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상사의 절차적 공정성이 여성관리자의 일·가정 양립제도 사용에 미치는 영향: 남성 및 여성 부하직원 간 관계 및 조직 내 여성비율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The Effect of Procedural Justice on the Use of Family-Friendly Policy: Using the Moderating Effect of Relationship with Male and Female Subordinates and Proportion of Female Memb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40203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일·가정 양립제도 사용 중에 성과에 대한 공정한 평가와 조직의 직급체계 내 다양한 조직구성원의 협력과 정서적인 지지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여성관리자의 일·가정 양립제도 사용�...

      일·가정 양립제도 사용 중에 성과에 대한 공정한 평가와 조직의 직급체계 내 다양한 조직구성원의 협력과 정서적인 지지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여성관리자의 일·가정 양립제도 사용에 있어서 직속상사의 절차적 공정성이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주변 조직구성원의 범위에 따른 협력 형태에 따라서 2가지 관점에서 조절효과를 확인하고자 한다. 우선 1) 남성/여성 부하직원이 여성관리자에게 미치는 지지와 협력(좁은 범위)을 분석하고자 하며, 이를 통해 조직체계 내에서 top-down 관계 뿐 아니라 bottom-up 관계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2) 여성관리자가 소속된 부서 내 여성조직원의 비율이 주는 영향(넓은 범위)을 조절변수를 통해 조직단위의 구성원과의 관계를 통해 그 효과를 비교분석 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일·가정 양립제도 사용의 활성화와 관련하여 이론적, 그리고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미를 갖는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re are various supports regarding work-family balance within organization in terms of increasing its competency and productivity. However, despite of the fact that there are various policies supporting female managers to both achieve their work in ...

      There are various supports regarding work-family balance within organization in terms of increasing its competency and productivity. However, despite of the fact that there are various policies supporting female managers to both achieve their work in home and workplace, emotional support and cooperation from people within the group is most needed as well. Therefore, this study explores the effect of procedural justice of the supervisor in view of female managers on the use of family-friendly policies, and also moderating effec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female managers and their both male and female subordinates. This study also explores whether the female ratio of the group that the female managers are involved in, affects the use of family-friendly policy. Through this empirical study, this study shed lights on how the organization could use various human resource strategy through the relationship in terms of top-down direction(supervisor to female manager) and also, bottom up direction(subordinates to female manager), as well as how to manage gender diversity to facilitate the use of family-friendly polici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수영, "한국 육아휴직제의 고용연장효과 분석" 서울행정학회 20 (20): 229-255, 2009

      2 고용노동부, "지난 13년간 민간기업.공공기관의 여성 근로자 비율(7.64%p) 및 관리자 비율(10.91%p) 지속 증가"

      3 이주희, "일과 가족의 양립은 어떻게 가능한가? -기업의 조직문화와 여성관리직 모성보호-" 한국가족학회 15 (15): 2-2, 2003

      4 홍민기, "일.가정 양립제도의 노동시장 효과" 한국노동연구원 2016

      5 권혜원, "일-가정 양립정책이 여성 관리자의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후원적 리더십과 조직문화의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23 (23): 89-117, 2013

      6 안선민, "육아휴직제도의 상쇄효과(trade-off)에 관한 연구: 조직구성원의 일-가정양립을 중심으로" 한국거버넌스학회 25 (25): 117-144, 2018

      7 박선영, "여성근로자의 육아휴직 활용경험이 조직몰입도 및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고정효과모형을 통한 분석"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2015

      8 한겨례, "여성 경력단절, 출산보다 ‘직장환경’ 탓"

      9 성민정, "아버지 대상 가족친화제도 디커플링 인식 및 영향요인: 배우자 출산휴가와 육아휴직을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소 56 (56): 157-188, 2018

      10 전국경제인연합회, "미혼 직장인 여성 38.3%, 결혼 후 ‘자녀 낳지 않을 계획’ 저출산 정책에 대한 여성근로자 대상 인식 조사 -"

      1 이수영, "한국 육아휴직제의 고용연장효과 분석" 서울행정학회 20 (20): 229-255, 2009

      2 고용노동부, "지난 13년간 민간기업.공공기관의 여성 근로자 비율(7.64%p) 및 관리자 비율(10.91%p) 지속 증가"

      3 이주희, "일과 가족의 양립은 어떻게 가능한가? -기업의 조직문화와 여성관리직 모성보호-" 한국가족학회 15 (15): 2-2, 2003

      4 홍민기, "일.가정 양립제도의 노동시장 효과" 한국노동연구원 2016

      5 권혜원, "일-가정 양립정책이 여성 관리자의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후원적 리더십과 조직문화의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23 (23): 89-117, 2013

      6 안선민, "육아휴직제도의 상쇄효과(trade-off)에 관한 연구: 조직구성원의 일-가정양립을 중심으로" 한국거버넌스학회 25 (25): 117-144, 2018

      7 박선영, "여성근로자의 육아휴직 활용경험이 조직몰입도 및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고정효과모형을 통한 분석"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2015

      8 한겨례, "여성 경력단절, 출산보다 ‘직장환경’ 탓"

      9 성민정, "아버지 대상 가족친화제도 디커플링 인식 및 영향요인: 배우자 출산휴가와 육아휴직을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소 56 (56): 157-188, 2018

      10 전국경제인연합회, "미혼 직장인 여성 38.3%, 결혼 후 ‘자녀 낳지 않을 계획’ 저출산 정책에 대한 여성근로자 대상 인식 조사 -"

      11 민현주, "기업특성과 가족친화제도 활용 용이성: 여성관리자의 육아휴직 및 본인병가제도 활용을 중심으로" 한국노동연구원 10 (10): 119-145, 2010

      12 Perry-Smith, J. E., "Work-family human resource bundles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performance" 43 (43): 1107-1117, 2000

      13 Zhao, G., "What influences managers' procedural fairness towards their subordinates? The role of subordinates' trustworthiness" 59 : 96-112, 2015

      14 Willemyns, M., "Trust me, I'm your boss : Trust and power in supervisor–supervisee communication" 14 (14): 117-127, 2003

      15 Barnett, R. C., "The work and family handbook: Multi-disciplinary perspectives and approaches" 209-221, 2006

      16 Rubin, E. V., "The role of procedural justice in public personnel management : Empirical results from the Department of Defense" 19 (19): 125-143, 2009

      17 Alexander, S., "The role of procedural and distributive justice in organizational behavior" 1 (1): 177-198, 1987

      18 Tyler, T. R., "The psychology of procedural justice : a test of the group-value model" 57 (57): 830-, 1989

      19 Fairhurst, G. T., "The leader‐member exchange patterns of women leaders in industry: A discourse analysis" 60 (60): 321-351, 1993

      20 McColl-Kennedy, J. R., "Subordinate–manager gender combination and perceived leadership style influence on emotions, self-esteem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58 (58): 115-125, 2005

      21 Basuil, D. A., "Subordinate perceptions of family‐supportive supervision: The role of similar family‐related demographics and its effect on affective commitment" 26 (26): 523-540, 2016

      22 Beehr, T. A., "Social support, occupational stress and anxiety" 5 (5): 7-19, 1992

      23 Eagly, A. H., "Social role theory of sex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A current appraisal" 12 : 174-, 2000

      24 Cropanzano, R., "Social exchange theory: An interdisciplinary review" 31 (31): 874-900, 2005

      25 Arthur, Michelle M., "Share Price Reactions to Work-Family Initiatives: An Institutional Perspective" 46 (46): 497-505, 2003

      26 Graen, G. B., "Relationship-based approach to leadership:Development of leader-member exchange (LMX) theory of leadership over 25 years: Applying a multi-level multi-domain perspective"

      27 Frey, B. S., "Motivation crowding theory" 15 (15): 589-611, 2001

      28 Bakar, H. A., "Matters of demographic similarity and dissimilarity in supervisor–subordinate relationships and workplace attitudes" 41 : 1-16, 2014

      29 Cox, T. H., "Managing cultural diversity: Implications for organizational competitiveness" 5 (5): 45-56, 1991

      30 Muldoon, J., "Leader Benefits: Exploring How Leaders Benefit from LMX"

      31 Lawler, E. J., "Handbook of the sociology of emotions" Springer 295-320, 2006

      32 Collins, B. J., "Gender differences in the impact of leadership styles on subordinate embeddedness and job satisfaction" 25 (25): 660-671, 2014

      33 Wells, J. E., "Follow the leader: A relational demography, similarity attraction, and social identity theory of leadership approach of a team’s performance" 30 (30): 1-14, 2013

      34 Baltes, B. B., "Flexible and compressed workweek schedules: A meta-analysis of their effects on work-related criteria" 84 (84): 496-, 1999

      35 Wood, S. J., "Family‐friendly management in Great Britain : Testing various perspectives" 42 (42): 221-250, 2003

      36 Allen, Tammy D., "Family-Supportive Work Environments: The Role of Organizational Perceptions" 58 (58): 414-435, 2001

      37 Koenig, A. M., "Evidence for the social role theory of stereotype content: observations of groups’ roles shape stereotypes" 107 (107): 371-, 2014

      38 Zhang, X., "Empowering leadership, uncertainty avoidance, trust, and employee creativity : Interaction effects and a mediating mechanism" 124 (124): 150-164, 2014

      39 Chiaburu, D. S., "Do peers make the place? Conceptual synthesis and meta-analysis of coworker effects on perceptions, attitudes, OCBs, and performance" 93 (93): 1082-, 2008

      40 Earley, C. P., "Creating hybrid team cultures: An empirical test of transnational team functioning" 43 (43): 26-49, 2000

      41 Boies, K., "Communication and trust are key: Unlocking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hip and team performance and creativity" 26 (26): 1080-1094, 2015

      42 Kray, L. J., "Battle of the sexes : gender stereotype confirmation and reactance in negotiations" 80 (80): 942-, 2001

      43 Akhtar, S., "Antecedents of task performance: An examination of transformation leadership, team communication, team creativity, and team trust" 19 (19): e1927-, 2019

      44 Tierney, P., "An examination of leadership and employee creativity : The relevance of traits and relationships" 52 : 591-620, 1999

      45 Adams, J. S., "Advances in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Vol. 2)" Academic Press. 267-299, 1965

      46 Lambert, "Added Benefits: The Link between Work-Life Benefits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43 (43): 801-815, 200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6 0.86 0.8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5 0.8 1.361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