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영․유아 그림 표상 특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f Representational Characteristics in Infants' Paint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503560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fer a symbolic characteristic of painting during scribbling period by applying a task condition, to present basic data about effective symbolic painting by analyzing a process of a construct activity, and to examin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fer a symbolic characteristic of painting during scribbling period by applying a task condition, to present basic data about effective symbolic painting by analyzing a process of a construct activity, and to examine verification of effectiveness in the Korean infant. The one way anova is carried out to find out a symbolic characteristic of painting of Age(4)X group and the two way anova to Group(2)×Age(4), is conducted to figure out the difference of NC performance owing to task presented type upon age bracket.
      The followings were ostensive purposes of this study.
      First, there would be differences in symbolic characteristic by tasks and ages(the total score, the score of symbol inside the outline, the score of constituent, the score of pair symbolic).
      Second, the NC performance would differ in symbolic characteristic by age and painting type(the total score, the score of symbol inside the outline, the score of constituent, the score of pair symbolic).
      The study participants were randomly selected one - three years old infants (total of 80) who attend in an infant home in northern Daegu. They were divided in four groups. Each age group was presented two type of painting and multivariate analysis was taken in order to compare and analyze paintings.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followed.
      First, the characteristic of painting symbol was different by task and age. The expressive ability in total score, constituent of object, pair symbolic in P task and DC task was increased as aging. Among the group of infants aged 1.5 - 2.5, P task was performed better than DC task, and the score of P task and DC task was equally heightened as they become age of 3.
      Second, NC performance owing to task presented type upon age bracket would be different (the total score, the score of symbol inside the outline, the score of constituent, the score of pair symbolic).
      The older has shown more expressive ability in two type of painting. NC task was taken after pre- P task and -DC task, but the symbolic score of NC task differed from. NC task followed by P task
      represented the more constituents and pair symbols than by DC task.
      Therefore, this study found out that the development of symbolic level in infant had close relationship with an age, the symbolic abilities in different painting tasks differed order of P task, DC task, and NC task, and symbolic painting was shown from infant age 1.5-2.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초기 그림 표상 출현과정을 살피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인 가설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과제별 연령에 따른 그림 표상의 특성(총점수, 윤곽선 안의 표상의 점수, 대상의 구성요소 표...

      본 연구는 초기 그림 표상 출현과정을 살피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인 가설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과제별 연령에 따른 그림 표상의 특성(총점수, 윤곽선 안의 표상의 점수, 대상의 구성요소 표상의 점수, 쌍표상의 점수)은 차이가 있을 것이다.
      둘째, 연령별 과제 제시유형에 따른 NC과제 수행(총점수, 윤곽선 안의 표상의 점수, 대상의 구성요소 표상의 점수, 쌍표상의 점수)은 차이가 있을 것이다.
      연구대상은 00시에 위치한 어린이집에 재원중인 1-3세 유아 총80명을 무선선정하여 연령별로 4집단을 나누고 각 연령집단별로 두 그룹으로 나누어 서로 다른 유형의 과제를 실시하였다. 즉 한 그룹은 P과제 이후 NC과제를 실시하였고, 다른 한 그룹은 DC과제 이후 NC과제를 실시하였다. 과제실시 이후 각 과제에서 얻어진 표상그림을 채점하였다. 자료처리는 과제별 연령에 따른 그림표상의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연령(4)x집단간의 일원 다변량분석을 실시하였고, 연령별 과제 제시유형에 따른 NC과제 수행의 차이를 보기 위하여 집단(2)×연령(4)에 대하여 2원 다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과제별 연령별에 따른 그림 표상의 특성은 차이가 있다. 연령에 따라 P과제 또는 DC과제 모두가 총점수, 대상의 구성요소, 쌍표상의 표현능력은 연령이 높음에 따라 표상능력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1.5세-2.5세에서는 P과제가 DC과제보다 훨씬 잘 수행했으며 3세가 되면서 P과제와 DC과제 점수가 같이 높아졌다.
      둘째, 연령별 과제 제시유형에 따른 NC과제 수행은 차이가 있다. 연령이 증가 할수록 과제 제시유형에서 과제의 표상 능력도 증가하였다. 연령에 따라 P과제 선행 후 NC과제와 DC과제 선행 후 NC과제의 표상의 점수는 다르다. P과제 선행 후 NC과제가 DC과제 선행 후 NC과제에서 보다 더 많은 대상의 구성요소, 쌍표상을 표현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유아의 표상 수준의 발달은 연령과 밀접한 관계가 있고 과제에 따른 그리기 표상능력도 P과제, DC과제, NC과제 순으로 일어나며, 표상적 그리기가 1.5세와 2세경에 시작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