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Глагольное управление в русском языке в аспекте преподавания для корейских учащихся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34898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러시아어 격지배 현상은 한국인 학습자들이 쉽게 습득하고 바르게 활용하기 어려운 문법요소 중 하나이다. 러시아어는 명사, 형용사, 부사, 동사 등 거의 모든 품사가 결합하는 명사로 하여...

      러시아어 격지배 현상은 한국인 학습자들이 쉽게 습득하고 바르게 활용하기 어려운 문법요소 중 하나이다. 러시아어는 명사, 형용사, 부사, 동사 등 거의 모든 품사가 결합하는 명사로 하여금 일정한 격형태를 요구한다. 본 논문에서는 러시아어 학습자들이 동사 격지배 현상에 대한 지식 부족으로 자주 범할 수 있는 오류 유형을 한국어 동사 격지배 현상과의 대조분석을 통해 연구하였다.
      러시아어와 한국어는 구조적으로 상이한 특성을 나타내는 언어이다. 기본적인 어순이 다를 뿐만 아니라, 한국어는 대표적인 교착어로 일반적인 격조사 외에 후치사와 유사한 기능을 하는 조사가 발달한 반면, 러시아어는 다양한 기능과 의미를 갖는 전치사가 발달해 있다. 러시아어 전치사는 그 쓰이는 의미에 따라 다양한 격을 요구한다. 대부분의 경우 부사격조사형태의 한국어 등가어를 찾을 수 있지만 그 의미를 정확히 파악할 수 없거나 기능적 차이를 느끼지 못 할 경우 전치사 생략이나 다른 격을 사용하는 오류를 범하게 된다. 또한 러시아어명사의 격어미는 한국인들이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의미 외에 다양한 형태적, 의미적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생격”은 대부분 “제거, 추방, 상실, 희망, 목표 달성, 가치” 등을 표현하는 동사의 대상을 나타낼 때 쓰여, 흔히 생각하는 관형격조사와는 다른 형태로 나타난다.
      본 논문에서는 〈러시아어 필수 어휘 500〉 목록에 포함된 사용 빈도가 높은 282개의 러시아어 동사 격지배 유형을 한국어 동사 구문 유형과 비교해, 그 차이 정도에 따라 6개 그룹으로 나누어 분석했다. 이 중 57개의 동사는 일정 격만을 취하지 않고 격지배로부터 비교적 자유로운 “약한 격지배” 현상을 보였다. 다수의 타동사를 포함한 102개(약 40%)의 동사가 한국어와 러시아어에서 같은 격을 취했다. 그러나 부분적 일치(다의어, 이중 보어를 취하는 동사), 형태적 차이를 보이는 동사, 서로 다른 격을 취하는 동사도 약 45%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Ⅰ. Введение
      • Ⅱ. Сопоставление особенностей глагольного управления в русс ком и корейском языках
      • Ⅲ. Заключение
      • 참고문헌
      • 국문요약
      • Ⅰ. Введение
      • Ⅱ. Сопоставление особенностей глагольного управления в русс ком и корейском языках
      • Ⅲ. Заключение
      • 참고문헌
      • РЕЗЮМЕ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국립국어원,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문법1,2" 커뮤니케이션북스 2005

      2 국립국어원,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학습 사전" 신원프라임 2006

      3 김광해, "등급별 국어교육용 어휘" 박이정 2003

      4 Розенталь Д.Э., "Управление в русском языке" Книга 1986

      5 Под ред. А.П., "Словарь русского языка в 4-х томах in : Евгеньевой, М.: Академия наук СССР, Институт русского языка" Русский язык 1981

      6 Под ред. В.В., "Система лексических минимумов современного русского языка" Морковкина 2003

      7 Пешковский А.М., "Русский синтаксис в научном освещении" 1956

      8 "Русская грамматика в 2-х т. М.: Академия Наук СССР" Институт русского языка 1982

      9 Рогозная Н.Н., "Лингвистический атлас нарушений в русской речи иностранцев" Иркутск 2001

      10 Величко А.В., "Какой паде? Какой предлог? Глагольное и именноеуправление" 2008

      1 국립국어원,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문법1,2" 커뮤니케이션북스 2005

      2 국립국어원,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학습 사전" 신원프라임 2006

      3 김광해, "등급별 국어교육용 어휘" 박이정 2003

      4 Розенталь Д.Э., "Управление в русском языке" Книга 1986

      5 Под ред. А.П., "Словарь русского языка в 4-х томах in : Евгеньевой, М.: Академия наук СССР, Институт русского языка" Русский язык 1981

      6 Под ред. В.В., "Система лексических минимумов современного русского языка" Морковкина 2003

      7 Пешковский А.М., "Русский синтаксис в научном освещении" 1956

      8 "Русская грамматика в 2-х т. М.: Академия Наук СССР" Институт русского языка 1982

      9 Рогозная Н.Н., "Лингвистический атлас нарушений в русской речи иностранцев" Иркутск 2001

      10 Величко А.В., "Какой паде? Какой предлог? Глагольное и именноеуправление" 2008

      11 Скляревская Г.Н., "Давайте говорить правильно! Трудности грамматического управления в современном русском языке. Словарь-справочник" Академия 2004

      12 Семенов А.Е., "Глагольное управление в современном русском языке"

      13 "Большая советская энциклопедия в 30-ти т. Под ред. А.М. Прохорова" Советскаяэнциклопедия 197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6 0.16 0.1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 0.19 0.374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