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학교사회복지와 교육복지 연구동향 비교 분석 =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Research Trends on School Social Welfare and Educational Welfare in Korea Using Text Network Analysi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23533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set out to compare the trends of research papers on school social welfare and educational welfare, which had been recognized in the same vein in Korea, and to analyze the recent trends in these areas. Korean academic papers published from 1...

      This study set out to compare the trends of research papers on school social welfare and educational welfare, which had been recognized in the same vein in Korea, and to analyze the recent trends in these areas. Korean academic papers published from 1993 to 2018 were collected by using databases. A total of 562 academic papers were selected in the end, excluding papers that were not suitable for the research purpose or overlapped. The followings were the main findings applied to the text network analysis. First, there were 206 papers on school social welfare and 356 papers on educational welfare. Second, the most distinct differences in the two areas were ‘social workers’ intervention in families’ and ‘operations to guarantee learning rights for vulnerable groups’. Third, characteristics of school social welfare papers according to the times were ‘development and expansion of school social welfare’, ‘adaptation of students’ school life’, and ‘applying school social welfare to prevent and manage violences or conflicts in schools’, respectively. Also, 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 welfare papers according to the times were ‘construction of educational welfare programs’, ‘principles of educational welfare operations’, and ‘confirming the effectiveness and change after implementation and practice’, respectively. Lastly, the sub-topics of recent research trends were ‘effects of programs’, ‘educational welfare as a practice’, and ‘educational welfare as a policy’.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current position of school social welfare research and educational welfare research was identified, and implications for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were deriv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동일한 맥락으로 인식되어 오던 학교사회복지와 교육복지에 대해, 관련된 연구주제 논문의 경향을 비교 분석하고 최근의 연구동향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을 위해 ...

      본 연구는 동일한 맥락으로 인식되어 오던 학교사회복지와 교육복지에 대해, 관련된 연구주제 논문의 경향을 비교 분석하고 최근의 연구동향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을 위해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우리나라에서 학교사회복지가 처음 시행된 1993년부터 2018년까지 발행된 국내 학술논문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2,423편의 논문 중에서 연구목적에서 벗어나거나 중복된 논문들을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총 562편의 학술논문을 선정하였다. 논문의 초록을 대상으로 하여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적용한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분석대상 학술논문에서 학교사회복지 관련 연구주제 논문은 206편이며, 교육복지 관련 연구주제 논문은 356편이었다.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지원사업(2003년)과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2011년)의 실시를 기준으로 세 개의 시기별로 나누어 살펴본 출판 편수는 학교사회복지 관련 논문이 각각 48편, 93편, 65편이었고, 교육복지 관련 논문이 각각 8편, 125편, 223편이었다. 둘째, 학교사회복지 연구주제 논문과 교육복지 연구주제 논문은 중첩되는 영역과 고유한 영역이 나타났다. 가장 뚜렷한 경계가 나타나는 고유한 주제는 학교사회복지 영역의 ‘가족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개입’과 교육복지 영역의 ‘취약 계층에 대한 학습권 보장을 위한 운영’이었다. 셋째, 학교사회복지 관련 논문의 시기별 특성은 1기에 ‘학교사회복지의 발전 및 확대’, 2기에 ‘학생의 학교생활에 대한 적응’, 그리고 3기에 ‘폭력과 갈등을 예방하고 관리하기 위한 학교사회복지의 적용’으로 나타났다. 교육복지 관련 논문의 시기별 특성은 각각 ‘교육복지사업의 구축’, ‘교육복지 운영의 원리’, 그리고 ‘수행과 실천에 따른 변화와 효과의 확인’으로 나타났다. 넷째, 최근 연구의 동향 파악을 위해 분석하여 도출된 하위주제 그룹은 ‘프로그램의 효과’, ‘실천으로서의 교육복지’, 그리고 ‘정책으로서의 교육복지’ 클러스터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사회복지 연구와 교육복지 연구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고 미래 연구의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경미, "한국장애인복지학 연구동향에 관한 분석과 고찰" 한국사회복지학회 58 (58): 269-294, 2006

      2 황성철, "한국사회복지행정의 연구동향과 과제"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4 (4): 145-168, 2002

      3 허준수, "한국노년학의 사회복지분야 연구동향 분석: 2008년부터 2017년까지" 한국노년학회 38 (38): 725-744, 2018

      4 이종익, "한국 학교사회복지의 제도화 과정과 주요 쟁점"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41) : 29-54, 2018

      5 임종호, "한국 학교사회복지 연구경향에 관한 연구" 6 : 67-99, 2003

      6 양옥경, "한국 임상사회복지실천의 효과성 연구 경향에 관한 연구" 42 : 225-253, 2000

      7 진혜경, "한국 교육복지 연구 동향" 한국콘텐츠학회 13 (13): 260-269, 2013

      8 유희숙, "학생들의 학교생활부적응에 대한 학교사회복지의 제도적 지원방안" 3 (3): 229-247, 2016

      9 홍봉선,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회복적 정의 실천모형 적용에서의 학교사회복지사의 실행연구"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35) : 303-337, 2016

      10 장진경, "학교사회사업 실천프로그램 고찰을 통한 미래 방향 제안"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 (1): 87-104, 1999

      1 김경미, "한국장애인복지학 연구동향에 관한 분석과 고찰" 한국사회복지학회 58 (58): 269-294, 2006

      2 황성철, "한국사회복지행정의 연구동향과 과제"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4 (4): 145-168, 2002

      3 허준수, "한국노년학의 사회복지분야 연구동향 분석: 2008년부터 2017년까지" 한국노년학회 38 (38): 725-744, 2018

      4 이종익, "한국 학교사회복지의 제도화 과정과 주요 쟁점"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41) : 29-54, 2018

      5 임종호, "한국 학교사회복지 연구경향에 관한 연구" 6 : 67-99, 2003

      6 양옥경, "한국 임상사회복지실천의 효과성 연구 경향에 관한 연구" 42 : 225-253, 2000

      7 진혜경, "한국 교육복지 연구 동향" 한국콘텐츠학회 13 (13): 260-269, 2013

      8 유희숙, "학생들의 학교생활부적응에 대한 학교사회복지의 제도적 지원방안" 3 (3): 229-247, 2016

      9 홍봉선,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회복적 정의 실천모형 적용에서의 학교사회복지사의 실행연구"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35) : 303-337, 2016

      10 장진경, "학교사회사업 실천프로그램 고찰을 통한 미래 방향 제안"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 (1): 87-104, 1999

      11 윤철수, "학교사회복지의 제도화, 어디까지 왔나" (109) : 4-8, 2007

      12 이태수, "학교사회복지의 다양화에 따른 재구성과 제도화 전망"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14 : 33-55, 2008

      13 김광혁, "학교사회복지실천 프로그램의 연구동향"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8 : 55-80, 2014

      14 주석진, "학교사회복지사의 수련제도 도입에 대한 인식과수련교육 요구분석"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45) : 29-57, 2019

      15 김상곤, "학교사회복지사업의 효과성 평가 연구:학교사회복지사 파견사업(2007년-2008년) 활동을 중심으로"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17 : 51-80, 2009

      16 주석진, "학교 내 사회복지사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과 보호요인"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32 : 53-85, 2015

      17 진혜경, "학교 내 복지서비스 전문 인력의 직무 연구: 학교사회복지사와 지역사회교육전문가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0 (10): 139-165, 2008

      18 박은준, "텍스트네트워크분석을 활용한 국내·외 호스피스 간호 연구 주제의 비교 분석" 한국간호과학회 47 (47): 600-612, 2017

      19 박치성,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 사회적 인식 네트워크(socio-cognitive network) 분석을 통한 정책이해관계자 간 공유된 의미 파악 사례" 정부학연구소 19 (19): 73-108, 2013

      20 이지혜, "정치 변동에 따른 교육복지 이슈 구조의 변화 : 국민의정부 이후 신문기사에 대한 의미연결망분석" 한국교육정치학회 24 (24): 213-240, 2017

      21 "정신건강․의료․학교사회복지사 법적으로 인정받는다"

      22 김연옥, "우리나라 사회복지학 연구경향에 관한 연구-<한국사회복지학> 에 실린 경험분석연구를 중심으로" 35 : 85-105, 1998

      23 황창순, "새천년 학교사회복지의 연구방향" 4 : 173-192, 2001

      24 최형욱, "사회학 분야의 연구데이터 특성과 지적구조 규명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관리학회 34 (34): 109-124, 2017

      25 감정기, "사회복지학 연구동향에 관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 「한국사회복지학」 게재논문(1979 - 2015)을 중심으로 -" 한국사회복지학회 68 (68): 185-211, 2016

      26 박진여, "사회복지사의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수행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역량강화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7 : 137-165, 2014

      27 이소임, "빈곤가정 청소년의 공감 관계 경험에 관한 연구 -학교사회복지사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7 (7): 383-393, 2017

      28 김정은, "빈곤가정 아동의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자기효능감과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24 (24): 1-19, 2014

      29 고수정, "복지행정분야 연구논문의 경향 분석: Network Text Analysis를 중심으로" 서울행정학회 24 (24): 211-234, 2013

      30 변미희, "복지의식에 관한 연구동향" 7 (7): 75-89, 2002

      31 김한나, "메타분석을 통한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의 효과 검증 연구"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38) : 173-199, 2017

      32 최태호, "교육소외와 격차 해소를 위한 교육복지 정책 방향 고찰"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8 (8): 809-818, 2018

      33 홍순혜, "교육복지현장 사회복지사의 전문직 정체성과 직무수행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38 : 109-138, 2017

      34 이선희, "교육복지프로그램 참여에 따른 회복탄력성이 학교폭력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14 (14): 89-115, 2017

      35 이봉주,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의 학업성취 효과 종단적 분석" 한국아동복지학회 (45) : 161-190, 2014

      36 정영림,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의 네트워크 활동 실태 및 영향요인 관련 연구: 지역사회교육전문가의 활동을 중심으로"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13 : 99-128, 2007

      37 김근진,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평균효과 및 분위효과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34 (34): 119-146, 2016

      38 김종민,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이 초․중학생의 자존감과 학교생활적응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심리학회 31 (31): 239-264, 2017

      39 박명신,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의 교육복지프로그램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 분석"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7 (17): 31-54, 2015

      40 김순규,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에서 실천하는 지역사회교육전문가의 소진탄력성 경험에 관한질적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22 (22): 85-213, 2015

      41 김윤진, "교육복지 정책 경향에 대한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 21 (21): 132-170, 2015

      42 김혜래, "교육격차해소를 위한 사회복지사의 역할: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지원사업을 중심으로"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17 : 29-50, 2009

      43 최재성, "‘한국사회복지행정’의 최근 10년간 연구경향 특성 - 네트워크분석과 내용분석의 활용 -" 한국사회복지학회 68 (68): 73-94, 2016

      44 Roberts, C. W., "Text analysis for the social sciences: Methods for drawing statistical inferences from texts and transcripts"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997

      45 de la Hoz-Correa, A., "Past themes and future trends in medical tourism research: A co-word analysis" 65 : 200-211, 2018

      46 Ward Jr, J. H., "Hierarchical grouping to optimize an objective function" 58 (58): 236-244, 1963

      47 Popping, R., "Computer-assisted text analysis" Sage 2000

      48 Deng, Y. -H., "Co-word clustering analysis for nursing safety management research focuses by PubMed" 2 (2): 108-114, 2018

      49 Freeman, L. C., "Centrality in social networks : II. Experimental results" 2 (2): 119-141, 1979

      50 Hu, C. -P., "A co-word analysi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 China" 97 (97): 369-382, 2013

      51 한국학교사회복지사협회, "2018 학교 내 사회복지사업 현황자료 (2018.10.01. 기준)"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학교사회사업 -> 학교사회복지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89 1.89 2.0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19 2.1 2.712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