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러시아 순양함 드미트리 돈스코이호와 고종 = The Russian Naval Cruiser Dmitrii Donskoi and King Gojo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53869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드미트리 돈스코이호는 러일전쟁 당시 러시아 발틱함대를 새로 재편한 제2태평양함대 소속으로 동해해전에 참가하였다가 일본군함과의 격전 끝에 1905년 5월 29일 새벽 울릉도 앞바다에 자침...

      드미트리 돈스코이호는 러일전쟁 당시 러시아 발틱함대를 새로 재편한 제2태평양함대 소속으로 동해해전에 참가하였다가 일본군함과의 격전 끝에 1905년 5월 29일 새벽 울릉도 앞바다에 자침한 러시아 순양함이다. 돈스코이호는 1981년 조선일보의 보도 등으로 인해 제정러시아의 보물이 실려 있을 가능성이 큰 보물선으로 알려져 왔을 뿐이며 돈스코이호와 한국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도 거의 없었다. 고종은 1882년 임오군란 이후 조선의 내정간섭에 적극적으로 나선 청나라와 을미사변으로 조선에 대한 침략정책을 본격적으로 시행한 일본세력을 타개할 목적으로 러시아와 군사적 협력관계를 타진한다. 1888년 첫 극동항해에 나선돈스코이호 함장은 고종을 알현하여 협력 관계를 맺었고, 을미사변 이후정국타개책으로 단행한 고종의 ‘아관파천’시에는 서울에 군대를 파견하여 러시아공사관 수비임무를 담당하여 고종을 호위하였다. 본고는 이러한 돈스코이호와 고종과의 관계를 고찰한 논문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mitrii Donskoi, the Russian battleship, fought in the battle of Tsushima and sunk at the offshore of Ulleungdo around 6:40 AM, May 29, 1905 as a result of the fierce battle during the Russo-Japanese War. Japan``s increasing threats of invasion to Kor...

      Dmitrii Donskoi, the Russian battleship, fought in the battle of Tsushima and sunk at the offshore of Ulleungdo around 6:40 AM, May 29, 1905 as a result of the fierce battle during the Russo-Japanese War. Japan``s increasing threats of invasion to Korea since the Eulmi Incident in 1985 and China``s growing influence on Korea``s domestic affairs resulted in King Gojong``s signing of the agreement on military cooperation between Korea and Russia in 1905. In 1888, the captain of the Donskoi cruiser made his first long voyage to the Far Eastern Asia. He was granted an audience with King Gojong so that they could sign the agreement. The captain deployed Russian military to Seoul not only to guard the Russian legation but also to escort King Gojong when he carried out the royal refuge to the Russian legation after the Eulmi Incident. This paper deals with the relations between the Donskoi cruiser and King Gojong.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효재, "한국판 보물선 인양될까"

      2 국사편찬위원회, "주한일본공사관기록 12" 1990

      3 국사편찬위원회, "주한일본공사관기록 10" 1989

      4 유해수, "울릉도 보물선 돈스코이호" 지성사 2007

      5 김영수, "아관파천, 1896 : 서울, 도쿄, 모스크바" 수선사학회 (35) : 59-84, 2010

      6 국사편찬위원회, "러시아국립해군성문서 I(1854~1894)" 2007

      7 국사편찬위원회, "러시아국립해군성문 II(1894~1899)" 2007

      8 송원오, "러시아 해군 순양함 드미트리 돈스코이호" 55 (55): 104-110, 2007

      9 김종헌, "러시아 외교관 베베르와 아관파천" 역사문제연구소 (86) : 365-394, 2009

      10 박종효, "러시아 국립문서보관소 소장 한국관련 문서 요약집" 한국국제교류재단 2002

      1 김효재, "한국판 보물선 인양될까"

      2 국사편찬위원회, "주한일본공사관기록 12" 1990

      3 국사편찬위원회, "주한일본공사관기록 10" 1989

      4 유해수, "울릉도 보물선 돈스코이호" 지성사 2007

      5 김영수, "아관파천, 1896 : 서울, 도쿄, 모스크바" 수선사학회 (35) : 59-84, 2010

      6 국사편찬위원회, "러시아국립해군성문서 I(1854~1894)" 2007

      7 국사편찬위원회, "러시아국립해군성문 II(1894~1899)" 2007

      8 송원오, "러시아 해군 순양함 드미트리 돈스코이호" 55 (55): 104-110, 2007

      9 김종헌, "러시아 외교관 베베르와 아관파천" 역사문제연구소 (86) : 365-394, 2009

      10 박종효, "러시아 국립문서보관소 소장 한국관련 문서 요약집" 한국국제교류재단 2002

      11 송원오, "돈스코이호 함장의 최후" 53 (53): 148-153, 2005

      12 송원오, "돈스코이호 자침 이후의 승조원들의 행적" 51 (51): 52-54, 2003

      13 심헌용, "근대 시기 한・러 군사협력의 역사적 고찰: 러시아 군사교관단 활동과 조러연합군" (5) : 143-175, 2009

      14 이태진, "고종시대의 재조명" 태학사 2000

      15 국사편찬위원회, "大韓季年史 上" 1957

      16 송원오, "Dmitry Donskoi호 소고(II)" 39 (39): 28-31, 1991

      17 송원오, "Dmitry Donskoi호 소고" 38 (38): 44-48, 199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4 0.64 0.4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9 0.36 0.737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