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대퇴골 근위부 전이성 종양 환자의 종양 대치물 삽입술 = Tumor Prosthetic Replacement for the Metastatic Bone Tumors Involving the Proximal Femu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52883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대퇴골 근위부의 광범위 골 파괴를 보이는, 전이성 골 종양에 의한 병적 골절 환자들을 대상으로 종양 대치물 삽입술 시행 후 임상 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5년 10월...

      목적: 대퇴골 근위부의 광범위 골 파괴를 보이는, 전이성 골 종양에 의한 병적 골절 환자들을 대상으로 종양 대치물 삽입술 시행 후 임상 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5년 10월부터 2006년 10월까지 전이성 골 종양에 의한 병적 골절로 진단 받은 환자 중 대퇴골 근위부에 광범위 전이를 보여 근위부 절제술 및 종양 대치물 삽입술을 시행한 6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연령은 61세(범위, 48~77)였으며 평균 추시 기간은 10.5개월(범위, 6~16)이었다. 원발 종양으로는 다발성 골수종이 2예, 폐암이 1예, 유방암이 1예, 신장암이 1예, 원발 종양을 확인할 수 없었던 경우가 1예였다. 6예 모두에서 $MUTARS^{(R)}$ proximal femur system (Implantcast, Munster, Germany)를 이용하여 재건을 시행하였다. 하지 기능평가에는 Musculoskeletal Tumor Society 1993 score를 사용하였으며, 수술 전 후 동통의 정도를 Visual Analogue Scales (VAS)로 평가하였다. 결과: 최종 추시 시에 모든 환자들이 생존하였으며 하지 기능 점수는 평균 17.8(59.3%)점(범위, 12~25)이었다. VAS는 수술 전 평균 8.5에서 수술 후 최종 추시 시 평균 2.5로 호전되었다. 수술 후 가능한 한 조기 보행을 독려하여 수술 후 평균 7.3일(범위, 3~16)에 보행이 가능하였다. 수술 후 삽입물 주위 골절, 치환물의 해리 또는 감염은 없었으며, 1예에서 수술 후 재발성 탈구가 발생하였다. 결론: 전이성 골 종양의 대퇴골 근위부 광범위 침범 소견이 있는 병적 골절 환자에서 종양 대치물 삽입술은 조기에 동통의 경감 및 하지 기능 회복을 기대할 수 있으면서도 수술 후 합병증 발생이 적어 상대적으로 안전한 술식으로 전이성 골 종양의 치료 취지에 부합되는 적절한 치료로 생각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o evaluate clinical results of the tumor prosthetic replacement for pathologic fracture of the proximal femur with extensive bony destruction due to metastatic bone tumors. Materials and Methods: From 2005 October to 2006 October, resection ...

      Purpose: To evaluate clinical results of the tumor prosthetic replacement for pathologic fracture of the proximal femur with extensive bony destruction due to metastatic bone tumors. Materials and Methods: From 2005 October to 2006 October, resection of proximal femur and tumor prosthesis replacement was performed for metastatic bone tumors extensively involving trochanteric area in 6 patients. The mean age of overall patients was 61(range, 48~77). Mean clinical follow up was 10.5 months (range, 6~16). Primary tumor consisted with multiple myeloma in 2 patients, lung cancer in 1, breast cancer in 1, transitional cell carcinoma of the renal pelvis in 1, unknown origin in 1 patient. $MUTARS^{(R)}$ proximal femur (Implantcast, Munster, Germany) were used in all cases. The functional evaluation in the lower extremities was performed with Musculoskeletal Tumor Society 1993 scores. The degree of pain relief after surgical treatment was assessed with Visual Analogue Scale (VAS). Results: At the final follow up, all of the patients survived. The mean lower extremities functional score of Musculoskeletal Tumor Society 1993 was 17.8(59.3%)(range, 12~25). VAS was improved to 2.5 from 8.5 after the surgical treatment. Ambulation was encouraged as soon as possible and mean duration after surgery for ambulation was 7.3(range, 3~16) days. Post-operatively, there was no surgical infection, periprosthetic fracture or loosening. Dislocation occurred in one out of six cases. Conclusion: Resection of proximal femur and tumor prosthesis replacement for metastatic bone tumors around proximal femur extensively involving trochanteric area seems to be safe procedure in view of post-operative complication, and effective for functional restoration as well as pain relief. Thus, it is accordant to the treatment principle of the metastatic bone tumor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