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Mariane von Willemers Suleika-Gedichte und ihre Vertonunge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4967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서동시집』에서 괴테는 시의 배열에 큰 의미를 두었다. 그는 각각의 시들이 연작으로 서로 연관되어 있고 개별 시 사이에 소재나 재제 면에서 밀접한연관성이 있음을 보여주려고 했다. 실...

      『서동시집』에서 괴테는 시의 배열에 큰 의미를 두었다. 그는 각각의 시들이 연작으로 서로 연관되어 있고 개별 시 사이에 소재나 재제 면에서 밀접한연관성이 있음을 보여주려고 했다. 실제로 마리아네 폰 빌레머가 쓴 것으로알려진 „Was bedeutet die Bewegung?“과 „Ach, um deine feuchten Schwingen“이라고 시작하는 한 쌍의 ‘줄라이카’ 시는 우리에게 『서동시집』에 실린시들이 서로 어떻게 연관되어 있고, 서로에게 어떻게 응답하고 있는지 보여주는 예이다.
      이전의 연구들은 시작(詩作) 날짜들을 수용해 시가 쓰인 과정에 감상적인색조를 입혔다. 줄라이카 노래들은 “상황과 개인의 실제 경험”으로부터 만들어진 것이라는 것이다. 한 편(동풍 시)은 연인과의 재회 직전, 그리고 다른 한편(서풍 시)은 이별 직후에 쓴 것으로, 마리아네가 동풍 시에는 “재회의 기쁨”을, 서풍 시에는 “이별 후의 고통”을 담았다는 것이다. 전기적인 배경을근거로 연구자들은 이 시들이 내러티브적으로, 다시 말해 이야기를 하듯이 서로 관련되어 있으며, 전기적인 사건들의 순서로부터 해명될 수 있다고 결론내린다. 시간적으로 두 시 사이에 연인과의 재회가 들어가야 하고, 그 재회가두 텍스트의 공통된 소실점을 형성한다는 것이다.
      전기적인 해석은 『서동시집』과 같은 연작시가 무엇보다 개별 시들의 내러티브적인 연관을 형성하고 있다는 생각에 근거하고 있다. 강연자는 그와는 다른, 현대적인 연작 모델을 제안하고 싶다. 연작으로 묶여져 있는 시들의 순서가 반드시 일어난 일의 시간적인 순서를 가리키지는 않는다. 개별 텍스트들은오히려 비시간순으로 a-chronologisch, 그리고 변주적으로 서로 관련될 수 있다. 시적 자아가 한 시집의 여러 시 속에서 상이한 감정들을 말하는 경우, 그러한 감정의 원인을 시간 사이사이의 체험들과 전기적 사실들에서 찾을 필요는 없다. 오히려 연작의 부분들을 보완적으로, 다시 말해 동일한 상황을 동시적이면서 다양한 관점에 따른 변주들로 읽을 수 있을 것이다. 마리아네 폰 빌레머가 쓴 한 쌍의 시는 이러한 모델에 부합한다.
      서풍 시에만 곡을 붙였던 에버바인 Eberwein이나 쩰터 Zelter와 달리, 슈베르트는 1821년 초 동풍 시와 서풍 시 모두에 곡을 붙였다. 그는 동풍 시에줄라이카의 물음을 동기화하는 음악적으로 형상화된 프롤로그를 보여준다. 또한 두 가곡의 종결연들을 길게 이끌고 나가 두 곡 모두 가장 여린 피아니시모 속에서 잦아들도록 한다. 특히 슈베르트는 곡이 진행되는 중에 곡의 성격을 뚜렷하게 변화시킴으로써 형식을 중첩시키는데, 이러한 방식을 통해 시 속에서 파악한 감정의 변화를 정확히 재현하고 극적인 정점을 강조할 수 있었다. 슈베르트는 서풍 시의 중심적인 전환점을 비슷한 방식으로 특징짓는다. 4연의 명령형과 함께 템포는 느긋한 움직임에서 ‘좀 더 빨리’로 변화하며 박자는 2/4에서 3/4박자로 바뀐다. 줄라이카가 동풍 가곡에서 에필로그적으로 소리를 낮추는 것처럼, 여기서도 반 정도의 목소리로 노래를 끝맺는다.
      멘델스존은 슈베르트보다 더욱 분명하게 두 시를 한 쌍의 곡으로 작곡했다. 멘델스존에게서 연 형식은 더욱 강력하게 보존되어 있지만, 그 또한 종결연들을 변형시킨다. 1837년에 거의 연달아 나온 두 곡에서 앞의 4개의 연은반복적인 이중연으로 작곡되었다. 동풍 가곡의 마지막 두 연과 서풍 가곡의마지막 연에서야 멘델스존은 앞의...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Ort, Claus-Michael, "Zyklus. In: Reallexikon der deutschen Literaturwissenschaft. Neubearbeitung. Bd. 3" 899-901, 2003

      2 Frensch, Elke, "Westwind als lyrisches Motiv in Heidelberger Forschungen" 1978

      3 Goethe, Johann Wolfgang, "West-östlicher Divan. Eigenhändige Niederschriften" 1996

      4 Goethe, Johann Wolfgang, "West-östlicher Divan. 2 Tle. in Goethe: Sämtliche Werke. Abt. I. Bd. 3/1 und 3/2" 1994

      5 Seelig,Harry E., "Schuberts Beitrag „zu besserem Verständnis“ von Goethes Suleika-Gestalt. Eine literarisch-musikalische Studie der „Suleika-Lieder“ op. 14 und 31" 17 : 299-316, 1975

      6 Schubert, Franz, "Neue Ausgabe sämtlicher Werke. Serie IV: Lieder, Bd. 1 und 2" 1970

      7 Goethe,Johann Wolfgang, "Napoleonische Zeit. Briefe, Tagebücher und Gespräche vom 10. Mai 1805 bis 6. Juni 1816. Teil II: Von 1812 bis zu Christianes Tod in Goethe: Sämtliche Werke. Abt. II. Bd. 7" 1994

      8 Konrad Burdach Weimar, "Goethes eigenhändige Reinschrift des west-östlichen Divan. Eine Auswahl von 28 Blättern in Faksimilie-Nachbildung" 26 : 1911

      9 Pyritz, Hans, "Goethe und Marianne von Willemer [Vortrag von 1943]. In: Studien zum West-östlichen Divan Goethes" 287 : 352-374, 1971

      10 Eckermann, Johann Peter, "Gespräche mit Goethe in den letzten Jahren seines Lebens in Goethe: Sämtliche Werke nach Epochen seines Schaffens. Bd. 19" 1986

      1 Ort, Claus-Michael, "Zyklus. In: Reallexikon der deutschen Literaturwissenschaft. Neubearbeitung. Bd. 3" 899-901, 2003

      2 Frensch, Elke, "Westwind als lyrisches Motiv in Heidelberger Forschungen" 1978

      3 Goethe, Johann Wolfgang, "West-östlicher Divan. Eigenhändige Niederschriften" 1996

      4 Goethe, Johann Wolfgang, "West-östlicher Divan. 2 Tle. in Goethe: Sämtliche Werke. Abt. I. Bd. 3/1 und 3/2" 1994

      5 Seelig,Harry E., "Schuberts Beitrag „zu besserem Verständnis“ von Goethes Suleika-Gestalt. Eine literarisch-musikalische Studie der „Suleika-Lieder“ op. 14 und 31" 17 : 299-316, 1975

      6 Schubert, Franz, "Neue Ausgabe sämtlicher Werke. Serie IV: Lieder, Bd. 1 und 2" 1970

      7 Goethe,Johann Wolfgang, "Napoleonische Zeit. Briefe, Tagebücher und Gespräche vom 10. Mai 1805 bis 6. Juni 1816. Teil II: Von 1812 bis zu Christianes Tod in Goethe: Sämtliche Werke. Abt. II. Bd. 7" 1994

      8 Konrad Burdach Weimar, "Goethes eigenhändige Reinschrift des west-östlichen Divan. Eine Auswahl von 28 Blättern in Faksimilie-Nachbildung" 26 : 1911

      9 Pyritz, Hans, "Goethe und Marianne von Willemer [Vortrag von 1943]. In: Studien zum West-östlichen Divan Goethes" 287 : 352-374, 1971

      10 Eckermann, Johann Peter, "Gespräche mit Goethe in den letzten Jahren seines Lebens in Goethe: Sämtliche Werke nach Epochen seines Schaffens. Bd. 19" 1986

      11 Wehner, Ralf, "Felix Mendelssohn Bartholdy. Thematisch-systematisches Verzeichnis der musikalischen Werke (MWV). Studien-Ausgabe. Wiesbaden u. a." 13 (13): 2009

      12 Korff, Hermann August, "Die Liebesgedichte des west-östlichen Divans in zeitlicher Folge, mit Einführung und entstehungsgeschichtlichem Kommentar" Stuttgart 1949

      13 Im Namen Goethes, "Der Briefwechsel Marianne von Willemer und Herman Grimm" Grimm 1988

      14 Becker, Carl, "Das Buch Suleika als Zyklus [zuerst 1952]." 287 : 392-430, 197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20-08-03 학회명변경 영문명 : Zeitschrift fuer deutschsprachige Kultur und Literaturen -> Institut für deutschsprachige Kultur und Literatur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9-2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Zeitschrift für deutschsprachige Kultur & Luteraturen -> Zeitschrift für deutschsprachige Kultur & Literatur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8 0.18 0.1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5 0.16 0.481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