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페닐보론산을 포함하는 역오팔 수화젤 포도당센서의 제작 = Fabrication of inverse opal hydrogel glucose sensor containing phenylboronic aci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926309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8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세종대학교 대학원 대학원 , 물리화학과 , 2018. 6

      • 발행연도

        2018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668.422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26cm

      • 일반주기명

        세종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Fabrication of inverse opal hydrogel glucose sensor containing phenylboronic acid
        지도교수:이원목
        참고문헌: p.58-62

      • UCI식별코드

        I804:11042-200000107099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세종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systems (CGMS) for diabetes patients, and inverse opal photonic gels (IOPG), IOPG is expected to be the core technology of CGMS because it can observe blood glucose level by reversible reflect...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systems (CGMS) for diabetes patients, and inverse opal photonic gels (IOPG), IOPG is expected to be the core technology of CGMS because it can observe blood glucose level by reversible reflective color change without power supply units . In this study, we demonstrate a glucose sensing hydrogel which can observe blood glucose at physiological pH was prepared by intramolecular charge stabilization of phenylboronate by quaternary amine, and hydrogel was fabricated by using PBA with fluorine for improving sensitivity. Using 2-Hydroxyethyl methacrylate (HEMA) as inverse opal photonic hydrogel main building block monomer, (3-Acrylamidopropyl)trimethylammonium chloride (APTA) and 2-(methacryloyloxy)ethyltrimethylammonium chloride (MOETA) as two different charge stabilizer were, were copolymerized with 3-acrylamidophenyl boronic acid (3-AAPBA) which can detected glucose by reversible binding reaction between glucose and boronate. Also, acrylamide (AAm) and 3-fluoro-4-acrylamido-phenylboronic acid (3F4AAPBA) were copolymerized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sensitivity. The hydrogel was fabricated by Directed Enhanced Evaporative colloidal assembly (DEECA) method. The inverse opal photonic hydrogel, including APTA or MOETA, showed increased sensitivity at pH 7.4, which is physiological pH. The inverse opal photonic hydrogel containing 3F4AAPBA were further improved in sensitivity and hydrogel showed red, green, and blue reflection color at physiological blood glucose level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당뇨병 환자를 위한 지속적인 혈당 관찰 시스템 (CGMS,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systems)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역오팔 광결정 수화젤 (IOPG, inverse opal photonic gels)이 가역적인 반사색의 변...

      당뇨병 환자를 위한 지속적인 혈당 관찰 시스템 (CGMS,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systems)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역오팔 광결정 수화젤 (IOPG, inverse opal photonic gels)이 가역적인 반사색의 변화에 의해 혈당 수준을 관찰할 수 있기 때문에 IOPG가 CGMS의 핵심기술로 전망 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4차 아민에 의한 phenylboronate의 분자 내 전하 안정화를 통해 생리적 pH에서도 혈당을 관찰할 수 있는 IOPG를 제작하였고, 보다 좋은 감응도를 위해 불소가 달린 PBA를 이용하여 수화젤을 제작하였다. 역오팔 광결정 수화젤의 주 형성 단량체인 2-Hydroxyethyl methacrylate (HEMA), 두 개의 서로 다른 전하 안정제인 (3-Acrylamidopropyl)trimethylammonium chloride (APTA)와 2-(methacryloyloxy)ethyltrimethylammonium chloride (MOETA)를 glucose와 boronate의 가역적인 결합 반응으로 혈당을 감지할 수 있는 3-acrylamidophenylboronic acid (3-AAPBA)와 공중합 하였다. 또한 감응성 개선을 목적으로 acrylamide (AAm) 와 3-fluoro-4-acrylamido- phenylboronic acid (3F4AAPBA)를 공중합 하였다. 수화젤은 ‘Directed Enhanced Evaporative colloidal assembly’ (DEECA) 방법으로 제작하였다. APTA와 MOETA를 포함하여 제작한 역오팔 광결정 수화젤은 생리적 pH인 pH 7.4에서 감응도가 증가 된 것을 확인하였고, 3F4AAPBA를 포함하는 수화젤에서 감응도가 더욱 개선되었고, 생리적 혈당 수치에서 RGB (red, green, blue)의 반사색이 나타나게 제작하였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