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청소년의 자기성장 집단미술치료 체험연구 =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Study on Experience of Personal growth Group Art Therapy with Adolesc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66971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자기이해 및 자기 치유의 욕구를 가진, 자발적으로 집단미술치료에 참여한 인문계 고등학생이 자기성장 집단미술치료에서 어떤 경험을 하는지, 그 체험의 의미와 본질이 무엇인...

      본 연구는 자기이해 및 자기 치유의 욕구를 가진, 자발적으로 집단미술치료에 참여한 인문계 고등학생이 자기성장 집단미술치료에서 어떤 경험을 하는지, 그 체험의 의미와 본질이 무엇인지 이해하는 데 목적을 둔다.
      청소년은 정상적인 발달 과정에 있다 하더라도 달라진 사회적 요구와 역할변화, 급격한 개인적 변화와 성장에서 비롯된 혼란을 겪을 수 있으나 그 시기를 건강하게 보낼 수 있도록 돕는 사회적 여건은 부족한 실정이다. 미술치료는 감각성ㆍ유희성을 가진 미술 매체를 활용하여 자기표현을 촉진하고, 미술 작품과의 상징적 의사소통을 통해 내면과의 대화를 이끈다. 이 과정은 자발적으로 자기를 표현하고 그 의미를 찾게 하며 자연스러운 통찰로 이어져 자기성장을 이끈다. 청소년의 정신건강은 개인적인 삶의 질뿐 아니라 사회문제의 감소와 예방에 도움이 된다는 점에서 건강한 사회를 위해서도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점에서 미술치료는 청소년 개인뿐 아니라 건강한 사회를 위한 수단이 된다.
      본 연구는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연구참여자의 자기성장 집단미술치료 체험과 체험의 의미와 본질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참여자는 자발적인 지원을 통해 집단미술치료에 참여한 S시 소재 여자 고등학교 심리 반에 소속된 예비 고3으로 총 6명이다. 본 연구자는 2019년 12월 16일부터 2020년 4월 7일까지 약 4개월 동안 사전 면담, 6회기의 자기성장 집단미술치료, 두 번의 심층 면담을 수행하여 연구참여자의 언어와 표현으로 구성된 생생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여 16개의 하위 주제와 5개의 본질적 주제를 도출하였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심리적 안정감>. <자기 탐색 경험>, <다양한 감정 수용>, <집단 소속감과 상호관계 함양>, <미래에 대한 용기>.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연구참여자의 체험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성장 집단미술치료는 연구참여자에게 자신을 치유할 수 있는 체험이 되었다. 둘째, 자기성장 집단미술치료는 연구참여자에게 자기를 탐색하는 체험이 되었다. 셋째, 자기성장 집단미술치료는 연구참여자에게 자신의 다양한 감정을 수용하고 통합하게 되는 체험이 되었다. 넷째, 자기성장 집단미술치료는 연구참여자에게 타인의 시각을 수용하고 자신을 바라보는 관점의 확장을 이루는 체험이 되었다. 다섯째, 자기성장 집단미술치료는 연구참여자에게 미래에 대한 용기를 가지게 하는 체험이 되었다.
      본 연구의 결론을 바탕으로 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발달적 독특성과 욕구를 이해하고, 이들의 건강한 성장을 지원하기 위한 전문성을 가진 청소년 미술치료사의 필요성을 제언한다. 둘째, 학교 기반 집단미술치료의 시행을 제언한다. 셋째, 청소년의 건강한 성장을 위한 사회적 관심과 국가적 차원에서의 지원과 협력을 제언한다. 마지막으로, 청소년 미술치료연구에서의 대상 확장을 통해 다양한 청소년을 포용할 수 있는 집단미술치료 후속 연구를 제안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what the high school students who voluntarily participate in group art therapy with the desire for self-understanding and self-healing experience in personal growth group art therapy, and what the meaning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what the high school students who voluntarily participate in group art therapy with the desire for self-understanding and self-healing experience in personal growth group art therapy, and what the meaning and nature of this experience are.
      Even if they are in the normal course of development, adolescents may experience emotional strain caused by social demands, role changes, and rapid personal changes and growth, but there are lack of social conditions to help them stay healthy. Art therapy promotes self-expression using art media with sensory and playfulness, and leads dialogue with the inside through symbolic communication with art works. This process leads to personal growth by expressing oneself and finding its meaning, leading to natural insight. Mental health of adolescents is very important for a healthy society in that it helps not only to improve the quality of personal life but also to reduce and prevent social problems. In this regard, art therapy is a means for adolescents and a healthy society.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participants’ personal growth group art therapy experience, and the meaning and nature by applying van Manen's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research. A total of 6 participants who voluntarily participating in group art therapy are high school students belong to the psychological class in the girls' high school located in S City. From December 16, 2019 to April 7, 2020, the researcher collect a data consisting of the participants’ language and expressionsby conducting prior interview, six personal growth group art treatments, and two in-depth interviews. As a result of analyzing this collected data, sixteen sub-themes and five essential themes were derived. The contents are as follows.
      <Psychological stability>. <Self exploration experience>, <Accommodation of various emotions>, <Cultivate a sense of belonging and mutual relations with the group>, <Courage for the futur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conclusions of the participants' experiences are as follows. First, self-grown group art therapy has become an experience that can heal oneself to study participants. Second, personal growth group art therapy became an exploration experience for participants. Third, personal growth group art therapy became an experience in which participants accept and integrate their various emotions. Fourth, personal growth group art therapy became an experience to accept the perspectives of others and to expand their perspectives on themselves. Fifth, personal growth group art therapy has become an experience that encourage participants for the future.
      The following are suggestions based on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First, it suggests the necessity of adolescent art therapists who understand the developmental uniqueness and needs of adolescents and have expertise to support their healthy growth. Second, it suggests the implementation of school-based group art therapy. Third, it suggests social interest for the healthy growth of youth and the need for support and cooperation between government departments. Lastly, I propose to expand the subject in the study of adolescent art therapy that can embrace various adolescen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문제 6
      • Ⅱ. 이론적 배경 7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문제 6
      • Ⅱ. 이론적 배경 7
      • 1. 청소년의 이해 7
      • 가. 청소년의 개념 7
      • 나. 청소년의 발달적 특징 8
      • 2. 청소년 미술치료 10
      • 가. 청소년 미술치료 10
      • 나. 청소년 집단미술치료 13
      • 다. 청소년 자기성장 미술치료 16
      • 3. 해석학적 현상학 18
      • 가.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방법 18
      • 나. 미술치료에서 해석학적 현상학 22
      • Ⅲ. 연구방법 및 절차 27
      • 1. 연구 설계 27
      • 2. 미술치료의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방법 27
      • 가. 생생한 체험의 본질에 집중 28
      • (1) 현상 지향 28
      • (2) 현상학적 질문 형성 29
      • (3) 연구자의 선 이해와 가정 29
      • 나. 실존적 탐구 30
      • (1) 문학과 예술작품으로부터의 경험적 묘사 30
      • (2) 연구자 자신의 체험 37
      • (3) 연구참여자 선정 40
      • (4) 자료 수집 41
      • 다. 연구의 신뢰도와 타당도 43
      • 라. 연구참여자에 대한 윤리적 고려 46
      • 마. 미술치료 프로그램 47
      • (1) 1회기 49
      • (2) 2회기 50
      • (3) 3회기 51
      • (4) 4회기 52
      • (5) 5회기 53
      • (6) 6회기 54
      • Ⅳ. 해석학적 현상학적 반성 56
      • 1. 주제 분석 56
      • 2. 본질적 주제 56
      • Ⅴ. 해석학적 현상학적 글쓰기 78
      • Ⅵ. 결론 및 논의 87
      • 참고문헌 96
      • 부 록 1. 연구 참여 안내서 및 동의서 103
      • Abstract 10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