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口語와 文語의 二分을 넘어 개별 使用域 資質에 기반하는 문법 연구 제안 = Revisiting Grammar Study: Register Features over Spoken and Written Language Dichotomy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I argue that the conventional dichotomy between spoken and written language, also known as orality and literacy, may not be as suitable or useful for describing and explaining grammatical phenomena as the categorization into individual ...

      In this study, I argue that the conventional dichotomy between spoken and written language, also known as orality and literacy, may not be as suitable or useful for describing and explaining grammatical phenomena as the categorization into individual registers. I also suggest that analyzing the register features can provide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grammatical phenomena. To support this point, I show that different grammatical aspects, previously shown to be closely related to a certain types register, such as the usage of the hearer-honorific system, the historical present tense, pseudo-clefts, diary subject drop, and the pronoun geunyeo, can be interpreted in depth by analyzing register features such as interactiveness, media characteristics, unplannedness, formality, and communicative purposes or topics. I further demonstrate that the methodology described in this paper is not only useful for explaining grammatical phenomena but also for understanding the register itself, by showing that the analysis based on the register feature can help describe the characteristics of messenger conversations and spontaneous/fictitious conversation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최윤지, 2023, 구어와 문어의 이분을 넘어 개별 사용역 자질에 기반하는 문법 연구 제안, 어문연구, 197 : 5~39 본고는 구어와 문어, 혹은 구어성과 문어성의 이분이 문법 현상의 기술과 설명에 ...

      최윤지, 2023, 구어와 문어의 이분을 넘어 개별 사용역 자질에 기반하는 문법 연구 제안, 어문연구, 197 : 5~39 본고는 구어와 문어, 혹은 구어성과 문어성의 이분이 문법 현상의 기술과 설명에 그다지 적절하거나 유용하지 않으며 개별 사용역으로의 분류에 따라 논의하되 여기에서 더 나아가 사용역적 자질에 기반한 분석이 해당 현상의 본질에 대한 더 깊은 이해를 가능하게 함을 주장한다.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선행 연구에서 사용역과 긴밀히 관련된 것으로 논의된 몇 가지 문법 현상들(상대높임법, 역사적 현재, 준분열문, 일기문 주어 탈락, 인칭대명사 ‘그녀’ 등의 출현 및 사용)을 대상으로 하여 이러한 현상이 상호작용성, 매체적 특성, 실시간성, 격식성, 의사소통 목적 및 주제와 같은 상황 자질로써 더 심층적으로 해석될 수 있음을 보였다. 또한 사용역 자질에 기반한 분석이 메신저 대화와 자연대화/가공대화의 특성 기술에도 유용하게 적용된다는 것을 보임으로써 본고의 관점이 문법 현상뿐만 아니라 사용역 자체에 대한 이해를 위해서도 바람직하다는 것을 보였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