational life : considering technology in management research" 34 : 125-141, 2009

      39 Martin, E., "The Women in the Body" Beacon 1987

      40 Takeshita, C., "The Global Biopolitics of the IUD : How Science Constructs Contraceptive Users and Women’s Bodies" The MIT Press 2012

      41 Delaney, J., "The Curse : A Cultural History of Menstruation"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1988

      42 Turner, B., "The Body and Society : Explorations in Social Theory" Sage Publications 1996

      43 Haraway, D., "Staying With the Trouble : Making Kin in the Chthulucene" Duke University Press 2016

      44 Fox, N. J., "Sociology and the new materialism" Sage 2017

      45 Latour, B., "Science in Action: How to Follow Scientists and Engineers through Society" Harvard University Press 1987

      46 Douglas, M., "Purity and Danger: An Analysis of Concepts of Pollution and Taboo" Praeger 1966

      47 Kristeva, J., "Powers of Horror: An Essay on Abjection" Columbia University Press 1982

      48 Bavdaz. A., "Past and Recent Conceptualisations of Sociomateriality and its Features : Review" 5 (5): 51-78, 2017

      49 Braidotti, R., "Nomadic Subjects: Embodiment and Sexual Differencein Contemporary Feminist Theory" Columbia University Press 1994

      50 Bobel, C., "New Blood: Third-Wave Feminism and the Politics of Menstruation" Rutgers University Press 2010

      51 Barad, K., "Meeting the Universe Halfway: Quantum Physics and the Entanglement of Matter and Meaning" Duke University Press 2007

      52 Grosz, E., "Material Feminisms" Indiana University Press 2008

      53 Alaimo, S., "Material Feminisms" Indiana University Press 2008

      54 Spivak, G., "Marxism and the Intperpretation of Culture"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1988

      55 Rose, N., "Global Assemblages: Technology, Politics, and Ethics as Anthropological Problems" Blackwell 439-463, 2005

      56 Aengst, J., "Feminist Technology" University of Illionis Press 55-88, 2010

      57 Foucault, M., "Discipline and Punish" Vintage 1979

      58 Lee, Minji, "Bodies of Medieval Women as Dangerous, Liminal, and Holy:Representations in the Writings of Late Medieval Religious Women" Rice University 2018

      59 김보람, "<피의 연대기> 제작노트"

      60 홍지아, "1인칭 다큐멘터리에 드러난 결혼이주여성들의 자기재현과 정체성의 자리매김"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18) : 147-181, 2011

      61 노지은, "1970년대~1990년대 생리대 광고 담론과 여성" 한국여성사학회 (21) : 219-249, 2014

      62 윤택림, "(역사와 기록 연구를 위한)구술사 연구방법론" 아르케 2019

      63 조선일보, ""소변처럼 참을 수 있는거 아냐?".. 생리 모르는 남자들"

      64 경향신문, ""생리를 생리라고 왜 말을 못해!"인사동서 생리대 붙이기 퍼포먼스"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7-07-06 학회명변경 한글명 : 아시아여성연구소 -> 아시아여성연구원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7 1.17 1.2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6 1.13 1.569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