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창업대학원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Graduate School of Entrepreneurship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79119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중소기업창업지원법 제7조에 의하여 정부는 국책 창업대학원을 설립하도록 2004년부터 2009년까지 5년간 한시적 지원을 결정했으나, 창업전문인력 육성 기반확대를 위해 2013년까지 5년간 창업...

      중소기업창업지원법 제7조에 의하여 정부는 국책 창업대학원을 설립하도록 2004년부터 2009년까지 5년간 한시적 지원을 결정했으나, 창업전문인력 육성 기반확대를 위해 2013년까지 5년간 창업대학원 지원 연장을 결정하였다. 이에 따라 각 창업대학원은 2014년 재정자립화 비율 100%로 만들어 독립적인 기관으로 전환을 해야 하며, 이를 위해 창업인지도 제고, 재정자립화 등 다양한 방안을 수립하여 검토 하여야한다.
      미국, 일본 등 선진국은 2차 대전 이후 창업관련 연구를 시작하여 박사과정 설치 등으로 창업이 학문의 한 분야로 정착되고, 기업가 정신 등을 체계적으로 연구하고 정착시켜온 반면, 우리나라의 창업교육은 초보단계이고 창업학을 전문적으로 연구하는 곳이 부족하며, 창업대학원은 특수대학원으로서 학위에 대한 사회적 인지도가 취약하고, 전문성이 낮다는 인식이 있으며, 현재 대학원 졸업 및 재학생은 학문몰입도가 낮은 직장인 등이 많아 발전에는 한계가 있다.
      즉, 국내 창업학을 세계적 수준으로 발전시켜, 창업전문인력 육성, 창업활성화를 통한 일자리 창출 등에 기여하고자 창업대학원을 전문대학원으로 전환시키는 등 창업대학원 발전방안을 모색 하여야한다.
      급속한 노령화, 베이비붐 세대 은퇴, 출산율 저하, 청년실업 증가와 맞물려 일자리 창출이 우리 사회의 주요 아젠다로 부각되고 있다. 특히 2003년 일자리 3만개가 감소된 이후 매년 지속적으로 감소추세로, 이러한 일자리 창출을 위해서는 고용창출의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중소기업 창업이 활성화되어야 하며, 창업이 지속성을 갖도록 하기 위해서는 보다 체계적인 기업가정신, 창업모델 등에 대한 연구와 교육확대가 필요하다.
      중소기업청은 ‘2010년도 중소기업에 관한 연차보고서’ 등에서 창업전문인력과 교육기관이 부족함을 지적하고 있으며, 2010.3월 현재 창업대학원 졸업자 수는 501명으로 창업활성화라는 정책목표 달성에는 부족한 면이 있다.
      창업학의 전문가로 볼 수 있는 박사학위 과정을 설치한 대학은 중앙대학교가 유일하며, 2009.12월말 현재 10여명 정도가 창업학 박사학위 과정을 이수한 것으로 나타나 우리나라 창업관련 학문적 토대는 매우미흡하다.
      기존 5개 창업대학원 졸업생의 사회진출 경로가 부족하며, 전문성을 높이기 위해 학문적 몰입도가 높은 학생의 선발․육성이 필요하나 이러한 체계 또한 부재 상태이다.
      창업을 통한 기술 혁신형 중소기업을 확충하여, 성장과 고용의 선순환 구조를 실현해 경제의 역동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창업과 관련한 전문인력육성을 통해 기업가정신, 창업활성화 모델 등을 전문적으로 연구할 필요가 있다.
      창업활성화를 위해 우리나라 창업학을 글로벌 수준으로 발전시킬 필요가 있으며, 이를 통해 창업 붐 조성을 위해서는 창업대학원을 전문대학원으로 전환이 시급하다.
      창업대학원은 직장인, 창업담당교사, 예비창업자 등을 대상으로 창업 전문인력 양성을, 전문대학원은 박사과정에서 학문적 몰입도가 높은 학생을 선발하여 창업에 특화된 교수 인력을 양성하며, 기업가정신, 창업활성화모델 등의 학문적 연구를 담당하는 시스템 구현이 절실하다.
      2004년부터 정부의 지원으로 출발해 걸음마 수준인 창업대학원은 창업교육의 중요성 인식, 창업컨설팅, 창업아이템 개발 등 창업에 대한 사회적 인지도를 높여 나가도록 확대 설치가 필요하다.
      특히 창업대학원이 배출한 졸업생이 소상공인진흥원, 창업보육센터, 중소기업상담회사, 중소기업창업투자회사 등에 우선 채용될 수 있도록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여야 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 차
      • I. 서 론 1
      • 1. 연구배경 및 목적 1
      • 가. 연구배경 1
      • 목 차
      • I. 서 론 1
      • 1. 연구배경 및 목적 1
      • 가. 연구배경 1
      • 나. 연구목적 2
      • 2. 연구범위 및 연구방법 3
      • 가. 연구범위 3
      • 나. 연구방법 3
      • II. 이론적 배경 4
      • 1. 창업대학원 현황 4
      • 가. 설치배경 4
      • 나. 운영성과 8
      • 2. 창업대학원에 대한 선행연구 11
      • 가. 창업교육의 정의 11
      • 나. 창업대학원 설립 목적 12
      • 다. 창업대학원 교육 대상 13
      • 라. 교육만족도 등 설문조사 14
      • 마. 창업대학원의 성과 17
      • a. 졸업생 현황 17
      • b. 창업대학 창업자 증가율 18
      • c. 창업대학원 미취업율 18
      • 3. 창업대학원 지원 20
      • 4. 해외 창업관련 교육 및 전문인력 육성 22
      • 가. 일본 22
      • a. 법정대학(法政大學) 22
      • b. 와세다대학 22
      • c. 일본 同志社대학 23
      • d. 일본 慶應義塾대학 23
      • 나. 미국 23
      • a. Babson College 27
      • b. University of Pennsylvania 27
      • c. Harvard University 27
      • 다. 독일 28
      • 라. 영국 29
      • 마. 호주 및 캐나다 30
      • 바. 핀란드 30
      • III. 설문조사 결과 및 분석 33
      • 1. 설문조사 방법 33
      • 가. 설문지 구성 33
      • 나. 설문조사 방법 33
      • 2. 조사자 대상자의 현황 및 특성 34
      • 가. 설문구성 및 조사범위 34
      • 나. 인구통계적 현황 34
      • 다. 학업동기와 성과 35
      • 라. 교육만족도 현황 48
      • 마. 전문대학원 전환에 대한 특성 57
      • 바. 창업지원 정책참여 현황 60
      • IV. 창업대학원의 발전 방향 66
      • 1. 전문대학원으로의 전환 66
      • 가. 법적요건 66
      • 나. 전문대학원 신설 세부기준 67
      • 다. 기존 전문대학원 사례 69
      • a. 의학 및 치과전문대학원 69
      • b. 법학전문대학원 69
      • c. 서울과학종합대학원의 레저경영전문대학원 70
      • 라. 창업대학원 졸업생 및 재학생 선호도 조사결과 71
      • 마. 창업대학원 및 창업 전문교육 관계자의 FGI 결과 72
      • a. 한밭대학교 72
      • b. 호서대학교 74
      • 바. 시사점 75
      • 2. 창업대학원의 역할제고 방안 77
      • 가. 창업교육 지원정책별 연계 시스템 구축 방안 77
      • 나. 창업지원정책별 연계 시스템 구축 방안 78
      • 다. 창업대학원의 역량 강화 79
      • 3. 프로세스 중심의 창업교육 프로그램 제언 81
      • 가. 프로세스 중심의 프로그램 개발 81
      • a. 탐색/아이디어 도출 단계 82
      • b. 1단계 평가 83
      • c. 2단계 평가 84
      • d. 사업화 전략 86
      • e. 사업화 전략의 실천 86
      • 나. 신제품 개발(NPD) 과정 86
      • V. 결 론 91
      • 1. 연구결과의 요약 및 시사점 91
      • 2. 연구의 한계 및 제언 93
      • 참고문헌 94
      • 설문지 97
      • 국문초록 ...107
      • ABSTRACT 11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