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전통조경적 관점으로 본 암각바둑판의 입지와 장소 특성 = Characteristics of site and location of rock-go-board from the viewpoint of Korean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51946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문화유산에는 우리 선조들의 삶과 사고방식이 그대로 투영되어 있으며, 그것을 통해 우리는 자연에서 향유하고자 하였던 선인들의 생활문화와 자연과 함께 영위하는 가운데 삶 속에 배어있...

      문화유산에는 우리 선조들의 삶과 사고방식이 그대로 투영되어 있으며, 그것을 통해 우리는 자연에서 향유하고자 하였던 선인들의 생활문화와 자연과 함께 영위하는 가운데 삶 속에 배어있는 전통의 향기를 찾을 수 있다(박주성, 2004). 예부터 거문고, 바둑, 글씨 그리고 그림을 ‘琴棋書畫’라 하여 ‘俗世를 떠난 境地에서의 예술적 풍류’이자 문인의 대표적인 고상한 취미로 간주되어 왔다. 바둑[棋]은 우리 선인들이 여가 선용의 한 방편으로 품격 있게 즐겨온 놀이이자 교양으로, 또 바둑은 나른한 일상생활에서의 여유를 만끽하는 풍류놀이로 발전되어 왔다(김윤조, 2002; 유주희, 2006․2007). 더 나아가서 바둑은 문화 오락적 기능을 넘어 哲學的․神話的 談論을 생산하는 遊戱이기도 했다. 이렇듯 막연히 실내 놀이로 알려져 온 바둑의 現場이 室內나 內園을 떠나 室外 더 나아가서 깊은 산 속이나 하천 계류 주변에서 행해졌다는 결정적 증거가 남아있는데 그 흔적이 바로 ‘돌바둑판’ 또는 '嚴刻 바둑판'으로 불리는 시설이자 전통문화 공간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Go bears significant meanings in terms of cultural and entertaining functions in Asia Eastern such as China and Japan. Beyond the mere entertaining level, it produces philosophical and mythic discourse as well. As a part of effort to seek an identi...

      Go bears significant meanings in terms of cultural and entertaining functions in Asia Eastern such as China and Japan. Beyond the mere entertaining level, it produces philosophical and mythic discourse as well.
      As a part of effort to seek an identity of Korean traditional garden culture, this study traced back to find meanings of rock-go-board and taste for the arts which ancestors pursued in playing Go game, through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correlation among origin of place name, nearby scenery, carved letters and vicinal handed-down place name.
      At the same time, their position, shape and location types were interpreted through comprehensive research and analysis of stone-go-boards including rock-go-board. Particularly, it focused on the rock names related to Sundoism(仙道) Ideal world, fixed due to a connection between traces of Sundoism and places in a folk etymology. Series of this work is to highlight features of the immortal sceneries, one of traditional landscaping ideals, by understanding place identity and scenic features of where the rock-go-boards are carved. These works are expected to become foundation for promotion and preservation of the traditional landscaping remain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Ⅱ. 연 구 사 3
      • Ⅲ. 연구방법 9
      • Ⅰ. 서 론 1
      • Ⅱ. 연 구 사 3
      • Ⅲ. 연구방법 9
      • 1. 용어의 정리 9
      • 2. 연구범위 및 내용 10
      • 3. 조사 및 분석방법 10
      • 1) 신선과 바둑 관련 지명 10
      • 2) 암각바둑판의 입지 및 장소성 12
      • Ⅳ. 이론적 배경 17
      • 1. 바둑의 기원과 상징 17
      • 1) 바둑 및 바둑판의 기원 17
      • 2) 바둑의 상징과 의미 21
      • (1) 바둑판과 바둑문화에 내재된 상징성 21
      • (2) 仙遊朽斧柯說話와 爛柯考 25
      • (3) 橘中之樂과 商山四皓 28
      • 2. 선비문화와 바둑 풍류 33
      • 3. 조경문화와 신선사상 37
      • 4. 地名에서 찾은 神仙境 41
      • 1) 선계 동경의 의지, 신선 바위 41
      • 2) 신선 지명의 특성 43
      • (1) 神仙臺 44
      • (2) 神仙峰 51
      • (3) 신선바위 52
      • (4) 仙遊臺 53
      • (5) 四仙臺 55
      • (6) 바둑바위 58
      • 3) 신선 바위의 위치적 특성 60
      • Ⅴ. 결과 및 고찰 63
      • 1. 정원과 원림에 나타난 바둑과 仙趣 63
      • 1) 정원 속 신선경과 바둑 63
      • 2) 선유동 구곡원림에 나타난 神仙境 69
      • 2. 임각바둑판의 입지 및 장소성 74
      • 1) 서울 방학동 암각바둑판 76
      • 2) 강릉 유상대 암각바둑판 83
      • 3) 강릉 유천동 암각바둑판 90
      • 4) 횡성 취석 암각바둑판 96
      • 5) 충주 사로암 암각바둑판 101
      • 6) 단양 사인암 암각바둑판 104
      • 7) 괴산 선국암 암각바둑판 112
      • 8) 소백산 신선봉 암각바둑판 120
      • 9) 태안 태을동천 암각바둑판 125
      • 10) 무주 사선암 암각바둑판 133
      • 11) 무주 일사대 암각바둑판 139
      • 12) 장수 용소 암각바둑판 144
      • 13) 장수 방선암 암각바둑판 148
      • 14) 강진 월남사지 석국 153
      • 15) 양산 소한정 석국 157
      • 16) 양산 반룡대 석국 161
      • 17) 언양 반구대 암각바둑판 167
      • 18) 금강산 만폭동 암각바둑판 178
      • 3. 암각바둑판의 유형 및 입지특성 182
      • 1) 돌바둑판 유형 182
      • 2) 입지 유형 183
      • 3) 돌바둑판의 제원 및 보존상태 186
      • (1) 돌바둑판의 형식 186
      • (2) 돌바둑판의 규모 및 형태 186
      • (3) 기반암의 규모 188
      • (4) 돌바둑판의 坐向 191
      • 4) 돌바둑판의 조형자 추정 193
      • 4. 암각바둑판의 의의 및 가치 195
      • 1) 신선의 도락을 통한 선계 지향 195
      • 2) 遊仙과 崇拜의 이중주, 신선바위와 돌바둑판 199
      • 3) ‘商山四皓’ 모티프 재현을 통한 神仙境 구축 201
      • 4) 팔경 및 동천구곡의 風流處 202
      • 5. 암각바둑판 입지의 장소정체성 207
      • 6. 암각바둑판의 보존적 가치 210
      • Ⅵ. 결 론 213
      • 인용문헌 217
      • 中國語抄錄 23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