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아동작교육수업의 팀기반학습 적용 효과 = The Effect of Team-Based Learning on Early Childhood Movement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12964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팀기반학습을 적용한 유아동작교육 수업이 학습자의 학습동기, 학습태도 및 수업참여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 대상은 M대학교 유아교육과 1학년생...

      본 연구는 팀기반학습을 적용한 유아동작교육 수업이 학습자의 학습동기, 학습태도 및 수업참여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 대상은 M대학교 유아교육과 1학년생으로, 집단의 동질성 검증을 확보한 실험집단 30명, 비교집
      단 30명 총 60명 이었다. 2015년 2학기 중 주당 3시간씩 6주 동안 실험집단에게는 팀기반학습을 적용하였고, 비교집단은 동기간 동안 강의식 수업을 적용하였다. 자료수집은 실험처치 전후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평균에 의한 독립 표본 t-검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팀기반학습을 적용한 실험집단이 강의식 수업을 한 비교집단보다 학습동기, 학습태도 및 수업 참여도에 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팀기반학습이 학습자의 학습동기를 유발시키고, 학습태도를 변
      화시키고, 그리고 수업참여도를 높이는데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유아동작교육 수업에 팀기반학습이 효과적인 교수법임을 알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eam-Based Learning program on learning motivation, learning attitude, and learners participation in class in the early childhood movement. The objects of study was 60 students(experimental grou...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eam-Based Learning program on learning motivation, learning attitude, and learners participation in class in the early childhood movement. The objects of study was 60 students(experimental group: 30, control group: 30), those who have major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ttending M university. Team-Based Learning was processed a 3 hours week for 6 weeks to the experimental group. Control group takes classes with lecture instruction a 3 hours week for 6 weeks. The data collection make use of the question paper at experimentation before and after. The measurement date was analyzed through independent t-test on mean values in the pretest and the posttest.
      The results of this as follows, learning motivation, learning attitude, and learners participation of experimental group that was involves in applied Team-Based Learning was than the control group. This shows that has a positive effect the learning motivation, learning attitude, and learners participation in class of students.
      In conclusion, Team-Based Learning is a useful teaching on the early childhood movement. Therefore, the programs based on Team-Based Learning effective for enhance learning motivation, learning attitude, and learners participation, they will be used widely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차민정, "학습자의 수업 참여 측정도구 개발" 한국교육방법학회 22 (22): 195-219, 2010

      2 조형정, "학습과정과 성과개선을 위한 팀 기반 학습의 개념적 탐색" 교육종합연구소 6 (6): 27-42, 2008

      3 서지혜, "팀기반학습이 간호대학생의 학습성과에 미치는 효과" 서남대학교 대학원 2012

      4 최경옥, "팀기반학습(Team-Based Learning)이 간호학생의 문제해결능력과 비판적사고 및 자기주도학습에 미치는 효과" 동서간호학연구소 20 (20): 154-159, 2014

      5 Michaelsen, L, "팀기반학습" 학지사 2009

      6 김민주, "팀 기반 학습이 사회과 학업성취도와 자기효능감, 교과 흥미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7 박수정, "팀 기반 학습(Team-based Learning)을 적용한 ‘교육행정 및 교육경영’ 강의의 설계·운영과정 및 평가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32 (32): 51-78, 2014

      8 박인숙, "치면세마 교육의 팀기반학습 (Team-Based Learning)효과" 조선대학교 대학원 2009

      9 이경주, "초등학교 고학년의 수학 선행학습과 수업참여도 및 학습동기의 상관관계"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10 하채연, "초등 과학 수업에서의 팀 기반 학습모형이 학업 성취도와 정서지능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 (20): 1-26, 2014

      1 차민정, "학습자의 수업 참여 측정도구 개발" 한국교육방법학회 22 (22): 195-219, 2010

      2 조형정, "학습과정과 성과개선을 위한 팀 기반 학습의 개념적 탐색" 교육종합연구소 6 (6): 27-42, 2008

      3 서지혜, "팀기반학습이 간호대학생의 학습성과에 미치는 효과" 서남대학교 대학원 2012

      4 최경옥, "팀기반학습(Team-Based Learning)이 간호학생의 문제해결능력과 비판적사고 및 자기주도학습에 미치는 효과" 동서간호학연구소 20 (20): 154-159, 2014

      5 Michaelsen, L, "팀기반학습" 학지사 2009

      6 김민주, "팀 기반 학습이 사회과 학업성취도와 자기효능감, 교과 흥미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7 박수정, "팀 기반 학습(Team-based Learning)을 적용한 ‘교육행정 및 교육경영’ 강의의 설계·운영과정 및 평가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32 (32): 51-78, 2014

      8 박인숙, "치면세마 교육의 팀기반학습 (Team-Based Learning)효과" 조선대학교 대학원 2009

      9 이경주, "초등학교 고학년의 수학 선행학습과 수업참여도 및 학습동기의 상관관계"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10 하채연, "초등 과학 수업에서의 팀 기반 학습모형이 학업 성취도와 정서지능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 (20): 1-26, 2014

      11 이수영, "초등 과학 수업에서 팀 기반 학습이 학습자의 과학 개념 이해도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30 (30): 415-429, 2011

      12 張熙貞, "주사방법 교육을 위한 코스웨어 개발 및 효과"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6

      13 이영민, "전문계 고등학교에서 팀 기반 학습방법이 학습자의 과제수행, 학습활동, 동기에 미치는 영향" 한국직업교육학회 30 (30): 51-71, 2011

      14 허예라, "의학교육에서의 팀 바탕학습 운영과 효과성에 대한 고찰" 한국의학교육학회 25 (25): 271-277, 2013

      15 박영희, "유아동작교육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 원광대학교 대학원 2008

      16 곽은순, "유아동작교육에 관한 교과교육학적 지식의 특성 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 22 (22): 261-283, 2015

      17 이경희, "유아놀이지도에 대한 팀 기반 학습(Team-Based Learning)의 효과 - 학습태도, 학습동기,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중심으로 -" 대한사고개발학회 8 (8): 151-170, 2012

      18 이영민, "웹 기반 팀 학습환경에서 사회적 친밀감과 학습자의 참여도 및 과제수행 간 상관분석" 한국정보교육학회 10 (10): 307-314, 2006

      19 이은희, "움직임 개념에 기초한 유아동작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9

      20 한국교육개발원, "사고력 신장을 위한 프로그램개발연구(Ⅰ)" 한국교육개발원 1987

      21 황선영, "문제중심학습(PBL)이 간호학생의 학업 성취도, 비판적 사고력, 학습태도 및 동기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3

      22 Mosston, M., "모스턴의 체육교육 스타일" 대한미디어 2003

      23 정성휘, "모바일 평가를 도입한 팀기반학습 수업설계와 효과에 대한 탐색적 연구- I대학 비서실무실습 수업사례를 대상으로 -" 한국비서학회 23 (23): 51-69, 2014

      24 최윤미, "대학에서의 팀 학습 활동에 대한 학습자의 평가" 한국교육방법학회 22 (22): 143-163, 2010

      25 문규진, "구성주의에 의한 체육 교재론" 양서원 1999

      26 김은심, "구성주의 이론에 기초한 유아동작교육수업이 예비유아교사의 동작교육에 대한 인식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9 (9): 31-56, 2005

      27 정상수, "구성주의 교수법에 의한 유아 동작교육이 자기조절능력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 18 (18): 83-106, 2011

      28 이영민, "공업계 고등학교 수업에서 팀 기반 학습모형 적용에 관한 형성적 연구" 대한공업교육학회 36 (36): 1-23, 2011

      29 한수정, "간호대학생에 팀기반 학습 적용의 효과"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1 (11): 595-602, 2013

      30 김윤경, "‘약리학’수업의 팀기반학습 설계 및 운영사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5 (15): 309-334, 2015

      31 Fink, L. D., "Team-Based Learning: A transformative use of small groups" Praeger Publisher 3-26, 2004

      32 Lane, D., "Teaching skills for facilitating team-based learning" 116 : 55-68, 2008

      33 Brophy, J. E., "Motivating students to learn" McGraw-Hill 1998

      34 Keller, JM., "Instructional design theories and models: An overview of their current status" Lawrence Erlbaum Association 1994

      35 Trilling, B., "21st century skills: Learning for life in our times" John Wiley & Sons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9 1.29 1.3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7 1.42 1.436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