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보편적 복지국가에서 보편적 기본소득으로? 핀란드 기본소득 정책 실험의 최종 결과와 함의 = From the Universal Welfare State to the Universal Basic Income? A Study on the Finnish Government’s Policy Experiment of Basic Income (2017-2018)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25571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국민국가 수준의 첫 기본소득 정책 실험으로 주목받은 핀란드 기본소득 실험(2017-2018년)의 역사-정치적 맥락, 실험 디자인과 진행 과정의 특징, 주요 결과와 함의, 향후 전망 등에 ...

      이 논문은 국민국가 수준의 첫 기본소득 정책 실험으로 주목받은 핀란드 기본소득 실험(2017-2018년)의 역사-정치적 맥락, 실험 디자인과 진행 과정의 특징, 주요 결과와 함의, 향후 전망 등에 대한 체계적 분석을 제공한다. 핀란드는 북유럽 복지국가들 중 기본소득에 관해 특별한 관심을 보여온 국가로 주요 정당들이 논쟁을 주도하는 특징을 보이며, 이번 실험은 보편적 복지국가의 지속가능한 미래를 탐색하기 위한 정부 주도의 사회혁신 실험이라는 성격을 갖고 있다. 그러나 보편주의 원리의 확대와 시장친화적 고용(복지)개혁 요구가 혼재된 가운데 중도우파 정부의 이니셔티브로 전개된 이번 실험은 설계 디자인과 진행 과정에 일부 한계를 노정하였고, 특히 ‘고용활성화 모델’ 등 기본소득과 원리가 상충되는 제도가 갑자기 도입되면서 기본소득 실험 결과에도 부정적 영향을 끼친 점이 확인된다. 실험 결과 삶의 질과 복리 측면의 향상에도 불구하고 주된 목표였던 고용률 증진 효과는 기대에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난다. 무엇보다 고용활성화 모델 도입으로 인해 고용률 지표 변화의 수준과 원인을 정확히 판별할 수 없다는 점은 중요한 한계이다. 모호한 결과와 더불어 향후 핀란드에서 기본소득의 제도화 전망은 불투명해진 상태이나 주요 정당의 노선과 현 정부 프로그램 등을 고려할 때 추가 기본소득 실험이나 유사한 형태로의 사회보장제도 개혁 가능성도 여전히 남아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aims to provide a systemic analysis on the Finnish government’s basic income (BI) project (2017-2018), the first BI experiment at the nation-state level. To this end, it studies (1) its historical-political contexts, (2) design and impl...

      This article aims to provide a systemic analysis on the Finnish government’s basic income (BI) project (2017-2018), the first BI experiment at the nation-state level. To this end, it studies (1) its historical-political contexts, (2) design and implementation process, (3) final results and their implications, and (4) the future prospect of institutionalizing BI in Finland. The case is important in that Finland is the only Nordic welfare state having continuously debated the feasibility of BI ideas, with various policy proposals presented by different political parties; it was a government-driven social innovations experiment to explore a sustainable future of the universal welfare state. However, revealing contradicting elements such as expanding universalism while introducing new sanctions on the unemployed, the project initiated by the then-PM Juha Sipila (Centre Party) showed limitations in its design and implementing process. The Activation Model is particularly criticized to have affected the final results. Despite general improvements in economic and subjective well-being indicators, impacts on employment rates remained lower than aimed. A significant problem is that it can hardly be discernable how two different mechanisms affected employment rates’ change. Along with obscure results, the future prospect of BI institutionalization in Finland seems to be uncertain. Simultaneously, there remains a possibility for the Finnish government to launch another experiment of basic income (NIT-format) in near futur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서현수, "핀란드의 의회, 시민, 민주주의 : 열린, 포용적 의회-시민 관계를 향하여" 빈빈책방 2019

      2 노정호, "핀란드와 네덜란드 기본소득 실험의 방법론적 의미와 한계, 그리고 시사점" 한국사회정책학회 25 (25): 71-96, 2018

      3 서현수, "핀란드: 노르딕 모델의 후발주자에서 선도적 혁신국가로. 노르딕 모델과 대륙형 모델의 형성 및 변천 과정 연구" 보건사회연구원 105-134, 2019

      4 김인춘, "핀란드 복지국가와 기본소득 실험: 배경, 맥락, 의의" 한국 스칸디나비아학회 (18) : 31-72, 2016

      5 유종성, "핀란드 기본소득 실험, 웰빙 효과, 고용 효과 나타났다: 기본소득제 도입, 우리도 핀란드식 실험정치를!"

      6 버먼, 셰리, "정치가 우선한다: 사회민주주의와 20세기 유럽의 형성" 후마니타스 2010

      7 아렌트, 한나, "인간의 조건" 한길사 1996

      8 베르그만, 바바라, "분배의 재구성: 기본소득과 사회적 지분 급여" 나눔의집 2010

      9 액커만, 브루스, "분배의 재구성: 기본소득과 사회적 지분 급여" 나눔의집 2010

      10 반 커스버건, 키스, "복지국가 개혁의 도전과 응전: 복지국가정치의 비교연구" 나눔의집 2017

      1 서현수, "핀란드의 의회, 시민, 민주주의 : 열린, 포용적 의회-시민 관계를 향하여" 빈빈책방 2019

      2 노정호, "핀란드와 네덜란드 기본소득 실험의 방법론적 의미와 한계, 그리고 시사점" 한국사회정책학회 25 (25): 71-96, 2018

      3 서현수, "핀란드: 노르딕 모델의 후발주자에서 선도적 혁신국가로. 노르딕 모델과 대륙형 모델의 형성 및 변천 과정 연구" 보건사회연구원 105-134, 2019

      4 김인춘, "핀란드 복지국가와 기본소득 실험: 배경, 맥락, 의의" 한국 스칸디나비아학회 (18) : 31-72, 2016

      5 유종성, "핀란드 기본소득 실험, 웰빙 효과, 고용 효과 나타났다: 기본소득제 도입, 우리도 핀란드식 실험정치를!"

      6 버먼, 셰리, "정치가 우선한다: 사회민주주의와 20세기 유럽의 형성" 후마니타스 2010

      7 아렌트, 한나, "인간의 조건" 한길사 1996

      8 베르그만, 바바라, "분배의 재구성: 기본소득과 사회적 지분 급여" 나눔의집 2010

      9 액커만, 브루스, "분배의 재구성: 기본소득과 사회적 지분 급여" 나눔의집 2010

      10 반 커스버건, 키스, "복지국가 개혁의 도전과 응전: 복지국가정치의 비교연구" 나눔의집 2017

      11 최한수, "대안적 복지제도로서 기본소득에 대한 검토. 포용성장을 위한 사회안전망 발전 방안 연구" 기획재정부, 보건사회연구원 627-682, 2019

      12 스턴, 앤대, "노동의 미래와 기본소득: 21세기 빈곤 없는 사회를 위하여" 갈마바람 2019

      13 김교성, "기본소득이 온다 : 분배에 대한 새로운 상상" 사회평론 아카데미 2018

      14 스탠딩, 가이, "기본소득: 일과 삶의 새로운 패러다임" 창비 2018

      15 최한수, "기본소득 모의실험: 근로 연령대를 중심으로" 국회예산정책처 8 (8): 194-225, 2019

      16 백승호, "기본소득 논쟁 제대로 하기" 한국사회정책학회 25 (25): 37-71, 2018

      17 이원재, "국민기본소득제: 2021년부터 재정적으로 실현 가능한 모델 제안" LAB2050 2019

      18 최한수, "각국의 기본소득실험이 한국에 주는 정책적 시사점" 한국조세재정연구원 2017

      19 Anttonen, A., "Welfare state, universalism and diversity" Edwared Elgar Publishing Limited 2012

      20 Esping-Andersen, G., "The three worlds of welfare capitalism"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0

      21 Kettunen, P., "The nordic welfare state in Finland" 26 (26): 225-247, 2001

      22 Pedersen, A. W., "The nordic models in political science. challenged, but still viable?" Fagbokforlaget 219-238, 2017

      23 Haagh, L., "The developmental social contract and basic income in Denmark" 18 (18): 301-317, 2019

      24 KELA, "The basic income experiment 2017-2018 in Finland: preliminary results" Ministry of Social Affairs and Health 2019

      25 Julkunen, R., "Suunnanmuutos: 1990-luvun sosiaalipoliittinen reformi Suomessa" Vastapaino 2001

      26 KELA, "Suomen perustulokokeilun arviointi" Sosiaali-ja terveysministeriö 2020

      27 Holmberg, S., "Social trust-the nordic gold?" University of Gothenburg 2020

      28 Rothstein, B., "Social traps and the problem of trust"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29 Arter, D., "Scandinavian politics today" Menchester University Press 2016

      30 Rawls, J., "Political liberalism"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5

      31 Valtioneuvosto, "Osallistava ja Osava Suomi – sosiaalisesti, taloudellisesti ja ekologisesti kestävä yhetiskunta. Pääministeri Sanna Marinin hallituksen ohjelma 10.12.2019. Valtioneuvoston julkaisuja 2019: 31"

      32 Jansson, I., "Occupation and basic income through the lens of arendt’s vita activa" 27 (27): 125-137, 2020

      33 Einhorn, E. S., "Modern welfare states: scandinavian politics and policy in the global Age"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03

      34 Perkiö, J., "Legitimising a radical policy idea : framing basic income as a boost to labour market activity" 48 (48): 277-293, 2020

      35 Eduskunta, "Hallituksen esitys eduskunnalle laeiksi perustulokokeilusta sekä tuloverolain 92 §:n ja ennakkoperintälain 17 §:n väliaikaisesta muuttamisesta. Valiokunnan mietintö StVM 42/2016 vp - HE 215/2016 vp"

      36 "HE 215/2016 vp. Hallituksen esitys eduskunnalle laeiksi perustulokokeilusta sekä tuloverolain 92 §:n ja ennakkoperintälain 17 §:n väliaikaisesta muuttamisesta"

      37 Koistinen, P., "Good and bad times of social innovations: the case of universal basic income in Finland" 9 (9): 25-57, 2014

      38 Perkiö, J., "From rights to activation : the evolution of the idea of basic income in the finnish political debate, 1980–2016" 49 (49): 103-124, 2020

      39 KELA, "From idea to experiment. report on universal basic income experiment in Finland" Ministry of Social Affairs and Health 2016

      40 Pateman, C., "Democratizing citizenship : some advantages of a basic income" 32 (32): 89-105, 2004

      41 De Wispelaere, J., "An income of one’s own? the political analysis of universal basic income" Tampere University Press 2015

      42 Halmetoja, A., "A policy comet in moominland? basic income in the finnish welfare state" 18 (18): 319-330, 2019

      43 파레이스, 필리프, "21세기 기본소득: 자유 로운 사회, 합리적인 경제를 향한 거대한 전환" 흐름출판 201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 0.5 0.3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3 0.39 0.749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