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CSI지역 고려인과의 문화예술교류 활성화 방안 연구 :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을 중심으로 = (A) Study on Revitalization of Culture and Arts Exchange with Korean-Russian of CI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986052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상명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0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10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303.482 판사항(22)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vii, 95 p. ; 26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 양현미
        참고문헌 : p.89-92

      • 소장기관
        • 상명대학교 서울캠퍼스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상명대학교 천안학술정보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orean arts organisations have set up carefully designed programmes of study and cultural interchange projects in order to preserve Korean customs overseas. Observations of factors that influence adjustments of the original art forms, such as displace...

      Korean arts organisations have set up carefully designed programmes of study and cultural interchange projects in order to preserve Korean customs overseas. Observations of factors that influence adjustments of the original art forms, such as displacement and resettlement will be made. A key objective is to maintain original styles and to prevent modification of traditional practises by supplying expertise and guidance. Korean artists are dispatched to participating countries on a voluntary basis in order to teach traditional Korean arts. Students from the CIS are then invited to Korea, to undertake professional training, where they have access to literature, media, materials, equipment and high quality teaching from skilled artists. Students whose ancestors were displaced in the 1930s are often restricted by their economic situation. Seasonal working patterns have been identifi- ed. The winter season, when unemployment is at its highest, presents an opportunity to recruit for overseas projects without halting the participant’s potential income.
      Currently only dance and music are presented to potential partakers in Uzbekistan and Kazakhstan and Russian. In order to make projects accessible to a wider audience, there needs to be more variety in the art forms offered. There is potential to include many other nations in the CIS and to raise the profile of Korean traditional arts in the region.
      The implementation and outcome of projects has not been recorded. The absence of any data, depicting the success of such ventures hinders analysis, which could lead to improvements. An effective, consistent system of documentation needs to be introduced. In order to fairly assess the effectiveness of cultural interchange projects in retaining true traditions and promoting ethnic culture, projects need to be ongoing and analysed over a longer period of time.
      President Lee Myung Bak agenda for supporting ethnic Koreans in the Commonwealth of Independent States. The Korean president aim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those with Korean ancestry in the region, many of whom are descendants of ethnic minorities who were forcibly transferred from Russia during the 1930s. This report sets out to present an accessible way to support Lee Myung Bak’s objective. By making international connections through the arts, we can begin to build bridges and forge the way for further collaborative projects between Korea and the CI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우즈베키스탄과 카자흐스탄지역을 중심으로 한국과 CIS지역 고려인과의 문화예술 교류를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서 다루고 있다. CIS지역이란 소비에트 연방 붕괴 후 구성된...

      본 논문은 우즈베키스탄과 카자흐스탄지역을 중심으로 한국과 CIS지역 고려인과의 문화예술 교류를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서 다루고 있다. CIS지역이란 소비에트 연방 붕괴 후 구성된 구 소비에트연방 독립국가연합으로 러시아, 우크라이나,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등 12개국으로 이루어졌으며 이들 지역에는 52만 명 이상의 재외동포들이 거주하고 있다. 이들 중 상당수는 고려인으로 그들 나름대로 우리 민족문화를 계승, 보존하고 있다. 그러나 고려인에 대한 우리의 관심과 지원은 미흡한 실정이며 단순한 경제적인 지원이 아닌 그들의 아픈 역사와 문화를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 교류와 협력이 필요하다.
      CIS지역 고려인과의 문화예술교류를 효과적으로 활성화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CIS지역 국가의 특징을 파악하여 국가별로 차별화된 정책이 필요하다. 지금까지 ‘한국 알리기’라는 국가 홍보 위주의 틀에서 벗어나 예술인 발굴·지원, 민족문화 계승, 민족 정체성 확립 등 다양한 목적의 정책 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여러 분야의 젊고 재능 있는 고려인 예술인들을 발굴·양성할 수 있도록 다양한 문화체험의 기회를 제공해야 하고 책임감 있는 전문 예술인들에게 한국문화에 관한 소개와 교육을 맡겨야 한다. 이들 전문 예술인은 현지 사회와 접촉을 통하여 상대국의 문화를 한국에 소개함으로써 상호 이해 촉진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해야 할 것이다. 또한 양국 간 문화예술교류에서 고려인 문화예술단체를 연관시켜 주재국에 관심을 갖게 하고 이들 문화예술단체들이 자생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교류와 지원이 필요하다.
      셋째, 각 부처에 산재되어 있는 지원 사업을 수합하여 정보를 안내해 줄 있는 통일된 창구나 틀이 시급하다.
      넷째, 기존의 문화예술교류사업과 기금은 한국을 해외로 알리는 홍보에만 집중하는 지원시스템으로 이제는 해외홍보가 아닌 말 그대로 문화예술교류에서 교류에 그 의미를 두어야 하며 해외 홍보라는 일반적인 인식에서 벗어나 상호 교류라는 인식에 기반을 두어 지원시스템을 점검할 필요가 있다.
      앞으로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뿐만 아니라 CIS지역 전체 고려인 예술인과 문화예술단체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연구, 그리고 이들과의 활발한 문화예술교류가 이어지길 기대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1
      •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
      • 1.3. 연구 내용 2
      • 제2장 고려인 문화예술교류의 필요성과 의의 4
      • 제1장 서론 1
      •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
      • 1.3. 연구 내용 2
      • 제2장 고려인 문화예술교류의 필요성과 의의 4
      • 2.1. 문화예술교류의 정의 4
      • 2.2. CIS지역 고려인 6
      • 2.2.1. CIS지역 6
      • 2.2.2. CIS지역 고려인 7
      • 2.3. CIS지역 고려인과의 문화예술교류의 필요성과 의의 10
      • 2.3.1. 경제적 필요성 12
      • 2.3.2. 문화적 필요성 14
      • 제3장 고려인 예술인 및 예술단체 현황 16
      • 3.1. 카자흐스탄 16
      • 3.1.1. 고려인 예술인 문화 공간 16
      • 3.1.2. 고려인 문화예술 단체 17
      • 3.1.3. 고려인 예술가 19
      • 3.2. 우즈베키스탄 25
      • 3.2.1. 고려인 문화 공간 26
      • 3.2.2. 고려인 문화예술 단체 27
      • 3.2.3. 고려인 예술가 30
      • 제4장 고려인 문화예술 교류사업 현황 36
      • 4.1. CIS지역과 문화예술교류 현황 36
      • 4.2. 고려인 문화예술 교류사업에 지원하는 기관 38
      • 4.2.1. 문화체육관광부 및 산하기관 38
      • 4.2.2. 외교통상부 산하 재외동포재단 44
      • 4.2.3. 동북아평화연대 46
      • 4.3. 고려인 문화예술 교류사업 유형 48
      • 4.3.1. 문화예술파견사업 48
      • 4.3.2. 문화예술초청사업 52
      • 4.3.3. 고려인 예술인 초청 연수 사례 58
      • 제5장 고려인 문화예술 교류 사업의 문제점 62
      • 5.1. 심층인터뷰 대상 및 기타 조사자료 62
      • 5.2. 내국인 대상 심층 인터뷰 결과 64
      • 5.3. 고려인 관계자 명담내용결과 72
      • 5.4. 문제점과 제약요인 74
      • 제6장 고려인 문화예술 교류사업 활성화 방안 76
      • 6.1. 상호 간의 언어학습 및 소통노력을 통한 교류 76
      • 6.2. 국가별 차별화된 교류 프로그램 개발을 통한 교류 77
      • 6.3. 상호 간의 파견, 초청연수 프로그램 확대를 통한 교류 79
      • 6.4. 문화예술 프로그램의 공동제작을 통한 교류 80
      • 6.5. 단일한 문화예술교류 시스템의 구축을 통한 교류 81
      • 6.6. 문화원 설립과 지원을 통한 교류 83
      • 제7장 결론 85
      • 참고문헌 89
      • ABSTRACT 9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