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한국산 옻나무로부터 추출.분리한 생리활성 물질들의 항산화 효과 및 세포독성 = Antioxidative and Cytotoxicity Activities of Compounds Isolated from Korean Rhus verniciflua 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63313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산 옻나무의 메탄올추출물과 유기용매 분획의 항산화 효과를 조사하였다. 항산화 효과는 수소공여 억제능, 과산화지질 형성 억제능, xanthine oxidase저해 활성과 아질산염 소거능으로 측정...

      한국산 옻나무의 메탄올추출물과 유기용매 분획의 항산화 효과를 조사하였다. 항산화 효과는 수소공여 억제능, 과산화지질 형성 억제능, xanthine oxidase저해 활성과 아질산염 소거능으로 측정한 결과, ethyl acetate 분획이 가장 뛰어난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 분획의 생리활성 물질을 분리하기 위하여, rotatory locular counter current chromatography(RLCCC), Sephadex LH-20 column chromatograpy와 HPLC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1,2,3-trihydroxybenzene, methyl 3,4,5-trihydroxybenzoat와 3,4,5-trihydroxybenzoic acid를 분리하였다. 이중 methyl 3,4,5-trihydroxybenzoate는 butylated hydroxyanisole(BHA)이나 butylated hydroxytoluene(BHT)보다도 강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세포독성 실험에서는 이들 물질들이 암세포주에 대하여 활성이 높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methyl 3,4,5-trihydroxybenzoate은 뛰어난 항산화 효과를 지닌 식품첨가물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ntioxidative activities of solvent fractions obtained from Korean Rhus vernicifera, being used in food industry and as a traditional medicine, were examined by the methods of DPPH scavenging activity, inhibitory effect on autooxidation of linoleic ac...

      Antioxidative activities of solvent fractions obtained from Korean Rhus vernicifera, being used in food industry and as a traditional medicine, were examined by the methods of DPPH scavenging activity, inhibitory effect on autooxidation of linoleic acid, nitrite scavenging activity and the inhibitory effect on xanthine oxidase activity. Ethyl acetate fraction showed potent antioxidative activities. Three compounds were isolated from the ethyl acetate fraction by rotatory locular counter current chromatography (RLCCC), Sephadex LH-20 column chromatography and HPLC. The isolated compounds were 1,2,3-trihydroxybezene, methyl 3,4,5-trihydroxybenzoate and 3,4,5-trihydroxybenzoic acid determined by GC/MS and, $^1H$ and $^{13}C$ NMR. Among the isolated compounds, methyl 3,4,5-trihydroxybenzoate showed the strongest antioxidative activity than artificial antioxidants, BHA and BHT in various methods. However, these isolated compounds did not show cytotoxicity effects on the human cancer cell lines. Therefore, we may suggest that methyl 3,4,5-trihydroxybenzoate can be used as a food additive possessing the potent antioxidative activity.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