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국 파견학생 문화역량 향상을 위한 교육방안 제시 = A Proposal of Educational Methods for Improving Cultural Competency of Students Dispatched to Chin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0012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국제화 시대에 따라 해외 파견 유학생이 많아지고 있으며, 각 대학에서도 교환학생 프로그램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와 함께 해외 교류에 필요한 문화역량에 대한 관심도 커지고 있다. ...

      국제화 시대에 따라 해외 파견 유학생이 많아지고 있으며, 각 대학에서도 교환학생 프로그램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와 함께 해외 교류에 필요한 문화역량에 대한 관심도 커지고 있다. 해외 한국인 유학생 현황에 따르면 중국지역 유학생 수가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데 반해, 이에 대한 전문적인 조사나 연구가 거의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국지역 교환 프로그램을 통한 문화역량 변화와 교환 전과 과정 중의 요인에 대한 문화역량의 관계를 조사·분석해 보았다는 데 의의가 있다. 이를 조사하기 위해 A 대학 중국학부 학생 중 2016년부터 2018년까지 중국지역으로 파견 간 교환학생을 대상으로 교환 전과 후 2차례에 걸쳐 설문조사를 시행하였고, 2차례 설문에 모두 참여한 동일 집단 53명을 연구대상 범위로 정하였다. 통계 결과와 주관식 의견을 토대로 교환학생 프로그램에 대한 문제점과 개선해야 할 부분을 파악하여 3가지 교육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1)교환학생 선발방법 변경 또는 추가 조건제시, 2)기 경험자가 참여하는 정보망 구축, 3)교환 전 교내에서부터 현지인과의 교류를 적극적으로 지원 하자이다. 본 연구의 제시방안을 활용하여 중국지역 파견뿐만 아니라 해외 교류 프로그램의 양적 성장과 질적 성장이 함께 이루어지길 바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ith the advent of globalization, each universities actively run a student exchange program. In addition,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cultural competency for international exchanges. These days, more and more Korean students are going to China to s...

      With the advent of globalization, each universities actively run a student exchange program. In addition,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cultural competency for international exchanges. These days, more and more Korean students are going to China to study its language and culture but no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o make better programs or systems for students. Therefore, this study is meaningful to identify changes of cultural capacity through the exchange program in China. For research, the survey was conducted in A university’s Chinese studies students who participate in exchange student program in China from 2016 to 2018. A group of 53 students responded survey on two separate occasions. Based on the statistical results and opinions on the subject matter, researcher identified the problems of current exchange student program, the way for further improvements and three options for educational methods. 1) Changing the method of selecting exchange students or suggesting additional conditions, 2) Establishing an information network with prior experience in exchange student, 3) Supporting various interacting programs with natives inside a college before exchanging.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초록 1. 서론 2. 문화역량 측정도구와 분석방법 3. 측정결과 분석 4. 문화역량 향상을 위한 교육방안 제시 5. 결론 참고문헌 논문초록
      • 초록 1. 서론 2. 문화역량 측정도구와 분석방법 3. 측정결과 분석 4. 문화역량 향상을 위한 교육방안 제시 5. 결론 참고문헌 논문초록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옥순, "해외체류경험과 외국어 사용 능력에 따른 문화간 감수성 수준의 차이 (경기지역 대학생을 중심으로)"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5 (5): 45-67, 2008

      2 이두원, "한-중 대학생의 문화간 커뮤니케이션 수행능력에 대한 탐색연구 : 호스트와 체류자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19 (19): 5-25, 2011

      3 김연희, "한국 사회의 다문화화와 사회복지분야의 문화적 역량" 한국사회복지연구회 (35) : 117-144, 2007

      4 안원실, "학습자 중심의 일본어 교육 -디지털 스토리텔링과 교육연극을 통해-" 한국일본어학회 (35) : 223-236, 2012

      5 박세영, "평생교육기관에서 중국어회화를 배우는 중장년 학습자의 문화적 역량 탐색" 원격교육연구소 14 (14): 111-135, 2018

      6 박분주, "타문화 교환학생들과의 협력학습이 영어학습자들의 상호문화 간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효과" 언어과학회 (81) : 81-107, 2017

      7 진광호, "중국어-한국어 Tandem 학습법의 도입" 대한중국학회 (36) : 31-48, 2010

      8 하수권, "자기주도 외국어학습 시스템 구축 수단으로서의 모바일 탄뎀(Tandem) 소통" 한국멀티미디어언어교육학회 20 (20): 114-139, 2017

      9 김영기, "외국인 유학생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간의 경로분석 연구" 한국언론학회 60 (60): 305-337, 2016

      10 이승연, "외국어 교육에서의 문화에 관한 다각적 검토-교사의 문화 역량 강화를 위한 기초 연구-" 이중언어학회 (55) : 219-247, 2014

      1 김옥순, "해외체류경험과 외국어 사용 능력에 따른 문화간 감수성 수준의 차이 (경기지역 대학생을 중심으로)"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5 (5): 45-67, 2008

      2 이두원, "한-중 대학생의 문화간 커뮤니케이션 수행능력에 대한 탐색연구 : 호스트와 체류자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19 (19): 5-25, 2011

      3 김연희, "한국 사회의 다문화화와 사회복지분야의 문화적 역량" 한국사회복지연구회 (35) : 117-144, 2007

      4 안원실, "학습자 중심의 일본어 교육 -디지털 스토리텔링과 교육연극을 통해-" 한국일본어학회 (35) : 223-236, 2012

      5 박세영, "평생교육기관에서 중국어회화를 배우는 중장년 학습자의 문화적 역량 탐색" 원격교육연구소 14 (14): 111-135, 2018

      6 박분주, "타문화 교환학생들과의 협력학습이 영어학습자들의 상호문화 간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효과" 언어과학회 (81) : 81-107, 2017

      7 진광호, "중국어-한국어 Tandem 학습법의 도입" 대한중국학회 (36) : 31-48, 2010

      8 하수권, "자기주도 외국어학습 시스템 구축 수단으로서의 모바일 탄뎀(Tandem) 소통" 한국멀티미디어언어교육학회 20 (20): 114-139, 2017

      9 김영기, "외국인 유학생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간의 경로분석 연구" 한국언론학회 60 (60): 305-337, 2016

      10 이승연, "외국어 교육에서의 문화에 관한 다각적 검토-교사의 문화 역량 강화를 위한 기초 연구-" 이중언어학회 (55) : 219-247, 2014

      11 신창원, "예비영어교사의 글로벌-다문화 역량 강화를 위한 해외 교육 프로그램 모델" 미래영어영문학회 23 (23): 243-271, 2018

      12 위미나, "문화적 역량의 개념 및 구성요소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7

      13 강은석, "문화기술적 접근을 통한 태권도 전공자의 해외진출 활성화 방안"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8

      14 전재은, "대학생 해외교류프로그램 참여 성과측정도구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2014

      15 노충래, "다문화 사회복지 실무자의 문화적 역량 척도개발 및 타당화" 한국사회복지학회 63 (63): 207-231, 2011

      16 강미리, "교환학생 프로그램 참여 학생의 경험에 대한 연구: A대학 사례 연구" 고려대학교 2019

      17 한종임, "가상교실 기반의 국제문화 교류 협력(collaboration) 활동이 한국 영어학습자의 의사소통능력 국제문화이해 역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멀티미디어언어교육학회 19 (19): 137-157, 2016

      18 Chen,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Intercultural Sensitivity Scale" 3 : 2000

      19 Teichler U, "Temporary Study Abroad: the life of ERASMUS students" 39 (39): 2004

      20 Fantini, "Exploring and Assessing Intercultural Competence" 1 : 2006

      21 Doman Lum, "Culturally Competent Practice: A Framework for Understanding" Cengage Learning 2010

      22 Fantini, "A central concern: Developing intercultural competence" About Our Institution 200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8 0.28 0.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9 0.27 0.439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