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한국의 소득 불평등의 계급적 분석 = Inequality in Income Distribution in Korea: A Class Analysi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16153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의 소득 불평등에 대한 기존 연구들은 개인적 소득분배와 기능적 소득분배를 중 심으로 이루어졌는데, 이들에는 계급적 관점이 결여되어 있는 문제가 있다. 이 논문에서 는 계급적 시각...

      한국의 소득 불평등에 대한 기존 연구들은 개인적 소득분배와 기능적 소득분배를 중 심으로 이루어졌는데, 이들에는 계급적 관점이 결여되어 있는 문제가 있다. 이 논문에서 는 계급적 시각에서 착취율, 즉 잉여가치율을 추정하고, 국가의 조세 징수 및 정부지출 을 통한 소득재분배 효과를 순소득이전 비율이라는 개념으로 검토했다. 이에 근거해 한 국에서 소득분배의 불평등에 대해 다음과 같은 대안적 설명을 제시했다. 첫째, 1997년 경제위기 이전에 존재했다고 주장되는 이른바 ‘분배에 기초한 성장’ 체제는 근거 없는 신화다. 둘째, 1997년 경제위기 이후 한국 사회의 신자유주의적 전환, 이른바 ‘97년 체 제’의 핵심은 노동자 착취 강화를 통한 자본의 이윤율 회복이며, 소득분배의 불평등 심 화는 그 결과다. 셋째, 2008년 글로벌 경제위기 이후 한국의 잉여가치율은 고율에서 유 지되고 있으며 소득분배의 불평등 역시 개선되지 않고 있다. 넷째, 2008년 글로벌 경제 위기 이전까지 한국에서 국가는 자본에서 노동으로의 소득이전을 달성하지 못했고, 그 이후로는 노동으로의 소득이전이 일어났지만 그 크기는 여전히 국제적 수준에 미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불평등 추세를 반전시키지도 못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class analysis of the income distribution in Korea. Existing works on the income inequality in Korea mainly concentrated on analyzing the functional and income distribution, which are problematic because they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class analysis of the income distribution in Korea. Existing works on the income inequality in Korea mainly concentrated on analyzing the functional and income distribution, which are problematic because they lack the class perspective. By introducing a class perspective, this study estimates the Marxian rate of exploitation and its determinants. It examines the redistribution of income through tax collection and government expenditure by the state in terms of the Ratio of Net Income Transfer. The conventional wisdom that ameliorating income inequality accompanied the high economic growth during the 1970s and 1980s is groundless. Korean workers were severely exploited at a high and non-decreasing rate during the period.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the essence of the neoliberal turn of Korean society after the crisis of 1997 is nothing else than the recovery of the capitalist profitability, enabled by intensified exploitation of the working class. The alarming increase in income inequality is the result. Before the 2008 global economic crisis, the state did not achieve income transfer from capital to labor in Korea. After the 2008 crisis, income transfer to labor has occurred. However, the size is still below the average level of OECD countries and is not enough to reverse the overall trend of inequalit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성진 ; 정구현, "한국자본주의의 재생산표식, 1960-2014년" 한국사회경제학회 32 (32): 51-83, 2019

      2 김낙년, "한국의 소득집중도: update, 1933~2016" 11 (11): 1-32, 2018

      3 주상영, "한국의 소득주도 성장: 여건 분석 및 정책적 논의" 국회예산정책처 6 (6): 117-149, 2017

      4 이우진, "한국의 소득 및 자산의 불평등: 현황과 과제" 정부학연구소 24 (24): 29-59, 2018

      5 홍장표, "한국의 기능적 소득분배와 경제성장 ― 수요체제와 생산성체제 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경제발전학회 20 (20): 67-97, 2014

      6 조복현, "한국의 금융시스템 변화: 금융화의 발전" 한국사회경제학회 (29-1) : 253-296, 2007

      7 김낙년, "한국에서의 부와 상속, 1970-2014" 경제사학회 41 (41): 127-160, 2017

      8 이강국, "한국경제의 노동생산성과 임금, 그리고 노동소득분배율" 한국경제학회 12 (12): 73-94, 2019

      9 정구현, "한국 자본주의의 생산과 재생산 구조의 변화: 1980~2011" 경상국립대학교 대학원 2015

      10 류동민 ; 주상영, "피케티 이후의 마르크스비율" 한국사회경제학회 (45) : 161-183, 2014

      1 정성진 ; 정구현, "한국자본주의의 재생산표식, 1960-2014년" 한국사회경제학회 32 (32): 51-83, 2019

      2 김낙년, "한국의 소득집중도: update, 1933~2016" 11 (11): 1-32, 2018

      3 주상영, "한국의 소득주도 성장: 여건 분석 및 정책적 논의" 국회예산정책처 6 (6): 117-149, 2017

      4 이우진, "한국의 소득 및 자산의 불평등: 현황과 과제" 정부학연구소 24 (24): 29-59, 2018

      5 홍장표, "한국의 기능적 소득분배와 경제성장 ― 수요체제와 생산성체제 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경제발전학회 20 (20): 67-97, 2014

      6 조복현, "한국의 금융시스템 변화: 금융화의 발전" 한국사회경제학회 (29-1) : 253-296, 2007

      7 김낙년, "한국에서의 부와 상속, 1970-2014" 경제사학회 41 (41): 127-160, 2017

      8 이강국, "한국경제의 노동생산성과 임금, 그리고 노동소득분배율" 한국경제학회 12 (12): 73-94, 2019

      9 정구현, "한국 자본주의의 생산과 재생산 구조의 변화: 1980~2011" 경상국립대학교 대학원 2015

      10 류동민 ; 주상영, "피케티 이후의 마르크스비율" 한국사회경제학회 (45) : 161-183, 2014

      11 기획재정부, "통합재정수지"

      12 홍민기, "최상위 임금 비중의 장기 추세 (1958-2013)" 한국산업노동학회 21 (21): 191-220, 2015

      13 홍민기, "최상위 소득 비중의 장기 추세 (1958∼2013년)" 한국경제발전학회 21 (21): 1-34, 2015

      14 정구현, "조세와 복지의 가치 재분배 효과: 한국, 1990~2014" 2018

      15 류동민, "정치경제학 강의노트" 충남대학교 출판문화원 2022

      16 김낙년, "우리나라 소득불평등의 추이와 국제비교" 사회과학연구원 25 (25): 175-196, 2018

      17 유경준, "우리나라 빈곤 변화 추이와 요인 분석" 1-13, 2009

      18 밀라노비치, 브랑코, "왜 우리는 불평등해졌는가" 21세기북스 2017

      19 한국은행, "알기 쉬운 경제지표"

      20 장귀연, "신자유주의 시대 한국의 계급구조" 사회과학연구원 10 (10): 12-40, 2013

      21 한국은행, "산업연관표, 1980~2015"

      22 홍민기, "보정 지니계수" 한국경제발전학회 23 (23): 1-22, 2017

      23 홍민기, "노동패널 불평등지표와 소득 조사, 노동패널자료 연구(I): 패널자료 비교연구를 중심으로" 한국노동연구원 2015

      24 주상영 ; 전수민, "노동소득분배율의 측정: 한국에 적합한 대안의 모색" 한국사회경제학회 (43) : 31-65, 2014

      25 서환주 ; 김강식 ; 이영수, "금융화는 한국기업들의 설비투자 부진을 초래하였는가?" 한독경상학회 29 (29): 137-163, 2011

      26 한국은행, "국민계정(2015년 기준년), 1953~2020"

      27 통계청, "가계동향조사: 소득분배지표, 1990~2016"

      28 통계청, "가계금융복지조사: 소득분배지표, 2011~2019"

      29 丁声鎭, "韓国における所得分配の不平等: マルクス的分析" 51 (51): 21-45, 2020

      30 신광영 ; 공주, "Why Does Inequality in South Korea Continue to Rise?" 한국사회학회 48 (48): 31-48, 2014

      31 Shaikh, A, "Who Pays for the ‘Welfare’ in the Welfare State?: A Multicountry Study" 70 (70): 531-550, 2003

      32 Crotty, J, "Was the IMF’s Imposition of Economic Regime Change in Korea Justified? A critique of the IMF’s economic and political role before and after the crisis" Political Economy Research Institute at University of Massachusetts Amherst 2004

      33 Jeong, Gu-Hyeon, "Trends of Marxian Ratios in South Korea, 1980~2014" 50 (50): 260-283, 2020

      34 Kim, Nak-Nyeon, "Top Incomes in Korea, 1933~2010: Evidence from Income Tax Statistics" 56 : 1-19, 2015

      35 "The World Inequality Database"

      36 ILO-OECD, "The Labour Share in G20 Economies" G20 Employment Working Group 1-22, 2015

      37 Guerriero, M, "The Labor Share of Income around the World: Evidence from a Panel Dataset" ADBI 1-35, 2019

      38 Shaikh, A., "The Imperiled Economy I" Union for Radical Political Economics 1987

      39 The World Bank, "The East Asian Miracle: Economic Growth and Public Policy" Oxford University Press 1993

      40 Resnick, S., "The Diversity of Class Analysis: A Critique of Erik Olin Wright and Beyond" 29 (29): 7-27, 2003

      41 OECD, "Socail Spending"

      42 OECD, "Self-employment rate"

      43 Wolff, R, "Routledge Handbook of Marxian Economics" Routledge 29-41, 2017

      44 OECD, "Revenue Statistics: OECD countries: Comparative tables"

      45 Basu, D, "Quantitative Empirical Research in Marxist Political Economy: A Selective Review" 31 (31): 1359-1386, 2017

      46 Gouverneur, J, "Productive Labour, Price/Value Ratio and Rate of Surplus Value: Theoretical Viewpoints and Empirical Evidence" 14 (14): 1-27, 1990

      47 Shaikh, A, "Political Economy and Contemporary Capitalism: Radical Perspectives on Economic Theory and Policy" Routledge 247-265, 2000

      48 Duménil, G., "Neoliberal Managerial Capitalism: Another Reading of the Piketty, Saez, and Zucman Data" 44 (44): 71-89, 2015

      49 OECD, "National Accounts at a Glance"

      50 홍민기, "Minki Hong"

      51 Shaikh, A, "Measuring the Wealth of Nations: The Political Economy of National Account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4

      52 Jang, Sang-Hwan, "Marxist Perspectives on South Korea in the Global Economy" Ashgate 157-181, 2007

      53 Jeong, Seong-Jin, "Marxist Perspectives on South Korea in the Global Economy" Ashgate 35-64, 2007

      54 Maniatis, Thanasis, "Marxian Macroeconomic Categories in the Greek Economy" 37 (37): 494-516, 2005

      55 Marx, Karl, "Marx & Engels Collected Works Vol. 36" Lawrence and Wishart 2010

      56 Marx, Karl, "Marx & Engels Collected Works Vol. 35" Lawrence and Wishart 2010

      57 Chang, Ha-Joon, "International Capital Markets: Systems in Transition" Oxford University Press 369-390, 2002

      58 Park, Ki-Seong, "Industrial Relations and Economic Growth in Korea" 12 (12): 711-723, 2007

      59 OECD, "Income Inequality"

      60 OECD, "Government expenditure by function(COFOG)"

      61 Francese, M., "Functional Income Distribution and Its Role in Explaining Inequality" IMF 2015

      62 Maniatis, Thanasis, "Does the State Benefit Labor? A Cross-Country Comparison of the Net Social Wage" 46 (46): 15-34, 2014

      63 Tsoulfidis, L., "Classical Political Economics and Modern Capitalism: Theories of Value, Competition, Trade and Long Cycles" Springer 2019

      64 Anjan Chakrabarti, "Class, History and Value Theory - Marx’s Critique of Trinity Formula" 사회과학연구원 18 (18): 258-285, 2021

      65 Wolff, E., "Class structure and economic inequality" 37 (37): 1381-1406, 2013

      66 Wright, E. O, "Class Counts: Comparative Studies in Class Analysi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7

      67 Lee, Woo-Jin, "Capital in South Korea: 1966~2014" 49 : 671-708, 2017

      68 Milanovic, B, "After Piketty: The Agenda for Economics and Inequality" Harvard University Press 235-258, 2017

      69 피케티, 토마, "21세기 자본" 글항아리 201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7-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5-07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산업사회학회 -> 비판사회학회
      영문명 : The Association Of Korean Researchers On Industrial Society -> Korean Critical Sociological Association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7 1.37 1.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8 1.56 1.768 0.4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