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학생의 정서에 따른 이미지반응 연구 = A Study to Investigate an Association between College Students' Emotions and the Images Drawn to Express the Emotio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76227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an association between college students' emotions and images drawn by them, so the findings could be used in establishing objective standards to be used when art therapy was conducted. Participants were 455 college students (17...

      This study investigated an association between college students' emotions and images drawn by them, so the findings could be used in establishing objective standards to be used when art therapy was conducted.
      Participants were 455 college students (179 male and 276 female students) attending universities in Daegu and Gyeongbuk province. Data collection was assisted by 5 licensed professional art therapists. The test instruments were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of emotional intensity and a set of sheets on which emotions were to be drawn. The frequency and crosstab analysis of the data were computed on SPSS/WIN 19.0.
      First, this study found that all the titles of the emotions (pleasure, anger, sadness, fear, hate, surprise) matched the drawings, many of which were drawn in a representational style. Pleasure was expressed positively. Anger, sadness, fear, and hate were expressed negatively. Surprise was expressed in a rather ambiguous representation.
      In the number of the drawn items, many of the participants drew one item to express emotions such as pleasure, anger, fear, hate, and surprise, whereas many of them drew two items to express sadness. In the use of the drawing space, many of the participants used about 20-50% of the space or below to express pleasure, anger, fear, and surprise. To express sadness and hate, many of them used 25% of the space or below.
      Second, a crosstab analysis to see any association between the gender of the participants and the shapes of the drawn items showed that the 6 emotions showed gender difference in the following categories: the number of drawn items, space symbolism, and erasing. Third, many of the drawn items in the 6 emotions were humans, largely drawn in a simplified and reduced wa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대학생의 정서별 이미지에 나타나는 반응을 형식과 내용으로 분류하여, 정서와 이미지반응간에 유사성이 있는지 알아보고, 미술치료현장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객관적인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정서별 이미지에 나타나는 반응을 형식과 내용으로 분류하여, 정서와 이미지반응간에 유사성이 있는지 알아보고, 미술치료현장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객관적인 기준마련을 위한 기초연구로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D지역 대학생 455명(남:179명, 여:276명)이었으며, 자료는 미술치료사 및 미술치료전문가자격을 소지한 검사자 5명의 도움을 받아 수집하였다. 측정도구로는 정서강도자가측정질문지와 정서별 그림시트지를 사용하였으며, 자료의 분석은 SPSS 19.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과 교차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정서에 따른 이미지형식을 빈도분석한 결과 6가지 정서(기쁨, 분노, 슬픔, 공포, 혐오, 놀람) 모두 그림과 제목이 일치하며, 구상화표현이 많았다. 기쁨은 긍정적, 분노․슬픔․공포․혐오는 부정적, 놀람은 모호한 분위기 표현이 많았다. 이미지 수는 기쁨, 분노, 공포, 혐오, 놀람에서는 1개의 표현, 슬픔은 2개의 표현이 많았으며, 공간의 사용정도는 기쁨, 분노, 공포, 놀람에서 25~50%이하, 슬픔과 혐오에서는 25%이하의 용지사용이 많았다. 둘째, 대학생의 성별에 따라 정서별 이미지형식이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한 결과 6가지 정서에서 공통적으로 이미지 수, 공간상징, 지우기에서 남녀간 차이가 있었다. 셋째, 대학생의 정서에 따라 표현한 이미지 내용으로는 사람을 많이 표현하였으며, 주로 축약되고 생략된 인물상을 나타내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인조, "한국어 감정단어의 목록과 정서 차원 탐색"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19 (19): 71-100, 2005

      2 경향신문, "캠퍼스 상담센터 북적 대학생들에게 무슨 일이"

      3 이현주, "진로미결정과 정신건강과의 관계분석" 14 (14): 113-140, 2000

      4 이훈구, "정서심리학" 서울: 법문사 2005

      5 정옥분, "정서발달과 정서지능" 서울: 학지사 2008

      6 강옥미, "정서는 어떻게 동ㆍ서양 표정 이모티콘에 반영되었는가" 한국기호학회 27 : 243-267, 2010

      7 이은영, "자기 불일치 인지기제에 따른 우울과 불안의 공존현상" 고려대학교 1991

      8 Mircea Eliade, "이미지와 상징" 서울: 까치글방 1998

      9 김태민, "이모티콘과 얼굴 자극에 대한 행동 반응 및 성별의 차이" 대한정신약물학회 21 (21): 156-162, 2010

      10 Abt, T., "융 심리학적 그림해석" 서울: 분석심리학연구소 2008

      1 박인조, "한국어 감정단어의 목록과 정서 차원 탐색"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19 (19): 71-100, 2005

      2 경향신문, "캠퍼스 상담센터 북적 대학생들에게 무슨 일이"

      3 이현주, "진로미결정과 정신건강과의 관계분석" 14 (14): 113-140, 2000

      4 이훈구, "정서심리학" 서울: 법문사 2005

      5 정옥분, "정서발달과 정서지능" 서울: 학지사 2008

      6 강옥미, "정서는 어떻게 동ㆍ서양 표정 이모티콘에 반영되었는가" 한국기호학회 27 : 243-267, 2010

      7 이은영, "자기 불일치 인지기제에 따른 우울과 불안의 공존현상" 고려대학교 1991

      8 Mircea Eliade, "이미지와 상징" 서울: 까치글방 1998

      9 김태민, "이모티콘과 얼굴 자극에 대한 행동 반응 및 성별의 차이" 대한정신약물학회 21 (21): 156-162, 2010

      10 Abt, T., "융 심리학적 그림해석" 서울: 분석심리학연구소 2008

      11 Arnheim, R., "예술심리학"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979

      12 김순란, "얼굴자극그림검사(FSA)의 평가기준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영남대학교 2010

      13 신영희, "어머니의 양육태도에 따른 유야의 동적가족화 반응 특성연구" 한국미술치료학회 11 (11): 343-368, 2004

      14 정여주, "아동정서 및 공격성에 따른 공간사용 유형" 한국미술치료학회 16 (16): 53-66, 2009

      15 정남희, "신화와 종교적 관점에서의 집-나무-사람 상징에 관한 연구" 한국미술치료학회 17 (17): 1069-1087, 2010

      16 Silver, R., "세 가지그림심리검사" 서울: 시그마프레스 2007

      17 Tresidder, J., "상징이야기" 서울: 도솔출판사 2007

      18 조선일보, "벼랑 끝의 대학생들 교내 상담센터 찾는 학생 급증"

      19 이미옥, "마음을 나누는 미술치료" 학지사 2006

      20 동아일보, "런던대-BBC 방송 전세계 혐오감 조사"

      21 임지향, "동적가족화에 의한 정신분열증 환자의 가족지각 연구"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1994

      22 이영석, "동적 가족화(KFD)에 의한 청소년의 가족지각과 가족체계 및 의사소통과의 관계" 영남대학교 1994

      23 이경희, "대학생의 위험요인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정서명확성과 대처양식의 매개효과" 숙명여자대학교 2011

      24 한덕웅, "대인관계에서 4단7정 정서의 경험" 14 (14): 145-166, 2000

      25 정진복, "단어와 그림의 정서가에 대한 사건 관련 전위" 고려대학교 1999

      26 주리애, "그림에 사용된 색채의 임상적 의미" 서울대학교 2004

      27 장효진, "감정동사 및 감정 형용사 분류에 관한 연구" 29-34, 2002

      28 Reeve,J, "Understanding motivation and emotion(3rd ed.)" NY: John wiley & Sons, Inc 2001

      29 Ekman, P, "The nature of emotion"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994

      30 Frijda,N.H, "The emotions" Lond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6

      31 LeDoux,J.E, "The emotional brain" NY: Simon & Schuster 1996

      32 Berlyne,D.E, "Studies in the new experimental aesthetics: steps towards an objective psychology of aesthetic appreciation" Washington, D.C.: Hemisphere 1974

      33 Strauman,T, "Self-discrepancies in clinical depression and social phobia cognitive structures that underlie emotional disorders" 98 : 14-22, 1989

      34 Carlson, J. G, "Psychology of emotion" New York: Harcourt Brace Jovanovich College Publishers 1992

      35 Blank, P., "Perceiving what paintings express. In Cognitive processes in the perception of art" Amsterdam: North- Holland 1984

      36 Spielberger, C. D., "Manual for the state trait anxiety inventory" Palo Alto, CA: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1970

      37 Zuckerman, M, "Manual for the MAACL" San Diego, CA: Educational and Industrial Testing Service 1965

      38 Parkinson, B, "Making sense of emotion in stories and social life" 7 : 29-323, 1993

      39 Gotlib, I. H, "Factor analysis of the multiple affect, adjective checklist: a seperation of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50 : 1161-1165, 1986

      40 John,C.H, "Emotionality ratings and free-association norms of 240 emotional and non-emotional words" 2 : 49-70, 1988

      41 Plutchik,R, "Emotion: A psychoevolutionary synthesis" New York: Harper & Row 1980

      42 Lazarus,R.S, "Emotion and adaptation"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91

      43 Rozin, P., "Disgust. In Handbook of emotions(2nd ed.)" NY: The Guilford Press 2000

      44 Woody, S. R., "Disgust as a motivator of avoidance of spiders" 19 : 461-475, 2005

      45 Betts,D.J, "Developing a projective drawing test: experiences with the face stimulus assessment(FSA)" 20 (20): 77-82, 2003

      46 Smith, C. A, "Appraisal components, core relational themes, and emotions" 7 : 233-269, 1993

      47 Tomkins,S.S, "Affect, imagery, consciousness(1). The positive affects" New York: Springer 1962

      48 Berlyne,D.E, "Aesthetics and psychobiology" New York: Appleton-Century-Crofts 1971

      49 Takahashi,S, "Aesthetic properties of pictorial perception" 102 (102): 671-683, 1995

      50 Kleinginna, R. R, "A categorized list of emotion definitions, with suggestions for a consensual definition" 5 : 345-379, 198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 0.7 0.7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 0.8 0.922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