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정상 한국인의 요추부 각 분절의 형태 및 운동범위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17186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정상 한국인 남녀의 요추부의 각 분절별 형태 및 운동 범위에 대해 연구 분석함으로써, 각종 질환이나 골절 등의 치료 시 기준으로 삼을 수 있는 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

      목적: 정상 한국인 남녀의 요추부의 각 분절별 형태 및 운동 범위에 대해 연구 분석함으로써, 각종 질환이나 골절 등의 치료 시 기준으로 삼을 수 있는 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흉 요추부 및 요추부에 질환을 앓은 적이 없고, 통증을 느낀 적이 없는, 20세에서 40세의 남녀 각 15명을 대상으로 제3요추에 중심을 두고 기립 측면 상, 좌-우 굴곡 전-후면 상 및, 굴곡-신전 측면 상을 촬영하였다. Cobb방법으로 추체와 추간판각을 각각 구하였으며, 통계학적 분석을 이용해 각 결과들의 남녀간의 차이와 상관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결과: 추체 형태는 주로 상위 요추는 후만으로, 하위 요추로 갈수록 전만의 형태를 보였다. 추간판각은 요추부에서 모두 전만각을 보이고 아래로 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시상면 운동 범위는 하위로 갈수록 점차 증가하여 제 4-5요추간에서 평균 18.6°로 가장 컸으나 관상면에서의 분절간 운동범위는 제 3-4요추간에서 평균 12.6°로 가장 컸다.
      결론: 이러한 결과로 정상 한국인 성인에 있어 요추부 형태 및 운동 범위의 표준치를 얻었고, 각 요소가 전체 요추전만에 기여하는 비율을 결정할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By achieving informations about sagittal shape and motion of each lumbar segment in normal subjects, we tried to get the standards useful in management of spinal disorders and fractures. Materials and Methods: Thirty normal adults without ...

      Purpose: By achieving informations about sagittal shape and motion of each lumbar segment in normal subjects, we tried to get the standards useful in management of spinal disorders and fractures.
      Materials and Methods: Thirty normal adults without any disorder on their back were adopted. L3 centered thoracolumbar (T-L) X-ray's including standing lateral, AP's in righ-tleft bending, and flexion-extension lateral were checked for each person. Cobb angles of each segment were measured. Statistical analysis was done for comparison by gender and correlation of each factors.
      Results: Body shape of upper lumbar vertebrae was kyphotic but caudal bodies are changed into lordotic gradually. Disc angle was lordotic in all the discs. Segmetal motion in sagittal plane was greatest at L4-L5 (18.6°). However, segmental motion at coronal plane was largest at L3-L4 (12.6°).
      Conclusion: We achieved Korean standard of shape and motion of each lumbar segment. Proportion of each factor contributing to total lumbar lordosis was evaluated also.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서론
      • 대상 및 방법
      • 결과
      • 고찰
      • 결론
      • 서론
      • 대상 및 방법
      • 결과
      • 고찰
      • 결론
      • 참고문헌
      • 국문초록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Lee JM, "The measurement of normal thoracic kyphosis in Korean" 17 : 772-778, 1982

      2 Hansson T, "The lumbar lordosis in acute and chronic low-back-pain" 10 : 154-155, 1985

      3 Anderson GB, "The influence of backrest inclination and lumbar support on lumbar lordosis" 4 : 52-58, 1979

      4 Bernhardt M, "Segmental analysis of the sagittal plane alignment of the normal thoracic and lumbar spines and thoracolumbar junction" 14 : 717-721, 1989

      5 Kim YM, "Results of non-fusion method in thoracolumbar and lumbar spinal fractures" 12 : 132-139, 2005

      6 Stagnara P, "Reciprocal angulation of vertebral bodies in a sagittal plane: approach to references for the evaluation of kyphosis and lordosis" 7 : 335-342, 1982

      7 Jackson RP, "Radiographic analysis of sagittal plane alignment and balance in standing volunteers and patients with low back pain matched for age, sex, and size. A prospective controlled clinical study" 19 : 1611-1618, 1994

      8 Suk SL, "Normal segmental sagittal angle of the lower dorsal and lumbosacral spine in Korean adult" 24 : 237-244, 1989

      9 Fernand R, "Evaluation of lumbar lordosis. A prospective and retrospective study" 10 : 799-803, 1985

      10 Wood KB, "Effect of patient position on the sagittal-plane profile of the thoracolumbar spine" 9 : 165-169, 1996

      1 Lee JM, "The measurement of normal thoracic kyphosis in Korean" 17 : 772-778, 1982

      2 Hansson T, "The lumbar lordosis in acute and chronic low-back-pain" 10 : 154-155, 1985

      3 Anderson GB, "The influence of backrest inclination and lumbar support on lumbar lordosis" 4 : 52-58, 1979

      4 Bernhardt M, "Segmental analysis of the sagittal plane alignment of the normal thoracic and lumbar spines and thoracolumbar junction" 14 : 717-721, 1989

      5 Kim YM, "Results of non-fusion method in thoracolumbar and lumbar spinal fractures" 12 : 132-139, 2005

      6 Stagnara P, "Reciprocal angulation of vertebral bodies in a sagittal plane: approach to references for the evaluation of kyphosis and lordosis" 7 : 335-342, 1982

      7 Jackson RP, "Radiographic analysis of sagittal plane alignment and balance in standing volunteers and patients with low back pain matched for age, sex, and size. A prospective controlled clinical study" 19 : 1611-1618, 1994

      8 Suk SL, "Normal segmental sagittal angle of the lower dorsal and lumbosacral spine in Korean adult" 24 : 237-244, 1989

      9 Fernand R, "Evaluation of lumbar lordosis. A prospective and retrospective study" 10 : 799-803, 1985

      10 Wood KB, "Effect of patient position on the sagittal-plane profile of the thoracolumbar spine" 9 : 165-169, 1996

      11 Gelb DE, "An analysis of sagittal spinal alignment in 100 asymptomatic middle and older aged volunteers" 20 : 1351-1358, 199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4-14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1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30 학술지등록 한글명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외국어명 : 미등록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06 0.06 0.0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08 0.08 0.24 0.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