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장소 정체성 상실 = A Study of Marriage Migrant Women's Loss of Place Identity - Focusing on Garibong Amatory Poem by Gong, Sun-0k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92923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소비자본주의적 의식에 의해 변방의 농촌으로 팔려온 국제결혼 이주여성들은 물리적 폭력과 가부장제의 억압, 문화적 갈등을 견뎌내지 못하고 이혼이나 가출을 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이럴...

      소비자본주의적 의식에 의해 변방의 농촌으로 팔려온 국제결혼 이주여성들은 물리적 폭력과 가부장제의 억압, 문화적 갈등을 견뎌내지 못하고 이혼이나 가출을 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이럴 경우 장소 정체성이 공고하지 못한 그들은 국내 결혼 여성에 비해 장소 정체성 확립에 대한 심각한 문제가 발생하게된다. 국제결혼 이주여성들의 가출은, 다문화가정을 위태롭게 만들뿐 아니라 장소 정체성 상실로 이어진다. 따라서 본고는 결혼이주 여성들이 겪는 비인격적인 대우와 고된 행로가 형상화된 다문화 소설을 통해, 이주민과의 공존에 대한 배타성으로 인해 장소 상실을 겪는 그들의 현주소를 살펴보고 국제결혼이주여성들의 장소 정체성 확립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하는 데 목적을 둔다. 한국 다문화소설은 국제결혼 이주여성들의 장소이동과 가치 지향점이 장소 정체성 상실로 이어지는 중심에 서 있다. 특히 ?가리봉 연가?에 등장하는 ‘전라도 농촌, 가리봉동, 여인숙, 노래방, 골목’은 국제결혼 이주여성 ‘장명화’의 장소 이동 과정을 통해 장소 정체성 상실 과정을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상징 공간이다. 본고는 렐프(Relphd)의 『장소와 장소 상실』, 볼노(Bollnow)의 『인간과 공간』에 집중하여 ?가리봉 연가?에 등장하는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장소 정체성 상실에 대해 고찰해보고자 한다. 이 연구는 국제결혼 이주여성들의 장소 정체성 확립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정책을 적극적으로 개발하고, 단계적으로 사회 통합을 이루어나가는 데 기여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 women who has been sold at farming area of frontier because of the consume bourgeois consciousness get divorced or run away frequently because they cannot endure physical violence, suppression of patriarchal and cultural...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 women who has been sold at farming area of frontier because of the consume bourgeois consciousness get divorced or run away frequently because they cannot endure physical violence, suppression of patriarchal and cultural struggle. In that case, the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 women without the identity of place have big problems to get an identity of place compared with domestic women. The elopement of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 women make a multicultural family endanger and loss of place identity. Therefore this article is subject to realization about established place identity for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 women through searching the actual problems sensitively about the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 women who undergo the placelessness arise from exclusiveness in coexisting with immigrant. Korean multicultural novels is center of the place movement and change value direction into loss of place identity. Especially A symbolic space which is ‘Jeolla-do farm village, Garibong-dong, inn, karaoke, backstreet’ in Garibong Amatory poem shows that process of the loss of place identity plainly through place movement process of ‘Jang MyungHwa’. Giving an eye to Place and Placelessness by Edward Relph and Human Space by Otto Friedrich Bollnow, this article tries to examine loss of place identity of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 women appeared at Garibong Amatory Poem. This study counts on that can contribute to social unification by stages and help develop the policy of place identity establishment actively in the governmen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머리말
      • 2. ?가리봉 연가?에 나타난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장소 정체성 상실
      • 3. 장소이동의 상징 공간 : 전라도 농촌, 가리봉동, 여인숙, 노래방, 골목
      • 4. 맺음말
      • 국문초록
      • 1. 머리말
      • 2. ?가리봉 연가?에 나타난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장소 정체성 상실
      • 3. 장소이동의 상징 공간 : 전라도 농촌, 가리봉동, 여인숙, 노래방, 골목
      • 4.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창선영, "현대공간의 장소상실성과 표현에 관한 고찰" 국민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6

      2 최성실, "해체되는 가족서사와 유랑민의 삶" 한국간행물윤리위원회 58 : 26-30, 2005

      3 박태일, "한국 근대시의 공간과 장소" 소명출판 1999

      4 백지연, "타자의 인식과 공공성의 성찰" 창작과 비평사 37 (37): 57-75, 2009

      5 송명희, "지구-지방화와 디아스포라, 그리고 다문화주의" 2011

      6 신지은, "장소의 상실과 기억 : 조르쥬 페렉(Georges Perec)의 장소 기록에 대하여" 한국사회학회 45 (45): 232-256, 2011

      7 김현주, "장소와 장소상실" 논형 2005

      8 김덕현, "장소와 장소 상실, 그리고 지리적 감수성" 배달말학회 (43) : 1-20, 2008

      9 한귀은, "장소 개념을 통한 소설교육 방안" 한국어교육학회 (127) : 393-419, 2008

      10 볼노, 오토 프리드리히, "인간과 공간" 에코 리브르 2004

      1 창선영, "현대공간의 장소상실성과 표현에 관한 고찰" 국민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6

      2 최성실, "해체되는 가족서사와 유랑민의 삶" 한국간행물윤리위원회 58 : 26-30, 2005

      3 박태일, "한국 근대시의 공간과 장소" 소명출판 1999

      4 백지연, "타자의 인식과 공공성의 성찰" 창작과 비평사 37 (37): 57-75, 2009

      5 송명희, "지구-지방화와 디아스포라, 그리고 다문화주의" 2011

      6 신지은, "장소의 상실과 기억 : 조르쥬 페렉(Georges Perec)의 장소 기록에 대하여" 한국사회학회 45 (45): 232-256, 2011

      7 김현주, "장소와 장소상실" 논형 2005

      8 김덕현, "장소와 장소 상실, 그리고 지리적 감수성" 배달말학회 (43) : 1-20, 2008

      9 한귀은, "장소 개념을 통한 소설교육 방안" 한국어교육학회 (127) : 393-419, 2008

      10 볼노, 오토 프리드리히, "인간과 공간" 에코 리브르 2004

      11 김양선, "이주하는 여성들, 전락과 환멸의 서사" (사)민족문화작가회의 15-30, 2006

      12 박용찬, "이용악 시의 공간적 특성 연구" 한국어문학회 (89) : 259-287, 2005

      13 윤종현, "위장 국제결혼에 우는 한국 남자들"

      14 송명희, "여성과 공간 - 현상학적 공간이론과 젠더정치학 -" 배달말학회 (43) : 21-48, 2008

      15 노베르크-슐츠, 크리스티안, "실존·공간·건축" 태림문화사 1991

      16 김동윤, "서평/ 공선옥 연작소설 유랑가족: 황폐한 삶의 끝은 어디인가?" (19) : 319-328, 2005

      17 송명희, "다문화소설에 재현된 결혼이주여성" 한국어문교육학회 41-70, 2011

      18 이지영, "다문화가정 이혼 증가…복지센터 맡겨지는 아동 늘어나"

      19 조민경, "다문화 소설에 나타난 호명과 주체" 부경대학교 대학원 2012

      20 김경은, "김광균 시에 나타난 장소성 연구" 용인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17) : 23-39, 2010

      21 바슐라르, 가스통, "공간의 시학" 동문선 2003

      22 투안, 이-푸, "공간과 장소" 대윤 1999

      23 아도르노, 테오도르, "계몽의 변증법" 문학과 지성사 2001

      24 서종남, "결혼이민자 가정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연구"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2 (42): 103-126, 2010

      25 서혜지, "가난한 사람들의 유랑과 가족의 해체 -공선옥의 『유랑가족』을 중심으로-" 한국비평문학회 (34) : 226-231, 2009

      26 천선영, "‘다문화사회’ 담론의 역설" 219-230, 2003

      27 공선옥, "[단행본] 유랑가족" 실천문학사 2005

      28 박정애, "2000년대 한국 소설에서 ‘다문화가족’의 성별적 재현 양상 연구" 한국여성문학학회 22 (22): 93-121,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 1.5 1.3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4 1.35 1.992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