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유아 다례교육이 유아 운동발달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s of Tea-Etiquette Education for Children on the Motor Development of Childre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57655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whether Tea-Etiquette Education during early childhood, the decisive period regarding active physical development, has positive effects on physical development of children by having them experience general tradi...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whether Tea-Etiquette Education during early childhood, the decisive period regarding active physical development, has positive effects on physical development of children by having them experience general traditional cultures, get familiar with them, and act in reflection of them.
      To achieve the purpose, 22 6-year-old children at Y kindergarten located in Gwanak-gu, Seoul (11 boys, 11 girls) were selected; and Tea-Etiquette Education was conducted 10 times in total once a week for 10 weeks from Sep. 1 to Nov. 3, 2008. By measuring the movement abilities before and after the Tea-Etiquette Education, the extent of movement development was compared. In this procedure, study methods of Byeongdong Kang(2002) and Wongyeong Son(2004) were selected, and some of the items were revised and complemented. 10 items to measure gross-motor movement abilities and 8 items to measure fine-motor movement abilities were utilized.
      For statistical analysis, SPSS 14.01 was adopted as the statistical measuring program, the effects of the program for each item of movement development (gross-motor·fine-motor) before and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program were determined, and the difference in movement development items according to the gender was compared. The values indicating difference at each movement development item were calculated for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which was followed by t-test.
      The results in application of these study methods are as follows:
      First, as for difference of gross-motor and fine-motor before and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Tea-Etiquette Education, the difference in gross-motor and fine-motor movement development was statistically P<.01, which is significant difference.
      As for difference for each measuring item of gross-motor movement before and after the Tea-Etiquette Education, 'running with the knees up,' 'running with things in hands,' and 'going up and down steps on the stair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of P<.001. As for general movement areas, the locomotion area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of P<.001, and the balance area P<.05.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in the operation area but in the prior mean(2.14) and posterior mean(2.30).
      Regarding difference shown in each measuring item of fine-motor movement before and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ea-Etiquette Education, 'classifying colors,' 'following one's drawing, 'drawing while observing,' and 'drawing lines' in writing with finger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of P<.001. As for arms and hand-writing, 'using chopsticks' and 'using scissor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of P<.01. As for 'folding paper,' difference was shown in the prior mean(2.59) and posterior mean(2.81). No difference was shown in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as to playing with blocks since all children completed block piling before and after the education alike. As for movement areas, adjustment and operation/cooperation area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of P<.001.
      Second, as for difference of effectiveness in each item of gross-motor movement according to the gender after the implementation of Child Tea-Etiquette Education, only 'running with things between the lip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of P<.05, and ‘running with knees up(male average .82, female average .37)’ and ‘walking on the straight line(male average .00, female average .36)’ showed difference in the average.
      As for difference of effectiveness in each item of fine-motor movement according to the gender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ea-Etiquette Education, only 'folding paper'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of P<.01, and ‘following one's drawing(male .72, female .36)’ and ‘using chopsticks(male 1.18, female .64)’ showed difference in the average.
      In conclusion, since Tea-Etiquette Education provides many opportunities to practice various motions, children can experience physical growth and development through it. Thus, it is very desirable to learn Tea-Etiquette Education during childhoo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신체발달이 활발히 이루어지는 결정적 시기인 유아기에 다례교육을 통하여 우리 전통문화를 포괄적으로 체험하고 자연스럽게 몸에 익히고 행동하므로써 유아의 신체적인 운동발...

      본 연구는 신체발달이 활발히 이루어지는 결정적 시기인 유아기에 다례교육을 통하여 우리 전통문화를 포괄적으로 체험하고 자연스럽게 몸에 익히고 행동하므로써 유아의 신체적인 운동발달에 긍정적인 효과를 도모할 수 있는지를 알아 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시 관악구에 위치한 Y유치원의 6세 유아 22명(남아 11명, 여아 11명)을 선정하여 2008년 9월 1일부터 2008년 11월 3일 까지 10주 동안 주 1회, 총 10차시에 걸쳐 다례교육을 실시하였다. 다례교육 실시 전과 후에 운동능력 측정을 통해 운동발달의 정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강병동(2002), 손원경(2004)의 연구방법을 숙지하고 측정도구 항목 일부를 수정·보완하여 선정하였다. 대근육 운동능력 측정 10개항목과 소근육 운동능력 측정 8개항목을 이용하였다.
      통계분석을 위한 통계프로그램은 SPSS 14. 01을 이용하였으며 실험집단의 프로그램 실시 전·후 운동발달(대근육·소근육)의 영역별 효과의 차이 검정과 성별에 따른 운동발달 항목별의 차이를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여 t-검정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례교육 실시 전&#65381;후의 대근육 및 소근육 발달의 차이에서 대근육과 소근육 운동발달의 사전·사후의 차이는 모두 통계적으로 P<.01의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다례교육 실시 전&#65381;후 대근육 운동의 측정 항목별 차이는 측정항목에서는 ‘무릎들고 뛰기’와 ‘물건들고 뛰기’, ‘계단 오르고 내리기’에서 P<.001의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전체적인 운동영역에서는 이동운동영역이 P<.001의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균형운동영역에서는 P<.05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조작운동영역에서는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사전평균(2.14)과 사후평군(2.30)에서 차이를 보였다.
      다례교육 실시 전·후의 소근육 운동의 측정 항목별 차이는 손가락쓰기에서 ‘색깔 분류하기’, ‘따라 그리기’, ‘보고 그리기’, ‘선긋기’가 P<.001의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팔과 손쓰기에서는 ‘젓가락 사용하기’와 ‘가위쓰기’가 P<.01의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종이접기’는 사전평균(2.59)과 사후평균(2.81)의 차이가 있었으며, 블록쌓기는 모든 유아들이 사전과 사후 똑같이 탑쌓기를 완성하여 평균과 표준편차에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운동영역에서는 조절운동영역과 조작·협응운동영역에서 P<.001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유아 다례교육 실시 후 성별에 따른 대근육 운동의 측정 항목별 효과성의 차이에서는 ‘물건 물고 뛰기'에서만 P<.05 의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무릎 들고 뛰기(남아 평균 .82, 여아평균 .37)’와 ‘직선 밟고 걷기(남아평균 .00, 여아평균 .36)’에서는 평균에서 차이를 나타내었다.
      다례교육 실시 후 성별에 따른 소근육 운동의 측정 항목별 효과성 차이는 ‘종이접기’에서만 P<.01의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따라 그리기(남아 .72, 여아 .36)’와 ‘젓가락 사용하기(남아 1.18, 여아 .64)’에서는 평균에서 차이를 나타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다례교육은 많은 동작을 연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때문에 유아는 다례교육을 통하여 신체적으로 성장·발달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다례교육이 유아기에 이루어지는 것은 매우 바람직한 일일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문제 4
      • 3. 용어의 정의 5
      • 4. 연구의 제한점 6
      • I.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문제 4
      • 3. 용어의 정의 5
      • 4. 연구의 제한점 6
      • II. 이론적 배경 7
      • 1. 유아 다례교육 7
      • 1) 유아 다례교육의 교육적 의미 7
      • 2) 유아 다례교육과 유아발달 8
      • 2. 유아 운동발달 10
      • 1) 유아 운동발달의 특성 10
      • 2) 유아 대근육 운동발달의 경향 14
      • 3) 유아 소근육 운동발달의 경향 16
      • 4) 신체발달과 운동발달의 기타 발달영역과의 관계 20
      • 3. 다례교육과 신체발달 관련 선행연구 22
      • III. 프로그램의 구성 26
      • 1. 프로그램의 목적 26
      • 2. 프로그램의 차시별 주제 및 활동 내용 26
      • 3. 차시별 수업지도안 28
      • Ⅳ. 실시방법 41
      • 1. 실시대상 41
      • 2. 측정도구 41
      • 3. 실시절차 및 측정방법 43
      • 4. 자료처리 및 분석방법 44
      • Ⅴ. 결과 및 해석 45
      • 1. 결과 및 해석 45
      • Ⅵ. 결론 및 제언 52
      • 1. 결론 52
      • 2. 제언 55
      • 참고문헌 56
      • 부록 60
      • Abstract 6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