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국 오대산의 발전과 오대산문수신앙 = A Study on The Mount Wutai(五臺山) of China and The Mount Wutai’s Mañjuśrī belief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Manjusri Belief and the Mount Wutai Manjusri Belief belong to different forms of religious belief systems. The former is categorized into the Bodhisattva school of Mahayana Buddhism and the latter has been established in accordance with the Avatam...

      The Manjusri Belief and the Mount Wutai Manjusri Belief belong to different forms of religious belief systems. The former is categorized into the Bodhisattva school of Mahayana Buddhism and the latter has been established in accordance with the Avatamsaka Sutra. The Buddhabhadra, of the Eastern Jin Dynasty, had translated the 60-volume Avatamsaka Sutra from the 14th Year of Yixi(418) to the 2nd Year of Yuanxi, in which there are contents of the Abode of Boddhisattva Section indicating that Manjusri often dwelled in the Qingliang Mountain; since the Qingliang Mountain here was interpreted as the Mount Wutai of Daizhou, Shanxi Province, it provided the basis for the formation of the Mount Wutai Manjusri Belief.
      The development of the Mount Wutai Manjusri Belief in China can be divided into two stages. First, the era of the Eastern Jin Dynasty and Southern and Northern Dynasties (418-581), which can be referred to as the “Emerging Period of the Manjusri Belief”. The Manjusri belief in this period was transmitted along with the translations of sutras into Chinese. However, Bodhisattva Manjusri, unlike the wide transmission of Avalokitesvara Belief, in most cases, acted as the attendant Bodhisattva for Vairocana Buddha. It is widely assumed by the academic community that Mount Wutai had already served as the abode of Manjusri during the Southern and Northern Dynasties, however, through literature studies, it can be inferred that the Mount Wutai of the Northern Dynasties period was not that closely associated with Manjusri as discussed in the previous studies, nor has the recognition that Mount Wutai was the place where Manjusri’s shrine was located been formed. In light of the natural environment and geological of the Mount Wutai at that time, meditation and pure land were highly regarded in the Northern Dynasties; whereas Manjusri Belief had yet to dominate the development of Buddhism in Mount Wutai at that stage.
      Second, the establishment period of the Mount Wutai Manjusri Belief from Sui Dynasty to Tang Dynasty (581-798). In this period, Manjusri Belief had been supported by the monarchies, which prompted Mount Wutai to be transformed gradually from a regional religious center during the Northern Dynasties into a holy mountain belief at national level, and laid the foundation to the notion that “the Qingliang Mountain refers to Mount Wutai”. In the Tang Dynasty, Manjusri Belief was blended with Mount Wutai and the Mount Wutai Manjusri Belief was formed. This formation process was highly associated with the Empress Wu Zetian’s(武則天) propagation of the Avatamsaka Sutra circulation, as well as the creation of the Huayan School and the writing of a variety of commentaries by Fazang(法藏).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중국 오대산문수신앙의 형성 과정을 두 단계로 나눌 수 있다. 첫째는 동진(東晋)시대부터 남북조(南北朝)시기까지(418-581)를 ‘문수신앙의 출현 시기’라고 할 수 있다. 이 시기의 문수신앙은...

      중국 오대산문수신앙의 형성 과정을 두 단계로 나눌 수 있다. 첫째는 동진(東晋)시대부터 남북조(南北朝)시기까지(418-581)를 ‘문수신앙의 출현 시기’라고 할 수 있다. 이 시기의 문수신앙은 대승경전의 번역에 따라 나타나지만 크게 중시되지는 못하였다. 학계에서는 북조시기에 이미 오대산이 문수보살의 주처로 부흥했다고 논하고 있다. 그러나 이시기 오대산의 발전과 문수신앙의 관계는 선학들이 논했던 것처럼 그렇게 긴밀하지는 않아서 처음부터 문수보살의 성지로 인식된 것은 아니다. 북조시대에는 오대산의 자연환경과 지리적 위치 때문에 선과 정토가 주를 이루었지, 문수신앙이 중시된 것은 아니었다.
      둘째는 수대(隋代)부터 당대(唐代)까지(581-798)인 ‘문수신앙의 흥성 및 오대산문수신앙의 출현 시기’라고 규정할 수 있다. 이 시기에 이르러 문수신앙은 군주들의 적극적인 지지를 받기 시작하였는데, 특히 오대산은 당 7세기 후반에 국가가 지원하는 전국적인 성산으로 거듭나게 되었다. ‘청량산이 곧 오대산’이라는 인식이 발생해 점차 그 외연을 확장하였고, 문수신앙과 오대산이 결합되어 오대산문수신앙으로 확대 출현하게 된 것이다. 이것은 당의 종파불교가 형성되면서 『화엄경』을 중심 경전으로 하는 화엄종이 황실의 지원을 받음에 따라 확립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오대산문수신앙의 사상적 연원을 살펴보면 당 초기부터 무주(武周)시기까지 『화엄경』에 의해 성립된 신앙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K.S.케네쓰 첸, "중국불교 상" 民族社 1991

      2 "魏書"

      3 汪波, "魏晉北朝并州地區研究" 人民出版社 2001

      4 "集神州三寶感通錄"

      5 "隋書"

      6 湯用彤, "隋唐佛教史稿" 中華書局 1982

      7 陳寅恪, "陳寅恪集" 陳寅恪集 2001

      8 "長安志"

      9 "釋氏通鑑"

      10 "釋氏稽古略"

      1 K.S.케네쓰 첸, "중국불교 상" 民族社 1991

      2 "魏書"

      3 汪波, "魏晉北朝并州地區研究" 人民出版社 2001

      4 "集神州三寶感通錄"

      5 "隋書"

      6 湯用彤, "隋唐佛教史稿" 中華書局 1982

      7 陳寅恪, "陳寅恪集" 陳寅恪集 2001

      8 "長安志"

      9 "釋氏通鑑"

      10 "釋氏稽古略"

      11 "道宣律師感通錄"

      12 "辨正論"

      13 "華嚴經傳記"

      14 "舊唐書"

      15 "續高僧傳"

      16 박노준, "當代 五臺山 文殊信仰과 그 東아시아的 展開에 關한 硏究" 誠信女子大學校 大學院 1997

      17 湯用彤, "漢魏兩晉南北朝佛教史" 中華書局 1983

      18 "法苑珠林"

      19 "歷代三寶記"

      20 "梵語千字文"

      21 곽 뢰, "新羅 五臺山文殊信仰 研究" 동국대학교 2016

      22 곽뢰, "新羅 中古期 五臺山文殊信仰 受容說의 재검토" 동국역사문화연구소 (59) : 321-358, 2015

      23 "新华严经论"

      24 "文殊师利法宝藏陀罗尼经"

      25 "廣清涼傳"

      26 "廣弘明集"

      27 "宋高僧傳"

      28 "大方廣佛華嚴經"

      29 "大方广佛华严经疏"

      30 "古清涼傳"

      31 "华严经探玄记"

      32 "北齊書"

      33 印順, "初期大乘佛教之起源與開展" 正聞出版社 1981

      34 "出三藏記集"

      35 "佛說文殊師利寶藏陀羅尼經"

      36 "佛祖統紀"

      37 林韻柔, "五臺山與文殊道場" 臺灣大學歷史學系 2009

      38 井上以智為, "五臺山史の一節(一)" 1925

      39 方立天, "中國佛敎簡史" 宗敎文化出版社 2001

      40 장문량, "≪华严经论≫的再发现与 ≪灵辨传≫的 “再构成”" 불교문화연구소 (14) : 79-104, 2013

      41 Jinhua Chen, "Empress Wu’s Political Use of Buddhist Relics" 25 (25): 200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6 0.56 0.4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3 0.41 0.987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