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북한의 화폐 모빌리티와 화폐 혼종 - 화폐 정체성의 해석 - = North Korea’s Money Mobility and Hybridity : An Analysis of a New Money Ident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79924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북한 사회에서 작동하고 있는 화폐들의 이동성과 혼종을 ‘화폐 모빌 리티(mobility)’와 ‘화폐 혼종(hybridity)’ 현상으로 정의하여 분석하고, 이러한 화폐의 모빌리티와 혼종을 통...

      본 연구는 북한 사회에서 작동하고 있는 화폐들의 이동성과 혼종을 ‘화폐 모빌 리티(mobility)’와 ‘화폐 혼종(hybridity)’ 현상으로 정의하여 분석하고, 이러한 화폐의 모빌리티와 혼종을 통해 북한 사회에서 형성되는 정체성, 즉 ‘화폐 정체성 (identity)’의 변화와 양상을 연구하였다.
      현재 북한에서 화폐는 다양한 의미를 갖는 실존(實存)이다. 계획경제 시기에 화폐는 계획의 반의어이자 시장의 표상이었다. 현재 북한 시장과 사회에서 화폐 들(북한의 국정 화폐뿐 아니라 다양한 국적의 외화들)은 상품 그 자체에 그치지 않고 온갖 사회적 움직임을 종횡으로 연계하는 대단히 역동적인 존재이다. 북한에서 화폐들은 한 공간에 고정되어 있지 않고 끊임없이 이동하고 있으며 국경을 돌파하면서 이동성(mobility)을 자신의 특성으로 자리잡게 하였다. 여기에는 북한 국정 화폐뿐 아니라 달러화, 위안화 등 다양한 외화 화폐들이 참여하여 국경을 넘나들고 있다. 이러한 이동성이 북한이라는 공간 내에서 화폐들의 혼용, 공존 상황을 발생시킴에 따라 다양한 국적의 화폐들이 혼종(hybrid)되어 화폐 혼종성을 낳았다. 화폐의 혼종은 결과적으로 북한 사회의 정체성(identity)에 실질적 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것을 화폐 정체성이라는 개념으로 분석 하였다. 화폐 정체성이라는 개념에서 보았을 때 현재 북한에서는 수령 화폐 정체성을 대체하는 새로운 정체성이 구성되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is an analysis of the movement and the hybrid nature of money in North Korea, both of which operate in North Korean society as “money mobility” and “money hybridity.” In doing so, this paper examines the “money identity” t...

      This research is an analysis of the movement and the hybrid nature of money in North Korea, both of which operate in North Korean society as “money mobility” and “money hybridity.” In doing so, this paper examines the “money identity” that is constructed in North Korea through money mobility and hybridity. Currently, in North Korea, money exists with diverse meanings, but during the era of planned economy, money was an oppositional symbol to the plan and the market. In North Korea’s market and society today, monies (including North Korea’s government authorized currency and various foreign currencies) are more than commodities: they are a dynamic entity that horizontally connects all types of social activities. North Korea’s monies, instead of being fixed to a particular space, are continuously moving, breaking through national borders and taking on the characteristic of mobility. Various types of monies are involved in border-crossing activities, not only the North Korean official currency but also the United States dollar, the Chinese yuan, and others. Such a condition of mobility within the space of North Korea has led to the mixing and coexisting of monies, giving rise to the situation of money hybridity of diverse national currencies. The hybridity of money is consequently having a real effect on North Korea’s social identity. This research analyzes such an identity as money identity. Observing from the perspective of money identity, it can be noted that in North Korea today a new identity replacing suryeong money identity is being form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남세현, "화폐의 역사적 발전과 디자인" 한국콘텐츠학회 2017

      2 조홍식, "화폐와 정체성: 유로와 유럽의 사례" 국제학연구소 19 (19): 73-103, 2010

      3 민영기, "화폐공동체의 성립과 수령공동체의 균열 - 2009년 화폐개혁을 중심으로" 북한학연구소 10 (10): 113-146, 2014

      4 "자유아시아방송(RFA). 2021년 6월 8일"

      5 "자유아시아방송(RFA). 2021년 5월 3일"

      6 "자유아시아방송(RFA). 2018년 7월 15일"

      7 편집부, "이산가족 송금과 북한의 화폐, 은행" 청명문화재단 2000

      8 "연합뉴스. 2020년 11월 27일"

      9 "연합뉴스. 2017년 4월 1일"

      10 야노쉬 코르나이, "사회주의 체제의 정치경제학 1" 나남출판사 2019

      1 남세현, "화폐의 역사적 발전과 디자인" 한국콘텐츠학회 2017

      2 조홍식, "화폐와 정체성: 유로와 유럽의 사례" 국제학연구소 19 (19): 73-103, 2010

      3 민영기, "화폐공동체의 성립과 수령공동체의 균열 - 2009년 화폐개혁을 중심으로" 북한학연구소 10 (10): 113-146, 2014

      4 "자유아시아방송(RFA). 2021년 6월 8일"

      5 "자유아시아방송(RFA). 2021년 5월 3일"

      6 "자유아시아방송(RFA). 2018년 7월 15일"

      7 편집부, "이산가족 송금과 북한의 화폐, 은행" 청명문화재단 2000

      8 "연합뉴스. 2020년 11월 27일"

      9 "연합뉴스. 2017년 4월 1일"

      10 야노쉬 코르나이, "사회주의 체제의 정치경제학 1" 나남출판사 2019

      11 정은이, "불패신화 외화(外貨)" 평화문제연구소 2018

      12 통일연구원, "북한인권백서 2020" 통일연구원 2020

      13 이영훈, "북한의 화폐금융 현황 및 최근 금융조치 평가: 인플레이션, 달러라이제이션, 사금융을 중심으로" 북한연구학회 19 (19): 95-129, 2015

      14 최상목, "북한의 현금 달러라이제이션 현황과 정상화방안" 북한연구학회 22 (22): 117-143, 2018

      15 장형수, "북한의 외화수급 및 외화보유액 추정과 북·미 비핵화 협상에 대한 시사점" 심연북한연구소 22 (22): 8-43, 2019

      16 이성봉, "북한의 대 남한 외화획득과 대외경제 (1989-2012년)" 21세기정치학회 24 (24): 103-119, 2014

      17 양문수, "북한의 금융" 한국수출입은행 2016

      18 이석기, "북한 외화통용실태 분석" 산업연구원 2012

      19 김광진, "북한 외화관리시스템의 변화와 외화 의존도의 증대" 한국수출입은행 (봄) : 2008

      20 임을출, "북한 사금융의 형성과 발전: 양태, 함의 및 과제" 평화문제연구소 27 (27): 205-242, 2015

      21 박석삼, "북한 민간보유 외화, 유통현금의 2.6배" 평화문제연구소 2002

      22 이종규, "북한 경제의 달러라이제이션: 원인과 영향" 한국개발연구원 2019

      23 강경희, "발권 및 통화조절방법" 과학백과사전출판사 2019

      24 페르낭 브로델, "물질문명과 자본주의 I-2: 일상생활의 구조(상)" 까치 1995

      25 조명래, "모빌리티의 공간(성)과 모바일 어버니즘" 서울연구원 16 (16): 1-23, 2015

      26 존 어리, "모빌리티" 아카넷 2014

      27 "데일리NK. 2021년 4월 23일"

      28 이진경, "늙음이란 무엇인가2" 대한불교문화원 2020

      29 칼 마르크스, "경제학-철학 수고" 이론과 실천 2006

      30 朝鮮經濟問題硏究 課題組, "朝鮮經濟問題硏究" 遼寧省金融學會 2008

      31 "https://www.economist.com/europe/2008/10/30/seeking-shelter"

      32 Eric Helleiner, "National Currencies and National Identities" 41 (41): 1998

      33 Michel Aglietta, "Genese de la Banque centrale et legitimete de la monnaie" Annee 47 (47): 1992

      34 문성민, "Dollarization in North Korea: Evidence from a Survey of North Korean Refugees"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1 (21): 81-100, 2017

      35 Michael Billig, "Banal Nationalism" Sage 1995

      36 차문석, "20세기 사회주의에서 화폐와 수령: ‘수령 화폐’의 등장을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 42 (42): 93-113, 2008

      37 한국무역협회 남북협력실, "2019년 북한 무역 10대 국가 10대 품목" 한국무역협회 2019

      38 이안 부루마, "0년: 현대의 탄생, 1945년의 세계사" 글항아리 201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7-10-12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Institute of North Korea Studies Dongguk University -> The Institute for North Korean Studies, Dongguk University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9 1.09 0.8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9 0.61 1.202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