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학생들의 수업 적응도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를 위한 연구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Class Adjustment Scale for University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12964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대학교에서 학습자의 수업 적응을 파악할 수 있는 측정도구를 개발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그 동안 학업 단위의 적응과 관련한 선행 연구들이 이루어지기는 하였으나, 개별 수...

      본 연구는 대학교에서 학습자의 수업 적응을 파악할 수 있는 측정도구를 개발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그 동안 학업 단위의 적응과 관련한 선행 연구들이 이루어지기는 하였으나, 개별 수업과 관련한 적응 척도를 개발하려는 연구는 미비하였다. 이
      에 자체 제작한 문항으로 3월과 5월 2회에 걸쳐 경북 지역의 대학생 425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수업 적응도 측정도구는 Cronbach’s 알파계수가 .84로 나타났으며, 역문항으로 발생한 방법효과를 가진 1요
      인 구조를 보이고 학업 성취도를 예언하는데 유의미한 측정 도구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계열 간 측정틀 동일성 검증이 만족되었으며, 측정단위 동일성은 13개 문항 중 8개, 측정원점 동일성은 13개 문항 중 4개 문항에서 지지되었다. 계열 간 요인평균 비교 결과, 교양·공학 집단에 비해 사회과학 집단의 요인평균 점수는 낮게 나타났으며, 계열 간 점수를 연계를 통해 계열 간척도 점수의 전환표를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측정 도구가 교육현장에서 학습의 질적인 향상에 기여하기를 기대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scale about the class adjustment for university students. Several precedent studies examined the students’ adjustment at the level of whole curriculum, but there were few or no studies related to the adju...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scale about the class adjustment for university students. Several precedent studies examined the students’ adjustment at the level of whole curriculum, but there were few or no studies related to the adjustment in each lecture. The survey with developed scale was conducted twice in March and May among 425 university students in Gyeongsangbuk-do area.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reliability of the developed scale was .84, and this scale which had one-factor-structure with the method effect from reversed question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o predict academic achievement. Also, configural invariance was satisfied,
      and 8 items of partial metric invariance and 4 items of partial scalar invariance were supported. Factor mean comparison showed that social science classes were lower than other groups. As a result we could provide a conversion table among the three scales scores. Lastly, we expected that the class adjustment scale was useful to improve the quality of students’ learning in the educational fiel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순묵, "한국판 CPGI와 원본척도(CPGI) 간 측정동등성 및 점수연계 가능성" 한국임상심리학회 31 (31): 401-425, 2012

      2 김아영, "학업동기 척도 표준화 연구" 한국교육평가학회 15 (15): 157-184, 2002

      3 임경혁, "학습환경, 학업성취,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1994

      4 김용래, "학습동기척도(A)와 학교적응척도(B)의 타당화 및 두 척도 변인간의 관계분석" 17 : 3-37, 2000

      5 이현정, "학생의 환경적 요인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7

      6 김영숙, "학교생활적응, 학업성취도 및 주관적 안녕감의 종단적 인과관계와 성별에 따른 차이 분석" 한국교육심리학회 29 (29): 845-871, 2015

      7 문은식,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 관련변인의 탐색적 고찰" 23 (23): 153-167, 2002

      8 성선진, "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 관련요인의 인과적 관계 분석" 충북대학교 대학원 2010

      9 명성민, "지방 사립대학교 재학생의 학습몰입과 학업중단과의 관계: 대학생활적응의 매개효과"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 (20): 21-28, 2015

      10 원세정, "중학생의 학교 무용수업 재미요인이 수업몰입, 심리적 행복감 및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동덕여자대학교 2014

      1 이순묵, "한국판 CPGI와 원본척도(CPGI) 간 측정동등성 및 점수연계 가능성" 한국임상심리학회 31 (31): 401-425, 2012

      2 김아영, "학업동기 척도 표준화 연구" 한국교육평가학회 15 (15): 157-184, 2002

      3 임경혁, "학습환경, 학업성취,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1994

      4 김용래, "학습동기척도(A)와 학교적응척도(B)의 타당화 및 두 척도 변인간의 관계분석" 17 : 3-37, 2000

      5 이현정, "학생의 환경적 요인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7

      6 김영숙, "학교생활적응, 학업성취도 및 주관적 안녕감의 종단적 인과관계와 성별에 따른 차이 분석" 한국교육심리학회 29 (29): 845-871, 2015

      7 문은식,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 관련변인의 탐색적 고찰" 23 (23): 153-167, 2002

      8 성선진, "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 관련요인의 인과적 관계 분석" 충북대학교 대학원 2010

      9 명성민, "지방 사립대학교 재학생의 학습몰입과 학업중단과의 관계: 대학생활적응의 매개효과"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 (20): 21-28, 2015

      10 원세정, "중학생의 학교 무용수업 재미요인이 수업몰입, 심리적 행복감 및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동덕여자대학교 2014

      11 임동숙, "중학생의 대인관계성향과 학교적응과의 관계"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12 이지영, "중학생의 귀인성향 및 부모학업성취압력 지각과 학교생활 적응 및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성취와의 관계"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13 김용래, "정의적 특성과 그 선행변인이 학업성적에 미치는 영향" 9 : 5-96, 1993

      14 정영홍, "적응의 개념과 교육" 20 : 147-163, 1984

      15 서은선, "일 대학 안경광학과 재학생의 진로정체감, 전공만족도, 대학생활적응, 자아존중감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시과학회 17 (17): 213-226, 2015

      16 구광모, "인터넷 과다사용 예방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인터넷 사용과 수업적응에 미치는 효과"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17 이순묵, "요인분석의 관행과 문제점" 7 (7): 1-27, 1994

      18 김정숙, "아버지 역할 수행이 중학생의 대인관계 성향 및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19 김미진,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이 지각한 자신에 대한 타인의 평가와 자아존중감 및 학교생활적응" 창원대학교 대학원 2004

      20 김옥분, "수업동기와 성격자아개념 및 학교생활적응간의 관계분석"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2

      21 장연주, "성인애착이 대학생의 자아정체감과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22 신명호, "사회계층간 자녀의 학업성취도 격차와 양육문화"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4

      23 윤지영, "비서학 전공 전문대학생의 전공선택동기, 전공만족도, 직업가치관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 한국비서학회 23 (23): 111-132, 2014

      24 최수미, "부정문항이 포함된 척도의 요인구조 및 방법효과 검증과 남녀 간의 차이 비교: Rosenberg 자기존중감 척도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 32 (32): 571-589, 2013

      25 신지영, "부모와의 갈등적 독립 및 가족응집력과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0

      26 이재선, "마이스터 고등학교 학생의 학교생활적응과 관련 변인" 한국농·산업교육학회 43 (43): 1-28, 2011

      27 조선일보, "등록금은 비싼데… 교육의 질은 OECD 꼴찌"

      28 민경화, "대학생활 적응도 테스트 개발" 35 (35): 2002

      29 이숙정, "대학생의 학습몰입과 자기효능감이 대학생활적응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심리학회 25 (25): 235-253, 2011

      30 권혜진, "대학생의 대학환경풍토지각과 대학생활적응 및 학업성취도간의 관계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7

      31 정은이, "대학생들의 교수신뢰와 학습동기 및 대학 생활적응과의 관계" 교육연구소 9 (9): 73-93, 2008

      32 김계현, "대학생 학교생활 적응검사의 예언타당도 연구" 한국상담학회 6 (6): 1103-1118, 2005

      33 어윤대, "대학교육 개혁과 국가경쟁력" 135 : 55-65, 2005

      34 정은이, "대학 적응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교육방법학회 21 (21): 69-92, 2009

      35 한수정, "대학 신입생의 음악교과 교양수업과 학업적응,사회적응 및 정서적응의 관계" 한국음악교육학회 42 (42): 291-324, 2013

      36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37 이순묵, "구조방정식 모형의 일반화 또는 집단차 연구를 위한 다집단 분석의 관행과 문제점" 43 (43): 63-112, 2011

      38 변영계,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학지사 2007

      39 이명훈, "공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학교생활 적응과 관련 변인" 대한공업교육학회 32 (32): 1-22, 2007

      40 김미영, "개인특성, 학업적응 및 대학의 취업지원 프로그램 참여와 진로준비의 관계: 비서학 전공 대학졸업 예정자를 중심으로" 한국비서학회 23 (23): 5-25, 2014

      41 이경아, "간편 대학생활적응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상담학회 9 (9): 739-754, 2008

      42 김효원, "가족체계유형 및 진로결정과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43 Browne, M. W., "Tes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Sage 1993

      44 Byrne, B. M., "Testing for the Equivalence of Factor Covariance and Mean Structures : The Issue of Partial Measurement Invariance" 105 (105): 456-466, 1989

      45 Kolen, M. J., "Test equating, scaling, and linking: Methods and practices" Springer-Verlag 2004

      46 West, S. 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oncepts, issues, and applications" Sage 56-75, 1995

      47 Bollen, K. A., "Structural Equations with Latent Variables" John Wiley & Sons, Inc 1989

      48 Cohen, J.,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Lawrence Earlbaum Associates 1988

      49 Lazarus, R. S., "Psychological stress and the coping process" McGraw-Hill 1966

      50 Lazarus, R. S., "Patterns of adjustment" McGraw-Hill 1976

      51 Baker, R. W., "Measuring adjustment to College" 31 : 179-189, 1984

      52 "KOSIS 국가통계포털"

      53 Yoon, M., "Detecting violations of factorial invariance using data-based specification searches : A Monte Carlo Study" 14 (14): 453-463, 2007

      54 Dewey, J., "Democracy and Education" FreePress 1966

      55 Cudeck, R., "Cross-validation of covariance structures" 18 : 147-167, 1983

      56 McDonald, R. P., "Choosing a multivariate model : Noncentrality and Goodness of fit" 107 : 247-255, 1990

      57 Vandenberg, R. J., "A review and synthesis of the measurement invariance literature : Suggestions, practices, and recommendations for organizational research" 3 (3): 4-69, 200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9 1.29 1.3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7 1.42 1.436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