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요추부 퇴행성 질환의 유합술 후 발생한 근위 인접 분절 질환- 한 분절 위와 두 분절 위에 발생한 경우의 비교 - = A Comparison of Adjacent Segment Diseases Above One Versus Above Two Vertebral Segment after Spinal Fusion of the Degenerative Lumbar Diseas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79600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tudy Design: Retrospective study. Objective: To compare patients who underwent spinal revision surgery of adjacent segment degeneration with above one and above two vertebral segment preceded by initial spinal fusion surgery. Summary of Literature Re...

      Study Design: Retrospective study.
      Objective: To compare patients who underwent spinal revision surgery of adjacent segment degeneration with above one and above two vertebral segment preceded by initial spinal fusion surgery.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The adjacent segment disease(ASD) occurs more frequently at the more proximal segment of the spinal fusion. Also, the preexisting degenerative segments (with discs or facet joints) not included in the fusion procedure, fusion segmental sagittal angle, fixed appliances method, gender, and age, have been accepted as the causes.
      Materials and Methods: The patients were watched over a year after the spinal revision operation followed by initial spinal fusion of single or multiple segments; the subjects were limited to 41 patients. The average age, entity of diseases, average duration between the initial spinal fusion and the revision surgery, multiple clinical and radiographic parameters were evaluated and compared.
      Results: Using the UCLA grade of intervertebral disc degeneration, the average grade of 1 level upper segment was 2.2 in group A and 1.9in group B without statistical significance(p=0.426). However, the average grade of 2-level upper segment was 1.8 in group A and 2.4 in group B with significant difference(p=0.021).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other factors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s: Patients with ASD of above two-vertebral segment after spinal fusion were more severe in disc degeneration than those with ASD of above one vertebral segment before initial spinal fusion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 계획: 후향적 연구. 목적: 요추부 퇴행성 질환으로 시행한 요추 유합술 후 인접 분절 질환으로 인해 재수술을 시행했던 경우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인접 분절 질환이 한 분절위와 두 분...

      연구 계획: 후향적 연구.
      목적: 요추부 퇴행성 질환으로 시행한 요추 유합술 후 인접 분절 질환으로 인해 재수술을 시행했던 경우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인접 분절 질환이 한 분절위와 두 분절 위에서 발생한 경우를 비교 하였다.
      선행 문헌의 요약: 인접 분절 질환은 유합부의 근위일수록 잘 발생하고, 유합에 포함되지 않았던 분절에 존재하던 추간판 또는 후관절의 퇴행, 유합술후 요추 전만각과 유합 분절의 시상각, 기구 고정의 방법, 그리고 성별과 나이 등의 다양한 원인이 제기되고 있다.
      대상 및 방법: 퇴행성 요추부 질환으로 한 분절 또는 두 분절에 유합술을 시행 받은 환자 중 인접 분절 질환이 발생하여 재수술을 시행한 41명을 대상으로, 한 분절 위에서 발생한 경우를 A군, 두 분절 위에서 발생한 경우를 B군으로 분류하였다. 각 군에 대하여 나이, 성별, 진단명, 내과적 동반 질환 등의기초 정보와 통증 지수, 방사선적 요소들을 측정하였고, 방사선적 요소들로는 요추부전만각, 유합부 시상각, 한 분절/두 분절 위의 추간판 퇴행, 후관절퇴행 등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나이, 성별, 진단명, 요추부 전만각, 유합부 시상각, 유합 방법, 유합 분절, 후관절 퇴행 등은 두 군간에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한 분절 위의 추간판의 퇴행은 A군 2.2, B군 1.9로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으나(p=0.426), 두 분절 위의 추간판 퇴행은 A군 1.8, B군 2.4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21).
      결론: 요추부 유합술시 상위 인접 분절의 퇴행성 질환은 두 분절 위에서 발생한 경우 수술 전 이미 추간판 퇴행이 더 심하였던 경우가 많았다. 이는 인접분절 질환의 여러 요인 중에 기존의 퇴행이 가장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생각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안동기, "제4-5 요추간 유합술 후 수술 방법에 따른 인접 분절의 퇴행성 변화 -후외측 유합술과 후방 추체간 유합술의 비교연구-" 대한정형외과학회 41 (41): 281-287, 2006

      2 안동기, "요추유합술 후 인접분절의 퇴행성 변화에 의한 재수술 - 위험인자에 대한 비교연구 -" 대한정형외과학회 40 (40): 203-208, 2005

      3 김환정, "요추부 인접 분절 질환에 대한 위험 인자 분석 및 수 술 후 결과" 대한척추외과학회 17 (17): 74-81, 2010

      4 조규정, "요추 유합술 후 인접 분절에 발생한 척추관 협착증의 재수술" 대한정형외과학회 46 (46): 205-211, 2011

      5 Hambly MF, "The transition zone above a lumbosacral fusion" 23 : 1785-1792, 1998

      6 Cho JL, "The changes of adjacent segments after spinal fusion : follow-up more than three years after spinal fusion" 5 : 239-246, 1998

      7 Ha Ky, "Surgery for adjacent segment changes after lumbosacral fusion" 9 : 332-340, 2002

      8 Etebar S, "Risk factors for adjacent-segment failure following lumbar fixation with rigid instrumentation for degenerative instability" 90 (90): 163-169, 1999

      9 Kettler A, "Review of existing grading systems for cervical or lumbar disc and facet joint degeneration" 15 : 705-718, 2006

      10 Aota Y, "Postfusion instability at the adjacent segments after rigid pedicle screw fixation for degenerative lumbar spinal disorders" 8 : 464-473, 1995

      1 안동기, "제4-5 요추간 유합술 후 수술 방법에 따른 인접 분절의 퇴행성 변화 -후외측 유합술과 후방 추체간 유합술의 비교연구-" 대한정형외과학회 41 (41): 281-287, 2006

      2 안동기, "요추유합술 후 인접분절의 퇴행성 변화에 의한 재수술 - 위험인자에 대한 비교연구 -" 대한정형외과학회 40 (40): 203-208, 2005

      3 김환정, "요추부 인접 분절 질환에 대한 위험 인자 분석 및 수 술 후 결과" 대한척추외과학회 17 (17): 74-81, 2010

      4 조규정, "요추 유합술 후 인접 분절에 발생한 척추관 협착증의 재수술" 대한정형외과학회 46 (46): 205-211, 2011

      5 Hambly MF, "The transition zone above a lumbosacral fusion" 23 : 1785-1792, 1998

      6 Cho JL, "The changes of adjacent segments after spinal fusion : follow-up more than three years after spinal fusion" 5 : 239-246, 1998

      7 Ha Ky, "Surgery for adjacent segment changes after lumbosacral fusion" 9 : 332-340, 2002

      8 Etebar S, "Risk factors for adjacent-segment failure following lumbar fixation with rigid instrumentation for degenerative instability" 90 (90): 163-169, 1999

      9 Kettler A, "Review of existing grading systems for cervical or lumbar disc and facet joint degeneration" 15 : 705-718, 2006

      10 Aota Y, "Postfusion instability at the adjacent segments after rigid pedicle screw fixation for degenerative lumbar spinal disorders" 8 : 464-473, 1995

      11 Whitecloud TS, 3rd, "Operative treatment of the degenerated segment adjacent to a lumbar fusion" 19 : 531-536, 1994

      12 Booth KC, "Minimum 5-year results of degenerative spondylolisthesis treated with decompression and instrumented posterior fusion" 24 : 1721-1727, 1999

      13 Schlegel JD, "Lumbar motion segment pathology adjacent to thoracolumbar, lumbar, and lumbosacral fusions" 21 : 970-981, 1996

      14 Leong JC, "Long-term results of lumbar intervertebral disc prolapse" 8 : 793-799, 1983

      15 Lehmann TR, "Long-term followup of lower lumbar fusion patients" 12 : 97-104, 1987

      16 Kim HT, "Late changes at the adjacent segments to lumbar fusions" 3 : 1-10, 1996

      17 Ghiselli G, "L5-S1 segment survivorship and clinical outcome analysis after L4-L5 isolated fusion" 28 : 1275-1280, 2003

      18 Frymoyer JW, "Failed lumbar disc surgery requiring second operation. A long-term follow-up study" 3 : 7-11, 1978

      19 Kettler A, "Effects of specimen length on the monosegmental motion behavior of the lumbar spine" 25 : 543-550, 2000

      20 Kumar MN, "Correlation between sagittal plane changes and adjacent segment degeneration following lumbar spine fusion" 10 : 314-319, 2001

      21 Ha KY, "Changes of the adjacent-unfused mobile segment after instrumental lumbar fusion : more than 5-years follow-up" 5 : 205-214, 1998

      22 Rahm MD, "Adjacent-segment degeneration after lumbar fusion with instrumentation : a retrospective study" 9 : 392-400, 1996

      23 Lalane LB, "Adjacent segment disease of the lumbar spine : genetic versus biomechanical theories" 7 : 276-280, 2008

      24 Park P, "Adjacent segment disease after lumbar or lumbosacral fusion : review of the literature" 29 : 1938-1944, 2004

      25 Brunet JA, "Acquired spondylolysis after spinal fusion" 66 : 720-724, 1984

      26 Lee CK, "Accelerated degeneration of the segment adjacent to a lumbar fusion" 13 : 375-377, 1988

      27 Herkowitz HN, "A prospective study comparing decompression with decompression and intertransverse process arthrodesis" 73 : 802-808, 1991

      28 Boden SD, "A prospective investigation" 72 : 403-408, 199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03 0.03 0.0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06 0.05 0.228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