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교정복지분야 연구동향에 따른 교정복지 교재분석 = Analysis of Correction Welfare Textbooks according to the Trend of Research in the Area of Correction Welfar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13608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correction welfare textbooks in Korea including 29 general textbooks and 11 advanced ones, focusing on the trend of research in the area of correction welfare,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correction welfare textbooks in Korea including 29 general textbooks and 11 advanced ones, focusing on the trend of research in the area of correction welfare,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guideline for correction welfare textbooks and courses. First, most of the correction welfare textbooks covered the concept of correction welfare, correction welfare theories, special areas of correction welfare, correction welfare and social treatment, practice and techniques of correction welfare, etc. Studies in the area of correction welfare during the last five years tended to converge on six semantic categories: ① restorative justice; ② classification of criminals; ③ correction welfare and social treatment; ④ social welfare approaches; ⑤ practice and techniques of correction welfare; and ⑥ correctional social workers. In addition, most of current correction welfare textbooks reflected the authors’ intention of writing rather than the guideline of the social welfare curriculum. Furthermore, none of the textbooks included
      all of the 6 categories found in the recent trend of research.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ions are made as follows with regard to the contents and directions of correction welfare courses in the guideline of the social welfare curriculum to be published in the future. First, it is necessary to help students acquire ‘an eye to see the large framework of correction’ through the correction welfare curriculum. Second, it is necessary to present the meanings and necessities of correction welfare clearly. For this, field‐oriented contents should be supplemented for students’ understanding of correctional institutions and their in‐depth understanding of organizations in charge of treatment in community. Third,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and scope of specific groups of subjects for clearer understanding of correction welfare subjects. Fourth, contents need to be reinforced about the introduction and necessities of the correctional ocial worker system. Fifth, textbooks should reflect recent issues of research such as treatment in community, restorative justice, social rehabilitation, school violence, juvenile crimes, and rehabilitation protection. Sixth, the prospect and vision of correction welfare science need to be supplemented. Seventh, sciences in the area of correction involve various disciplines.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the study of criminal law and the study of correction that are learnable together with the correction welfare curriculum, and contents should be added about the necessities and effectiveness of synthetic thinking in the practice of correction welfare.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suggest compulsory and elective courses to be completed in each year to students interested in correction welfare by presenting a roadmap for taking courses related to basic subjects in each semester.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교정복지 전체교재 29권, 중점교재 11권, 최근 5년간 교정복지분야 연구동향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교정복지 교재 및 교정복지교과목 지침내용의 발전방향을 제시하...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교정복지 전체교재 29권, 중점교재 11권, 최근 5년간 교정복지분야 연구동향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교정복지 교재 및 교정복지교과목 지침내용의 발전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우선, 교정복지 교재 전체를 살펴보
      면 대부분의 교재들은 교정복지의 개념 이해, 교정복지이론, 교정복지의 특별영역, 교정복지와 사회적 처우, 교정복지 실천 및 기술론 등을 다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5년간의 교정복지분야 연구동향을 살펴본 결과 6개의 의미범주단위로 수렴되는 경향이었다. ① 회복적 사법 ② 범죄인의 분류 ③ 교정복지와 사회처우 ④ 사회복지적 접근 ⑤ 교정복지실천 및 기술 ⑥ 교정사회복지사 등이었다. 또한 현재 교정복지 교재는 사회복지학 교과목지침서의 기준보다는 저자의 집필의도를 중심으로 교재를 구성한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아울러 최근연구동향에서 나타난 6개의 범주를 모두 포함하고 있는 경우는 없었다. 본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앞으로 발간될 사회복지학 교과목지침서에서 교정복지 교과목의 내용과 방향성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 하고자 한다. 첫째, 교정복지 교과목을 통해 ‘교정의 큰 테두리를 볼 수 있는 안목’을 갖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교정복지의 의미와 필요성을 명확히 제시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 교정기관에 대한 이해, 사회 내 처우를 담당하는 기관에 대한 심층 이해를 돕기 위한 현장중심의 내용을 보완할 필요가 있다. 셋째, 교정복지 대상자에 대한 이해를 명확히 하기 위한 구체적인 대상자의 특징과 범위를 제시할 필요성이 있다. 넷째, 교정사회복지사 제도의 도입과 필요성에 대한 내용의 강화이다. 다섯째, 최근 연구동향에서 관심을 기울이고 있는 사회 내 처우, 회복적 사법, 사회복귀, 학교폭력, 소년범죄, 갱생보호 등 변화를 고려한 집필이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여섯째, 교정복지학의 전망과 비전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다. 일곱째, 矯正(교정)분야 학문은 다양한 학문들이 연동된 종합학문분야이다. 따라서 교정복지 교과목과 함께 학습 할 수 있는 형법학, 교정학에 대한 소개가 필요하고 교정복지분야 실천에 있어서 종합적사고의 필요성과 효과성에 대한 내용이 추가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다른 기초과목과 연관된 과목을 학기별로 이수할 수 있도록 로드맵을 제시하여 교정복지에 관심 있는 학생들에게 학년별로 이수해야 할 필수・선택과목의 교육과정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 Ⅱ. 최근 교정분야 동향 및 교재 분석의 범위와 방법
      • Ⅲ. 연구결과
      • Ⅳ. 결론 및 제언
      • Ⅰ. 서 론
      • Ⅱ. 최근 교정분야 동향 및 교재 분석의 범위와 방법
      • Ⅲ. 연구결과
      • Ⅳ. 결론 및 제언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영숙, "효복지를 통한 교정복지 실천 방안: 노인 학대 범죄를 중심으로" 한국교정복지학회 (36) : 117-137, 2015

      2 최준, "형벌의 목적과 재사회화 이념" 한국교정복지학회 (25) : 73-98, 2012

      3 김기덕, "한국의 사회복지 윤리와 철학 교과서 분석" 17 : 13-46, 2004

      4 최병문, "한국의 갱생보호(법무보호복지) 법제" 한국교정학회 65 (65): 163-188, 2014

      5 천정환, "한국교정론 : 천정환의 복지적 사법론 포함" 한국학술정보 2008

      6 박병식, "한국갱생보호사업의 현안과 해결방안" 아시아교정포럼 5 (5): 195-216, 2011

      7 최응렬, "한국 갱생보호사업의 적용현황 및 개선방안" 한국교정학회 61 : 7-35, 2013

      8 박영숙, "학교폭력의 실태 및 대책에 관한 연구" 한국교정복지학회 (28) : 81-104, 2013

      9 천정환, "학교폭력대책론" 한국교정복지학회 (28) : 19-43, 2013

      10 옥필훈, "피해자를 위한 회복적 사법의 실무상 운용실태와 교정복지의 정책적 과제에 관한 연구" 한국교정복지학회 (37) : 69-88, 2015

      1 박영숙, "효복지를 통한 교정복지 실천 방안: 노인 학대 범죄를 중심으로" 한국교정복지학회 (36) : 117-137, 2015

      2 최준, "형벌의 목적과 재사회화 이념" 한국교정복지학회 (25) : 73-98, 2012

      3 김기덕, "한국의 사회복지 윤리와 철학 교과서 분석" 17 : 13-46, 2004

      4 최병문, "한국의 갱생보호(법무보호복지) 법제" 한국교정학회 65 (65): 163-188, 2014

      5 천정환, "한국교정론 : 천정환의 복지적 사법론 포함" 한국학술정보 2008

      6 박병식, "한국갱생보호사업의 현안과 해결방안" 아시아교정포럼 5 (5): 195-216, 2011

      7 최응렬, "한국 갱생보호사업의 적용현황 및 개선방안" 한국교정학회 61 : 7-35, 2013

      8 박영숙, "학교폭력의 실태 및 대책에 관한 연구" 한국교정복지학회 (28) : 81-104, 2013

      9 천정환, "학교폭력대책론" 한국교정복지학회 (28) : 19-43, 2013

      10 옥필훈, "피해자를 위한 회복적 사법의 실무상 운용실태와 교정복지의 정책적 과제에 관한 연구" 한국교정복지학회 (37) : 69-88, 2015

      11 이인곤, "출소자의 사회복귀를 위한 법무(보호)복지사업에 관한 고찰 -출소자 가족지원사업을 중심으로-" 한국법학회 (57) : 137-160, 2015

      12 배임호, "출소자 재범방지를 위한 갱생보호사업*의 실태와 발전방향" 한국교정학회 60 : 113-134, 2013

      13 임구원, "청소년의 학대경험이 학교폭력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대전광역시 중학생을 중심으로" 한국교정복지학회 (37) : 121-139, 2015

      14 강혜영, "진로상담교재에 대한 내용분석: 진로상담전문가 역량 요소를 중심으로" 대한공업교육학회 39 (39): 23-46, 2014

      15 양만재, "지역사회복지 정체성에 관한 비판적 분석 -『지역사회복지론』교재의 이론적 지식과 가치 중심으로-" 비판과대안을위한사회복지학회/비판과대안을위한건강정책학회 (36) : 105-151, 2012

      16 신소정, "지역사회 교정을 통한 비행 청소년 재범 방지에 관한 연구" 23 : 53-90, 2011

      17 오창순, "정신의료사회사업 교과내용에 관한 연구 : 정신의료사회사업 강의계획시안" 4 : 101-120, 1997

      18 "전국범죄피해자자원연합회 홈페이지"

      19 유병철, "외국의 갱생보호에 관한 비교고찰 -외국사례의 시사점을 중심으로-" 한국교정학회 61 : 71-96, 2013

      20 조규동, "영화에 나타난 따돌림의 실태와 교정복지의 역할 연구: 영화 『우아한 거짓말』을 중심으로" 한국교정복지학회 (34) : 225-252, 2014

      21 "연구자료(2011 ~ 2015)"

      22 "연구자료(2011 ~ 2015)"

      23 홍금자, "약물 의존증자를 대상으로 한 교정복지 실천 및 치료 방법에 관한 탐색" 한국교정복지학회 (24) : 117-146, 2012

      24 박영숙, "수형자에 대한 사회적 처우의 활성화 방안" 한국교정복지학회 (23) : 111-143, 2011

      25 김영식, "수형자 사회복귀 전환관리에 관한 연구" 한국교정학회 51 : 7-41, 2011

      26 김봉수, "소년범의 사회내 처우의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한국교정학회 62 : 123-143, 2014

      27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세계의 사회복지학 교과목 지침 동향과 한국 사회복지학 교과목 지침 과제" 2014

      28 강정희, "성폭력 가해자 교정프로그램의 효과성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교정복지학회 (35) : 71-105, 2014

      29 "서울신문인터넷기사"

      30 이윤주, "상담학개론 대학교재의 분석: 대도시 7대학을 중심으로" 한국상담학회 12 (12): 621-634, 2011

      31 박현순, "산업복지 개론서의 분석"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11 (11): 157-176, 2010

      32 강경래, "사회적 배제와 포섭, 그리고 범죄자 처우- 영국의 보호관찰실시에서의 범죄자 포섭정책을 소재로 -" 한국교정학회 63 : 61-86, 2014

      33 신건철, "사회봉사명령이 학교폭력 가해청소년의 자아정체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교정복지학회 (25) : 25-49, 2012

      34 박경일, "사회복지행정 교재의 검토와 교육의 방향"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4 (4): 69-95, 2008

      35 이혜경, "사회교과목 지침서와 사회복지정책론 교재반영에 관한 연구-사회복지정책론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15 (15): 1-25, 2011

      36 임안나, "북한이탈주민의 사회 부적응 예방을 위한 교정복지의 역할: 신문기사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교정복지학회 (29) : 93-117, 2013

      37 아영아, "보호관찰 청소년의 가정 및 학교폭력 피해경험이 정신건강 및 학교폭력 가해경험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정복지학회 (34) : 81-108, 2014

      38 "법무부홈페이지 채용정보"

      39 천정환, "범죄인에 대한 교정에 관한 저서들에 나타난 교정복지 연구내용의 특징과 문제점" 한국교정복지학회 (21) : 1-23, 2011

      40 이상균, "대학에서의 학교사회복지 교육내용에 대한 분석: 교과과정 및 교재분석을 중심으로"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18 : 53-85, 2010

      41 "대학교육연구소 홈페이지"

      42 정순둘, "대학 사례관리교육과정_교과목 지침서와 교재분석" 3 (3): 65-80, 2012

      43 장규원, "노인수용자의 재통합에 관한 연구" 한국교정학회 50 : 33-60, 2011

      44 이은정, "노인복지현장의 직무분석에 따른 노인복지 교육과정 분석" 한국노인복지학회 (63) : 257-277, 2014

      45 남선모, "국내외 갱생보호제에 관한 비교고찰" 한국교정학회 61 : 37-70, 2013

      46 박영숙, "교정사회복지론" 진영사 2014

      47 최수찬, "교정복지학개론" 백산출판사 2014

      48 천정환, "교정복지학" 창지사 2010

      49 조흥식, "교정복지론-이론, 현장 그리고 실천" 학지사 2014

      50 홍봉선, "교정복지론" 공동체 2013

      51 홍금자, "교정복지론" 학현사 2009

      52 오영근, "교정복지론" 양서원 2013

      53 박영숙, "교정복지론" 그린 2013

      54 최옥채, "교정복지론" 학지사 2010

      55 박영숙, "교정복지론" 청목출판사 2008

      56 배임호, "교정복지론" 양성원 2010

      57 이금숙, "교정복지관점으로 본 군 범죄 예방에 관한 연구: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부적응병사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교정복지학회 (34) : 133-172, 2014

      58 강길봉, "교정복지 서비스의 민간위탁에 대한 탐색" 한국교정복지학회 (22) : 79-117, 2011

      59 이동임, "교도소 아버지학교 프로그램이 수형자의 가족관계 및 교정ㆍ교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정학회 67 (67): 127-153, 2015

      60 조희원, "갱생보호시설 생활관 입소 출소자를 위한 해결중심 단기치료 사례연구" 한국교정복지학회 (37) : 141-170, 2015

      61 한순옥, "갱생보호대상자의 사회적 지지와 자립의지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정복지학회 (33) : 55-88,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 1.5 1.4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6 1.15 1.414 0.4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