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배 자가 결실성 ‘자수정 1호’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70095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장미과에 속하는 배는 배우체 자가 불화합성을 보이며, 이것은 단일 유전자좌의 복대립 유전자에 의하여 제어된다. ‘자수정 1호’는 농촌진흥청 국립특작과학원에서 고품질 중생종 ‘화산...

      장미과에 속하는 배는 배우체 자가 불화합성을 보이며, 이것은 단일 유전자좌의 복대립 유전자에 의하여 제어된다. ‘자수정 1호’는 농촌진흥청 국립특작과학원에서 고품질 중생종 ‘화산’에 ‘92-18-34’(오사이십세기 자식계통, S₄<SUP>sm</SUP>S₄<SUP>sm</SUP>)를 2000년에 교배하여 얻은 계통 중에 자가 결실성 및 과실, 생육 특성 조사를 통해 선발되었다. 만개기는 ‘오사이십세기’와 ‘화산’보다 1일 정도 늦으며 수세는 중, 수자는 반개장형이다. 검은별무늬병(Venturia nashicola)에는 ‘신고’ 정도로 약하고 검은무늬병(Alternaria kikuchiana)에 ‘오사이십세기’ 정도로 약하다. 자가 결실률은 72.7%로 안정된 자가 결실률을 보였다. 만개후 성숙기까지는 147일로 ‘오사이십세기’보다는 7일, ‘화산’보다는 10일 이상 빠르다. 과형은 원편원이고 과피는 황갈색이다. 평균 과중은 308g으로 ‘오사이십세기’보다 크며 당도는 13.9°Brix로 높고 산미가 있어 감산이 조화된 식미가 있으며 과즙은 풍부하고 석세포는 적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ear which belongs to the Rosacease family, has a gametophytic self-incompatibility (SI) system and its SI reaction is controlled by a single multi-allelic S-locus. ‘Jasoojung 1’ was selected from a cross between ‘Whasan’, mid-late season majo...

      Pear which belongs to the Rosacease family, has a gametophytic self-incompatibility (SI) system and its SI reaction is controlled by a single multi-allelic S-locus. ‘Jasoojung 1’ was selected from a cross between ‘Whasan’, mid-late season major pear cultivar with high fruit quality and SI and ‘92-18-34’ (S₄<SUP>sm</SUP>S₄<SUP>sm</SUP>) obtained from self cross of ‘Osa-nijisseiki’ (S₂S₄<SUP>sm</SUP>) (SM, stylar-part mutant), self-compatible bud mutant that originated from self-incompatible ‘Nijisseiki’ (S₂S₄) made in 2000 at the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and Herbal Science of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in Korea. ‘92-18-34’ was selected as a self-compatible source through field investigation. It bloomed 1 day later than ‘Osa-nijisseiki’ and 2 days earlier than ‘Whasan’ in 2007. It is medium in tree vigor and spreading in tree habit. It is classified as highly susceptible to pear scab (Venturia nashicola) similar to ‘Osa-nijisseiki’ and resistant to black spot (Alternaria kikuchiana). ‘Jasoojung 1’ had 72.7% fruiting rate by self pollination. The average optimum harvest time of ‘Jasoojung 1’ was 147 days after full bloom and it matured over 7 days earlier than ‘Osa-nijisseiki’ and ‘Whasan’. The fruit is roundish oblate in shape and greenish yellow brown in skin color. Average fruit weight was 308 g and soluble solids content was 13.9°Brix. The flesh had abundant juice and negligible gri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서언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초록
      • Abstract
      • 서언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초록
      • 인용문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