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4세기∼5세기 초반 고구려의 남진과 임진강 유역 지배방식 = Southward Advance of Goguryeo and the Ruling System of the Imjin River Basin in the 4th and Early 5th Centu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97481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4세기에서 5세기 초반까지 고구려의 남진 과정과 그 가운데 획득한 주요 지역 중 하나인 임진강 유역의 지배방식을 고찰하는 데 있다. 4세기 고구려는 한반도 북부의 낙랑...

      본 연구의 목적은 4세기에서 5세기 초반까지 고구려의 남진 과정과 그 가운데 획득한 주요 지역 중 하나인 임진강 유역의 지배방식을 고찰하는 데 있다.
      4세기 고구려는 한반도 북부의 낙랑과 대방 고지(故地)를 장악하여 남진의 경제·군사적 기반을 확보하였으며, 375년에는 백제의 수곡성을 탈취함으로써 광개토왕대 고구려가 임진강 유역으로 진출할 수 있는 교두보를 마련하였다. 396년 백제를 향한 대대적인 공세를 통해 임진강 유역을 완전히 확보한 고구려는, 409년 이곳의 방어와 영역 지배를 위해 6개의 성을 축조하였다.
      한편, 6성의 설치와 함께 임진강 유역에는 평양 지역의 민호들이 이주되었다. 이는 기존의 재지 세력을 견제하고, 부족한 인력을 보충하며, 생산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목적이었다. 더불어 이곳에서는 둔전의 흔적이 확인되며, 수취 및 역역 체계 역시 작동되었다. 또한 임진강 유역에는 행정과 군사의 역할을 동시에 담당하는 지방관인 ‘수사(守事)’가 파견되었는데, 수사는 호로고루(瓠蘆古壘)에 거처하면서 6성을 총괄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고구려의 임진강 유역 지배는 장수왕대 백제의 수도 한성 공격과 이후의 남진이 지속되는 기반으로 작용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outhward advance process of Goguryeo from the 4th century to the early 5th century and its ruling method of the Imjin River basin, one of the major areas acquired among the process. In 409, Goguryeo built 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outhward advance process of Goguryeo from the 4th century to the early 5th century and its ruling method of the Imjin River basin, one of the major areas acquired among the process. In 409, Goguryeo built six castles for territorial domination and the defense of the Imjin River basin. In particular, the migration of people from Pyongyang(平壤) along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six castles aimed to check on existing indigenous forces, replenish manpower and increase productivity. In addition, garrison farms(屯田) were performed, and taxation and labor mobilization were enforced. The provincial officer dispatched to the Imjin River basin was ‘Susa(守事)’. Moreover, the rule over the Imjin River basin became the basis for Goguryeo’s attack on Hanseong, the capital of Baekje, in 475, and its subsequent advance to the south.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