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초등학생의 계절 변화 개념 검사를 위한 도구 개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82923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신뢰도와 타당도가 확보된 계절 변화 개념 검사 도구를 개발하고 계절 변화 개념과 관 련된 하위 개념과 오개념에 대하여 객관적으로 관찰하 고 분석하여 변인 간의 관계...

      이 연구의 목적은 신뢰도와 타당도가 확보된 계절 변화 개념 검사 도구를 개발하고 계절 변화 개념과 관 련된 하위 개념과 오개념에 대하여 객관적으로 관찰하 고 분석하여 변인 간의 관계를 설명하고자 하였다. 계 절 변화 개념 검사 도구의 개발 과정은 검사 도구 개발 계획 수립, 검사 도구 초안 개발, 예비 검사 및 검사 도 구 수정, 최종 검사 도구 개발, 본 검사 실시의 과정으 로 이루어졌다. 개발된 검사 도구는 학생의 계절 변화 개념 형성 정도를 검사하고 개념 형성에 어려움이 있 다면 그 원인이 무엇인지 분석하여 적절한 학습과 도 움을 제공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 개발한 검사 도구를 이용하여 6학년 198명을 대상으로 한 회귀 분석 결과 선수학습개념의 이해정도와 오개념의 교정 정도는 계절 변화 단원에서 학습한 개념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오개념이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 점수를 기준 으로 절단점을 생성하여 구분한 두 구간 중 평균 점수 이상 구간 학생들은 오개념의 교정 정도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평균 점수 이하 구간 학생들은 선수 학습개념의 이해정도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concept test tool for seasonal change with reliability and validity, and to objectively observe and analyze sub-concepts and misconceptions related to the concept of seasonal change to explain the relationshi...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concept test tool for seasonal change with reliability and validity, and to objectively observe and analyze sub-concepts and misconceptions related to the concept of seasonal change to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conceptual change concept inspection tool consisted of the development of the inspection tool development plan, the development of the inspection tool draft, the modification of the preliminary inspection and inspection tools, the development of the final inspection tool, and the implementation of this inspection. The developed test tool can be used to provide students with appropriate learning and help by examining students' degree of seasonal change concept formation and analyzing the cause of the difficulty in concept formation. As a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of 198 students in 6th grade using the developed test tool, it was found that the understanding of pre-learning concept and correction of misconception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concept learned in the seasonal change unit, and misconception had greater effect. Correction of misconception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tudents above the average score among the two sections created and cut based on the average score, and on the students below the average score, the understanding of pre-learning concept had a significant effec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Ⅰ. 서론
      • Ⅱ. 연구 방법
      • 1. 연구 절차
      • 2. 분석 방법
      • ABSTRACT
      • Ⅰ. 서론
      • Ⅱ. 연구 방법
      • 1. 연구 절차
      • 2. 분석 방법
      •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 1. 계절 변화 개념 검사 도구의 개발
      • 2. 계절 변화 개념 검사 도구에 대한 검사 결과
      • 국문요약
      • Refer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아영, "혼자 쓰는 연구 논문 : 연구방법론" 학지사 2016

      2 성태제, "현대 교육 평가" 학지사 2019

      3 이면우, "한일 초등 예비교사들의 천문학 기초개념 이해와 천문학에 대한 태도" 한국지구과학회 28 (28): 789-802, 2007

      4 한수진, "학생의 과학 오개념에 대한 초등 예비 교사의 지식"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9 (29): 474-483, 2010

      5 윤현정, "통합형 마인드맵 활동이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의 창의적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 대한화학회 59 (59): 164-178, 2015

      6 河玉善, "태양의 고도와 계절 변화에 대한 학생들의 개념 연구" 서울敎育大學校 敎育大學院 1999

      7 박정숙, "태양의 고도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대안개념"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8 정홍식, "초인지 학습전략이 초등학생의 계절의 변화 개념 형성과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9 김혜숙, "초보자를 위한 학위논문 작성법" 학지사 2018

      10 전만국, "초등학생의 공간능력에 따른 태양의 고도에 관한 개념"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6 (6): 28-39, 2013

      1 김아영, "혼자 쓰는 연구 논문 : 연구방법론" 학지사 2016

      2 성태제, "현대 교육 평가" 학지사 2019

      3 이면우, "한일 초등 예비교사들의 천문학 기초개념 이해와 천문학에 대한 태도" 한국지구과학회 28 (28): 789-802, 2007

      4 한수진, "학생의 과학 오개념에 대한 초등 예비 교사의 지식"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9 (29): 474-483, 2010

      5 윤현정, "통합형 마인드맵 활동이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의 창의적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 대한화학회 59 (59): 164-178, 2015

      6 河玉善, "태양의 고도와 계절 변화에 대한 학생들의 개념 연구" 서울敎育大學校 敎育大學院 1999

      7 박정숙, "태양의 고도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대안개념"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8 정홍식, "초인지 학습전략이 초등학생의 계절의 변화 개념 형성과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9 김혜숙, "초보자를 위한 학위논문 작성법" 학지사 2018

      10 전만국, "초등학생의 공간능력에 따른 태양의 고도에 관한 개념"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6 (6): 28-39, 2013

      11 유연준, "초등학생들의 계절의 변화 단원의 학습에서 모델링 중심 과학 탐구 수업의 효과"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35 (35): 265-276, 2016

      12 이정아, "초등학교 태양계와 별 수업에서 나타나는 공간적 사고 사례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 35 (35): 179-197, 2015

      13 서희석, "초등학교 과학과 ICT 활용수업이 계절의 변화 개념이해에 미치는 효과"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14 채동현, "초등예비교사들의 계절변화 원인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2 (22): 109-120, 2003

      15 유기웅, "질적 연구 방법의이해" 박영스토리 2019

      16 김성주, "지구의 운동과 계절 변화에 대한 초등학교 학생들의 개념 변화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17 배성희, "중등 교사의 과학 교수 효능감이 천문 수업에 미치는 영향: 근거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6 (16): 607-616, 2016

      18 국동식, "중, 고등 학생들의 계절변화 개념이해 분석" 16 (16): 317-329, 1995

      19 박미자, "유아 경제개념 검사도구 개발 및 타당화" 한국유아교육학회 29 (29): 5-30, 2009

      20 황재규, "상담연구방법론" 학지사 2019

      21 이항로, "발생학습 전략의 적용이 계절변화 관련 지구과학개념 변화에 미친 효과" 한국지구과학회 24 (24): 161-170, 2003

      22 채동현, "반증-실험 모형을 이용한‘계절 변화의 원인’에 대한 초등 예비 교사의 개념 변화 분석"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30 (30): 524-534, 2011

      23 이주미, "동료교수법을 적용한 교수법이 초등학생의 과학개념형성에 미치는 효과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24 노자헌, "단계별 질문 중심의 단원 설계가 초등학생의 ‘계절의 변화’ 개념 이해에 미치는 효과"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12 (12): 151-164, 2019

      25 김수정, "과학사적용 수업을 통한 '계절변화'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개념 변화"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26 교육부, "과학과 교육과정"

      27 이호진, "과학 글쓰기에 나타나는 초등학생들의 선행 개념 및 오개념" 8 (8): 421-435, 2004

      28 고경만, "계절의 변화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개념"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29 이규호, "계절의 변화 단원 수업 중 학생들이겪는 어려움" 72 : 45-, 2017

      30 이은옥, "계절변화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대안개념"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31 현동호, "계절변화를 설명하는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대안개념 연구" 22 (22): 97-113, 2016

      32 정선라, "계절변화 개념 위계에 관한 연구" 한국지구과학회 34 (34): 356-367, 2013

      33 채동현, "계절 변화의 원인에 대한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선개념 조사"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30 (30): 204-212, 2011

      34 김순미, "계절 변화의 원인에 관한 초등학생의 멘탈 모델 변화 과정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 33 (33): 893-910, 2013

      35 장명덕, "계절 변화에 대한 초등학생의 선개념과 개념 변화 양상" 22 (22): 268-277, 2001

      36 강용희, "계절 변화에 대한 예비 중등교사의 대안개념과 핵심 신념"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52-2) : 613-642, 2004

      37 Hammer, D., "Transfer of learning from a modern multidisciplinary perspective" Information Age Publishing 89-120, 2005

      38 Glaser, B., "The discovery of grounded theory" Weidenfield & Nicolson 1-19, 1967

      39 Mason, L., "Textual and graphical refutations : Effects on conceptual change learning" 49 : 275-288, 2017

      40 Trumper, R., "Teaching future teachers basic astronomy concepts seasonal changes at a time of reform in science education" 43 (43): 879-906, 2006

      41 German, S., "Tackling misconceptions about seasons" 40 (40): 92-, 2017

      42 Finegold, M., "Students’ concepts of force as applied to related physical systems : A search for consistency" 13 (13): 97-113, 1991

      43 Kikas, E., "Pupil’s explanations of seasonal changes : Age differences and the influence of teaching" 68 (68): 535-550, 1998

      44 Rubio, D. M., "Objectifying content validity : Conducting a content validity study in social work research" 27 (27): 94-104, 2003

      45 Allen, M., "Misconceptions in primary science" McGraw-hill Education 2014

      46 Gooding, J., "From misconceptions to conceptual change" 78 (78): 34-, 2011

      47 De Paor, D. G., "Exploring the reasons for the seasons using Google Earth, 3D models, and plots" 10 (10): 582-603, 2017

      48 Türk, C., "Elementary School students' mental models about formation of seasons : A cross sectional study" 5 (5): 7-30, 2016

      49 Wild, T. A., "Conceptual understandings of seasonal change by middle school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104 (104): 107-118, 2010

      50 Plummer, J. D., "Building a learning progression for celestial motion : Elementary levels from an earth based perspective" 47 (47): 768-787, 2010

      51 Clough, E. E., "A study of consistency in the use of students' conceptual frameworks across different task contexts" 70 (70): 473-496, 1986

      52 유병철, "2007 개정교육과정에 따른 태양의 고도와 계절의 변화에 대한 초등학생의 개념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4-01-0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0-02-11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지구과학교육학회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4 1.04 1.1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6 0.85 1.567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