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기관절개술 환자의 Povidone 소독에 따른 포도상구균의 양상 = Aspects of Staphylococcus in Povidone Disinfection of Patients with a Tracheostom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4014323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기관절개술을 받은 환자의 기관절개부위에서 발견되는 포도상구균에 대해 povidone의 살균효과와 소독제 사용 횟수, 경과일수에 따른 변화를 관찰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연구...

      본 연구는 기관절개술을 받은 환자의 기관절개부위에서 발견되는 포도상구균에 대해 povidone의 살균효과와 소독제 사용 횟수, 경과일수에 따른 변화를 관찰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연구대상은 2001년 1월 16일부터 2001년 2월 26일까지 D시내에 소재한 2개 종합병원의 신경외과 중환자실에 입원한 35명의 기관절개환자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AS를 이용하여 백분율, t-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포도상구균에 대한 povidone의 살균효과는 농도와 시간에 관계없이 강하게 나타났다.
      1일 1회 소독 후 3일째부터 Staphylococcus aureus균이 검출되었고, 6일째에 가장 많이 검출되었다. Coagulase negative Staphylococcus균은 1일부터 3일까지는 거의 검출되지 않았으나, 4일째에 가장 많이 검출되었다.
      소독횟수에 따른 균집락화 양상은 1일 1회 소독할 때보다 2회 소독시 황색포도상구균이 현저히 감소하였다.
      항생제에 대한 Staphylococcus aureus와 Coagulase negative Staphylococcus의 내성검사를 한 결과 Staphylococcus aureus는 Methicillin에서 72.7%, Imipenem에서 63.6%가 내성을 나타냈으며, Coagulase negative Staphylococcus는 Methicillin에서 37.5%, Imipenem에서 12.5%가 내성을 나타내었고, Vancomycin에는 모두 내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이상의 본 연구결과로써 기관절개환자의 절개부위에 대한 철저한 소독을 통해 병원감염을 예방할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될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되며,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앞으로 더 많은 소독제와 다양한 균종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시행되어야 할 것이며, 모든 의료인은 철저한 병원감염예방에 힘써야 할 것이다. 또한, 병원감염 예방과 간호 발전을 위한 소독전문인력을 양성하여 활성화시키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the biocidal effect of povidone on staphylococcus found in tracheal incision site, changes following the disinfection frequency and duration, and tolerance to the antibiotics. The data was analysed by percentag...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the biocidal effect of povidone on staphylococcus found in tracheal incision site, changes following the disinfection frequency and duration, and tolerance to the antibiotics. The data was analysed by percentage and t-test using SAS program.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35 tracheostomy patients in an Intensive Care Unite of the hospital located in Daegu city and analysing term was from January 16 to February 26, 2001.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biocidal effect of povidone on Staphylococcus was strong regardless of time and concentration.
      Staphylococcus aureus was found on third day and found to be highest concentration on 6th day after disinfection of once/a day. Coagulase negative Staphylococcus was not found from 1st to 3rd day and highest on 4th day after disinfection of once/a day.
      As to bacteria colonization following the disinfection frequency, twice per day of disinfection was more effective on Staphylococcus aureus than once a day.
      In tolerance test of Staphylococcus aureus and Coagulase negative Staphylococcus, 72.7% of Staphylococcus aureus showed tolerance in Methicillin, 63.6% in Imipenem, and 37.5% of Coagulase negative Staphylococcus showed tolerance in Methicillin, 12.5% in Imipenem. Bothof them do not have any tolerance in Vancomyci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the basis for protection against hospital mediated infection through thorough disinfection.
      With above results, I suggest the following.
      First, we should research relation between antiseptics and fungi, virus more deeply.
      Secondly, all medical personnel should try to protect against the hospital mediated infection.
      Thirdly, there is a need of training professional disinfection personnel for preventing hospital mediated infection and the progress of nursing science.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