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Clinical outcome of pediatric IgA nephropathy and the significance of school urinary screening in korea: a retrospective multicenter study = 한국 소아 IgA 신병증의 임상 경과 및 이에 대한 학교소변선별검사의 의의 - 후향적 다기관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735725

      • 저자
      • 발행사항

        경산 :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7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17

      • 작성언어

        영어

      • KDC

        050 판사항(6)

      • 발행국(도시)

        경상북도

      • 형태사항

        37 p. : 삽화 ; 26 cm

      • 일반주기명

        영남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박용훈

      • UCI식별코드

        I804:47017-000002436615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영남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IgA 신병증은 전세계적으로 가장 흔한 원발성사구체신염 중 하나로 손꼽히며 한국에서도 어른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그 발병률이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IgA 신병증은 경한 증상에서 심...

      IgA 신병증은 전세계적으로 가장 흔한 원발성사구체신염 중 하나로 손꼽히며 한국에서도 어른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그 발병률이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IgA 신병증은 경한 증상에서 심각한 임상양상까지 다양한 경과를 보이고 있으며 20% 가량은 15-20년 내에 만성신장질환으로 이환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국, 중국, 일본 등의 동아시아권 국가에서는 학교 신체검사 중 요시험지검사법 (Dipstick test)을 이용해 선별검사를 의무적으로 시행하고 있으며 소아 신장질환의 조기발견과 치료에 도움이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영남 지역의 4개 대학병원 (영남대학교병원, 경북대학교병원, 부산대학교병원, 인제대학교 부산백병원)에서 IgA 신병증으로 진단된 소아 환자의 임상양상, 병리조직학적 소견, 임상경과를 후향적으로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학교소변선별검사로 내원한 환자 (SUS 군) 와 그 외 환자(Non-SUS 군)의 자료를 비교하였다.
      1985년 1월부터 2017년 1월까지 각 병원을 방문한 소아 환자 중 신 생검으로 IgA 신병증이 진단된 환자는 222명이었으며 이 중에서 기본 정보가 부족한 환자가 15명, 신생검 결과지가 불충분하였던 환자가 4명, Haas classification으로 분류되기 어려운 환자가 15명, 마지막 방문 기록이 부족한 환자가 9명으로, 총 43명의 환자가 배제되어 총 179명의 환자가 연구대상으로 선정되었다.
      IgA 신병증의 임상양상이 나타나기 시작한 나이와 진단 당시 나이는 Non-SUS 군에서 더 어리게 나타났으며, 전원 당시 임상양상은 SUS 군에서는 현미경적 혈뇨와 단백뇨가 함께 동반된 경우가 58.4%로 가장 많았고 Non-SUS 군에서는 육안적 혈뇨를 보인 경우가 64.4%로 가장 많았다. 임상양상이 마지막 추적 관찰에서 만성신장질환으로 이환되는 정도와 관련성이 있는지 살펴보았으나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다. 신생검 결과는 Haas classification으로 분류하였는데, subclass I이 41.9%로 가장 많았고, subclass V는 두 군 모두에서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subclass가 높을수록 만성신장질환으로의 진행이 많았고 치료를 받은 비율이 유의미 하게 많았다. 전자 현미경에서 paramesangium에 침착 되는 경우가 가장 많았으나 마지막 추적 관찰에서 임상적 예후와의 관련성은 찾을 수 없었다. 총 179명의 환자 중 105명이 치료를 받았고, 이들은 ACE inhibitor 또는 ARB의 단독 치료요법이나 스테로이드나 CSA의 병합치료 요법을 받았으며 치료 방법에 따른 임상적 예후의 차이는 없었다.
      연구된 환자들은 마지막 방문당시에 대부분 좋은 임상 경과를 보였으며 만성신장질환 이환의 생존율 또한 5년 생존율이 94%, 10년 생존율이 89%이었다. 비록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으나 SUS 군에서 10년 생존율이 93%, Non-SUS 군에서 85% 로 SUS 군에서 더 좋은 경과를 보여 학교소변선별검사의 중요성을 시사하였다. 다만, 연구 대상에서 배제된 인원이 43명이었고 신 생검의 적응증이 환자 마다 다르게 적용 되어 통계적 오류가 있을 수 있다. 또한 4개 대학병원의 자료를 수집하였음에도 모집단 수가 적은 단점이 있어 더 큰 규모의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ntroduction 1
      • Materials and Patients 3
      • Results 5
      • Discussion 26
      • References 33
      • Introduction 1
      • Materials and Patients 3
      • Results 5
      • Discussion 26
      • References 33
      • Korean abstract 3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