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어머니-아버지 간 아버지 양육참여 지각 차이와 유아의 상호작용적 또래놀이 간의 관계  :  부부갈등, 우울, 긍정적 양육태도의 매개효과 =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ptive gap about paternal involvement and interactive peer play of children: Mediating effects of mother`s marital conflict, depression, and parenting attitud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00551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aternal involvement is an important predictor of child-care based on the finding that father`s parenting involvement enhances positive influences on children. A large body of research in paternal involvement, however, has only focused on its qualitat...

      Paternal involvement is an important predictor of child-care based on the finding that father`s parenting involvement enhances positive influences on children. A large body of research in paternal involvement, however, has only focused on its qualitative and qualitative effects on mother, father, and the development of children, itself. Thus, with regard to the predictive relationships of perception of paternal involvement and parenting attitude,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how perceptive gap of paternal involvement between mother and father influences on children`s interactive peer play and how it relates with mother`s marital conflict, depression, and parenting attitude. It was assumed that children of parents who do not have a large gap about paternal involvement were likely to show better interactive peer play and mothers who have less gap about parental involvement with their husbands were likely to perceive less marital conflict, depression, and to have positive parenting attitude. Data of 1,553 samples from the fourth year of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were used to analyzed and the results from this current study were suggested as follow. First, the perceptive gap about paternal involvement between mother and father did not presented any direct effects on children`s interactive peer play. Second, it was proved that mother`s perceived marital conflict was mediated between the perceptive gap about paternal involvement and mother`s depression, mother`s perceived marital conflict and depression were mediated between the perceptive gap about paternal involvement and the interactive peer play of children according to the specific indirect effect by using phantom variables. These results adds to the existing body of literature by providing new sights that the perceptive gap about paternal involvement between mother and father has a critical effects on the development of children as much as the quantity and the quality of paternal involvemen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어머니와 아버지 간 아버지 양육참여에 대한 지각 차이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선행연구에서 주로 아버지의 양육참여에 대한 양과 질이 어머니, 아버지, 자녀에 어떤 영향을 미...

      본 연구는 어머니와 아버지 간 아버지 양육참여에 대한 지각 차이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선행연구에서 주로 아버지의 양육참여에 대한 양과 질이 어머니, 아버지, 자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초점을 두고 연구가 진행되었다는 문제의식에 기초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아동패널 4차년도 1,533명의 자료를 활용하여 어머니와 아버지 간의 아버지 양육참여에 대한 지각 차이가 유아의 상호작용적 또래놀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어머니가 느끼는 부부갈등, 우울, 긍정적 양육태도의 매개효과를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었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아버지 간 아버지 양육참여 지각 차이가 부부갈등, 긍정적 양육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직접효과가 나타났지만, 어머니의 우울과 유아의 상호작용적 또래놀이에 미치는 직접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팬텀변수(phantom variable)를 활용한 개별간접효과 추정 결과, 어머니-아버지 간 아버지 양육참여 지각 차이는 부부갈등을 매개로 우울에, 어머니-아버지 간 아버지 양육참여 지각 차이는 부부갈등과 우울을 매개로 긍정적 양육태도에, 아버지 양육참여 지각 차이는 부부갈등, 우울, 긍정적 양육태도를 매개로 유아의 상호작용적 또래놀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아버지의 양육참여의 절대적, 실질적 시간의 양과 질뿐 아니라 이에 대한 어머니-아버지 간 지각 차이 또한 유아발달에 큰 영향을 미침을 시사한다.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