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디자인 발상에서 이미지 맵핑 활용에 관한 연구 - 패션 컬렉션 수업의 예시로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72953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패션 디자인은 디자인 발상을 통해 의상을 미적, 기능적으로 전개시키는 예술적인 과정이다. 디자인 발상의 과정은 개개인마다 차이가 있으나, 마인드 맵은 생각을 지도화하여 주제와 연상...

      패션 디자인은 디자인 발상을 통해 의상을 미적, 기능적으로 전개시키는 예술적인 과정이다. 디자인 발상의 과정은 개개인마다 차이가 있으나, 마인드 맵은 생각을 지도화하여 주제와 연상되는 단어를 통해 이미지를 도출해 내어 이를 디자인으로 적용하는 방법이다. 본 연구는 패션 디자인에서 주제를 전개시키는 방법으로 마인드 맵을 이용해 의상 전개 시키는 과정을 이론적 연구와 수업 실습을 통해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디자인 발상과 전개 과정에 대한 이해를 돕고, 실례를 통해 추후 패션 디자인 수업 지도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64인의 학생들로 구성된 패션 컬렉션 수업에서 학생들에게 이미지 맵의 4가지 진행 방법을 소개하고, 디자인을 전개하도록 하였다. 4가지 전개 방식은 다음과 같다. 이미지 맵에 제시된 서로 다른 성격의 단어들을 하나로 조합하여 패션디자인 전반에 적용 시킨다. 둘째, 주제와 연관된 단어 중 하나의 관심 단어를 키워드로 심도 있게 들어가 주제에 대한 속성을 도출하여 패션 디자인을 전개시킨다. 셋째, 이미지 매핑을 통해 연상되는 시각적인 자료 (건축, 회화, 영화 등)를 활용하여 그 안에서 특징적 요소를 도출하여 디자인을 전개한다. 넷째, 주제와 관련하여 연상되는 사물을 가지고 그에 대한 시각적 특징을 디자인의 요소로 사용하였다. 이를 통해 도출된 디자인 요소를 통해 조사, 분석하고, 형태를 구성하는 과정으로 완성품이 나오고, 완성품을 재검토하며 최종 완성품을 제작한다. 패션과 언어적인 전개인 마인드 맵 과정은 생각을 표현하는 매개로서 디자인 발상에 있어, 상호적 관계에 있으며, 패션 컬렉션 수업을 분석하여 정리한 결과, 이는 디자이너나 학생들에게 적합하고 효율적인 방식임을 알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Fashion design is an artistic process of developing a creative idea to a clothing both aesthetically and functionally. There are various ways to design garments. ‘Mind-mapping’ is one way to develope a central idea by brainstorming at a beginning ...

      Fashion design is an artistic process of developing a creative idea to a clothing both aesthetically and functionally. There are various ways to design garments. ‘Mind-mapping’ is one way to develope a central idea by brainstorming at a beginning stage of fashion design. This research aims to explore ‘Mind-mapping’ through theoretical studies and class practice. Through the class of <Fashion Design and Seasonal Collection>, the total number of 64 students became the experimental participants. Students were assigned for four different categories of design applications. They are described as follows: 1. Based on finding two contrasting ideas on an implicit topic, they are to converge these different meanings to produce a single concept for a clothing, 2. Students think of a keyword on one topic out of all and further discover to reduce to the essence of the meaning of the idea/word. 3. Students are allowed to use other form of inspirations such as architecture, painting, film to associate with the central idea of their developed design. 4. Students select an alternative ‘object’ to resemble its visual components and transfer them to their central ideas. From the collected date, students proceed to further analysis, investigation, design and final evaluation of their clothing. The experimentation demonstrates that mind-mapping method as a representation by its use of language, is localized to express many abstract ideas by fashion designers. In conclusion, it tells that the mind-mapping method in fashion design is a proper way for fashion designers and studen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I. 서론
      • II. 연구 방법 및 절차
      • 1. 서로 다른 단어들을 조합하여 패션 요소로 적용
      • 2. 키워드에서 심도 깊게 들어가 패션 요소로 전개
      • 요약
      • I. 서론
      • II. 연구 방법 및 절차
      • 1. 서로 다른 단어들을 조합하여 패션 요소로 적용
      • 2. 키워드에서 심도 깊게 들어가 패션 요소로 전개
      • 3. 이미지 맵을 통해 연상되는 시각적 자료를 활용하여 디자인 전개
      • 4. 연상되는 사물을 이용하여 그 특징을 패션요소로 전개
      • III. 패션 디자인 과정의 전체적 특징 및 분석
      • 1. 조사 및 분석
      • 2. 컨셉
      • 3. 형태
      • 4. 디자인 완성 단계
      • IV.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주연, "타이포 일러스트레이션 교육에서 브레인스토밍과 스캠퍼를 활용한 아이디어 발상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2 윤성연, "창의적 표현력 증진을 위한 고등학교 1학년 디자인 수업에 관한 연구 : 브레인스토밍 기법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3 윤성연, "창의적 표현력 증진을 위한 고등학교 1학년 디자인 수업에 관한 연구 : 브레인스토밍 기법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4 장계영, "창의력 제고를 위한 디자인 프로세스 개발에 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1

      5 전라북도 교육청, "중학생을 위한 공학실험"

      6 이민선, "스토리텔링을 통한 창의적 패션디자인방법론에 관한 연구- ‘미수아바흐브’ 컬렉션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패션디자인학회 14 (14): 35-45, 2014

      7 신은진, "블랙의 상징성을 응용한 패션디자인 개발" 한국패션디자인학회 14 (14): 189-210, 2014

      8 유봉현, "브레인스토밍 기법이 창의적 사고력 증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험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9 김세령, "바디페인팅(Body Painting)의 디자인 발상에 관한 연구 : 시각적 수사사고 이론을 중심으로" 한성대학교 예술대학원 2011

      10 설희경, "마인드 맵을 활용한 초등학교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 연구 : 3, 4학년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1 최주연, "타이포 일러스트레이션 교육에서 브레인스토밍과 스캠퍼를 활용한 아이디어 발상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2 윤성연, "창의적 표현력 증진을 위한 고등학교 1학년 디자인 수업에 관한 연구 : 브레인스토밍 기법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3 윤성연, "창의적 표현력 증진을 위한 고등학교 1학년 디자인 수업에 관한 연구 : 브레인스토밍 기법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4 장계영, "창의력 제고를 위한 디자인 프로세스 개발에 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1

      5 전라북도 교육청, "중학생을 위한 공학실험"

      6 이민선, "스토리텔링을 통한 창의적 패션디자인방법론에 관한 연구- ‘미수아바흐브’ 컬렉션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패션디자인학회 14 (14): 35-45, 2014

      7 신은진, "블랙의 상징성을 응용한 패션디자인 개발" 한국패션디자인학회 14 (14): 189-210, 2014

      8 유봉현, "브레인스토밍 기법이 창의적 사고력 증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험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9 김세령, "바디페인팅(Body Painting)의 디자인 발상에 관한 연구 : 시각적 수사사고 이론을 중심으로" 한성대학교 예술대학원 2011

      10 설희경, "마인드 맵을 활용한 초등학교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 연구 : 3, 4학년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11 박응범, "디자인 창의성 증진을 위한 Brain Mapping기법 개발에 관한 실험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9

      12 Gaimster, J., "Visual Researh Methods in Fashion"

      13 Gaimster, J., "Visual Researh Methods in Fashion" Berg 17-, 2011

      14 Drach, M., "The Creative Aspect of Chomsky’s Use of the Notion of Creativity: The Philosophical Review(1)"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57-, 1981

      15 Sarnoff, M., "The Associative Basis of the Creative Process" 69 (69): 220-, 1962

      16 Kant, I., "Reiss, H. Kant’s political writings" University Press 54-60, 1784

      17 Brockling, U., "On Creativity: a Brainstorming Session, Educational Philosophy and Theory" Wiley Online Library 101-103, 2006

      18 "Naver 특수교육학 용어사전 (검색어: 이미지 맵)"

      19 Barabasi, A., "Linked: How everything is connected to everything else and what it means" Plume 26-, 2003

      20 Oracle Big Data, "Hadoop and NoSQL"

      21 Crawford, C., "Chris Crawford on Interactive Storytelling" Pearson 54-55, 2013

      22 Faste, R., "An unpublished book chapter describing the use of mind maps in design"

      23 Sotoriva, M., "A new language for creativity in fashion design" Minho University 2-4, 2012

      24 Sotoriva, M., "A new language for creativity in fashion design" Minho University 1-3, 20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7-09-2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 Journal of Fashion Design KCI등재
      2016-09-2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KCI등재
      2016-09-23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2-09-18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패션디자인 학회지 ->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8-13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 Society Of Fashion Design ->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KCI등재후보
      2007-04-03 학회명변경 한글명 : (사)한국패션디자인학회 -> 한국패션디자인학회
      영문명 : The Korea Society Of Fashion Design -> The Korea Society Of Fashion Design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1-11-2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사)한국패션디자인 학회지 -> 한국패션디자인 학회지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1 1.41 1.2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8 1.41 1.549 0.4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