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동북아시아 지역공동체와 평화권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97168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해방 70주년 등을 맞아 ‘동아시아 평화선언’, ‘동북아 공동의 집’ 등 동아시아 평화공동체 논의가 활발하다. 동아시아 공동체 논의는 경제공동체, 정치안보공동체, 지역정체성, 대안체...

      해방 70주년 등을 맞아 ‘동아시아 평화선언’, ‘동북아 공동의 집’ 등 동아시아 평화공동체 논의가 활발하다. 동아시아 공동체 논의는 경제공동체, 정치안보공동체, 지역정체성, 대안체제담론으로 유형화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논의되고 있는 공동체론은 그 구상의 뛰어남에도 불구하고, 공동체론의 대상이 되는 동아시아 개념이 모호하고, 목표지점이 광범위하며, 어떤 국가상을 지향할 것인지, 기반이 되는 권리론은 무엇인지 등의 과제를 안고 있다. 이런 문제점을 나름 해소하기 위한 방편으로 평화권에 기초한 동북아지역 평화공동체론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초국가적 지역공동체의 대상으로 동아시아 등이 논의되고 있으나 그 실질은 동북아시아이므로 동북아시아(남북한, 일본, 중국, 몽골)를 출발대상으로 하고, 평화를 중심으로 하는 정치안보공동체론을 논의할 필요가 있다. 동북아 평화공동체를 위한 평화구축의 과정은 국가의 외교국방정책을 견제 감시하고, 때로는 국가로 하여금 평화적 외교안보정책을 펼칠 수 있도록 청구하여야 하며, 전쟁과 평화의 당사자인 민간인도 국경을 넘어 연대하여야 하는 거버넌스의 과정으로 보아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유엔인권이사회 등에서도 활발히 논의되고 있는 인권으로서의 평화 즉 평화권이 기초가 되어야 할 것이다.
      평화권에 기초한 평화공동체는 상호간의 주권존중, 평화적 수단에 의한 분쟁해결, 동북아 비핵지대화를 필두로 하는 군축, 한반도의 평화협정체결, 열린 지역주의와 복합국가론, 인간안보를 그 내용으로 하여야 한다.
      이를 위한 실천프로그램으로 국가 간에는 9.19공동성명, 두 차례에 걸친 남북정상에 의한 공동선언 등이 있었으며, 민간들 사이에서도 한반도 평화와 ‘동북아 비핵지대화’ 등을 내용으로 하는 울란바토르 프로세스, NPT재검토회의에서의 지구시민선언 등이 합의 또는 발표된 바 있다.
      미-이란간 핵협상 타결, 미-쿠바간 국교정상화 및 한반도를 둘러싼 각종 평화체제 구축을 위한 그간의 합의 등에 비추어 본다면 동북아 평화체제 구축의 가능성이 그 어느 때보도 열려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비핵화와 평화체제구축의 병행추진, 과거사문제에 대한 반성과 진실규명 등의 필요한 때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gion is multilayered concept. Sometimes central vs region, sometimes state vs region. We need to attention to the region as a transnational concep. The North East Asian Community is one of the transnational concept of east asian region. Recently,...

      Region is multilayered concept. Sometimes central vs region, sometimes state vs region. We need to attention to the region as a transnational concep. The North East Asian Community is one of the transnational concept of east asian region.
      Recently, many ‘East Asia Community’ is emerging based on east asia. 1990, Mahathir Mohamad suggested the east asian economic group, after asian economic crisis, asian countries made ASEAN+3(Korea, Japan, China). Yukio Hatoyama also insist another kind of ‘East Asia Community’. Haruki Wada and Sang-Jung Kang insist ‘North East Common House’ which include protection of environment, economical cooperation, regional security. Former president Muhyun Ro advocated ‘Korea as a Balancer in Northeast Asia’
      There are four type of ‘East Asia Community’. first, ‘East Asia Community’ as a economical community like a ASEAN. Second, ‘East Asia Community’ as a political and security community. Third, ‘East Asia Community’ as a regional identity, like Confucian capitalism. Fourth, ‘East Asia Community’ as a alternative social system.
      I think ‘The North East Asia Community’ should base on human security. In this aspect we need to pay attention to the right to peace UN declared the right to peace as a human right in 1984, and now promoting the peace to right. like as Japanese constitution. ‘North East Asia Community’ also based on open regionalism. There are couple of acting program and regional consent for instance 9.19 statement agreed by the six party talks. In this agreement, east asian countries surrounding korean peninsula make peace forum for ensure asian regional peace regime.
      ‘North East Asia Community’ has a potential abilities for sustainable regional peace regime, under facing historical issues between east asian countries, and run parallel with non nuclear weapons and peace building.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I. 들어가는 말
      • II. 동아시아 지역공동체론의 현황과 유형
      • III. 평화권에 기초한 동북아시아지역 평화공동체론
      • IV. 가능성과 조건
      • 〈국문초록〉
      • I. 들어가는 말
      • II. 동아시아 지역공동체론의 현황과 유형
      • III. 평화권에 기초한 동북아시아지역 평화공동체론
      • IV. 가능성과 조건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설준규, "흔들리는 분단체제" 창작과 비평사 1998

      2 박경서, "헬싱키프로세스와 동북아 안보협력" 한국학술정보 2012

      3 조성렬, "한반도 평화체제" 푸른나무 2007

      4 조민, "평화통일의 이상과 현실" 백산서당 2004

      5 요한 갈퉁, "평화적 수단에 의한 평화" 들녘 2000

      6 이경주, "평화권의 이해" 사회평론사 2014

      7 최원식, "탈냉전시대와 동아시아적 시각의 모색" 창작과 비평사 21 (21): 1993

      8 이종석, "칼날 위의 평화" 개마고원 2014

      9 백낙청, "새로운 전지구적 문명을 위하여" 역사비평사 24 (24): 1996

      10 구갑우, "비판적 평화연구와 한반도" 후마니타스 2007

      1 설준규, "흔들리는 분단체제" 창작과 비평사 1998

      2 박경서, "헬싱키프로세스와 동북아 안보협력" 한국학술정보 2012

      3 조성렬, "한반도 평화체제" 푸른나무 2007

      4 조민, "평화통일의 이상과 현실" 백산서당 2004

      5 요한 갈퉁, "평화적 수단에 의한 평화" 들녘 2000

      6 이경주, "평화권의 이해" 사회평론사 2014

      7 최원식, "탈냉전시대와 동아시아적 시각의 모색" 창작과 비평사 21 (21): 1993

      8 이종석, "칼날 위의 평화" 개마고원 2014

      9 백낙청, "새로운 전지구적 문명을 위하여" 역사비평사 24 (24): 1996

      10 구갑우, "비판적 평화연구와 한반도" 후마니타스 2007

      11 임우경, "비판적 지역주의로서 한국 동아시아론의 전개" 한국중국현대문학학회 (40) : 1-51, 2007

      12 이종석, "분단시대의 통일학" 한울 1998

      13 백영서, "동아시아의 지역질서: 제국을넘어 공동체로" 역사비평사 2005

      14 백영서, "동아시아의 귀환" 창작과 비평 2000

      15 변창구, "동아시아공동체 담론의 제도화: ASEAN의 인식과 전략" 한국정치정보학회 13 (13): 99-115, 2010

      16 백낙청, "동아시아공동체 구상과 한반도" 역사비평사 2010

      17 박승우, "동아시아 지역주의 담론과 오리엔탈리즘" 동아연구소 (54) : 7-47, 2008

      18 박승우, "동아시아 공동체 담론 리뷰" 1 (1): 2011

      19 강상중, "동북아시아 공동의 집을 향하여" 뿌리와 이파리 2002

      20 와다 하루키, "동북아시아 공동의 집" 일조각 2004

      21 이삼성, "동북아 비핵지대" 살림 2005

      22 정욱식, "동맹의 덫" 삼인 2005

      23 김종대, "노무현 시대의 문턱을 넘다" 나무의 숲 2010

      24 小林正弥, "非戦の哲学" ちくま親書 2003

      25 水島朝穂, "集団的自衛権" 岩波書店 2015

      26 飯田泰士, "集団的自衛権" 彩流社 2014

      27 君島東彦, "立憲的ダイナミズム" 岩波書店 2015

      28 湯浅一郎, "沖縄と東北アジアの非核化" 2015

      29 和田春樹, "東北アジア共同の家ー新地域主義宣言" 平凡社 2001

      30 姜尙中, "東北アジア共同の家をめざして" 平凡社 2001

      31 磯崎典世, "朝鮮半島と東アジア" 岩波書店 2015

      32 横田喜三郎, "戦争の放棄" 国立書店 1947

      33 小林武, "平和的生存権の弁証" 日本評論社 2006

      34 山内敏弘, "平和憲法の理論" 日本評論社 1992

      35 千葉真, "平和憲法と公共哲学" 晃洋書房 2007

      36 山内敏弘, "安全保障法制と改憲を問う" 2015

      37 遠藤誠治, "安全保障とは何か" 岩波書店 2015

      38 John H.E. Fried, "The UN’s Effort to Establish a Right of the Peoples to Peace" 21 : 1990

      39 Teena Moorhouse, "The Right to Peace or the Right to live in Peace" 120 : 1981

      40 Calos Villàn Duràn, "The International Observatory of the Human Right to Peace" Spanish.Society for International Human Rights Law 2013

      41 Calos Villàn Duràn, "The Emerging Right to Peace: Its Legal Foundations" Intersentia 2014

      42 Farooq Hassan, "Solidarity Rights:Progresssive Evolution of International Human Rights Law?" 51 : 1983

      43 Marco Macia, "Peace Human rights" Marsilio 2014

      44 Ved P. Nanda, "Nuclea Weapons and the Right to Peace under International Law" (283) : 198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2 1.12 1.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7 0.95 1.123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