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역통합교실에서의 시각장애유아와 일반유아의 또래관계에 관한 문화기술지 = An ethnographic study about peer relationship between Visually Impaired Children and Non-impaired Children in a reverse inclusion early childhood classroo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920813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세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세종대학교 일반대학원 대학원 , 교육학과 , 2010. 2

      • 발행연도

        2010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DDC

        371.9 판사항(22)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An ethnographic study about peer relationship between Visually Impaired Children and Non-impaired Children in a reverse inclusion early childhood classroom

      • 형태사항

        ⅸ, 236p. ; 26cm

      • 일반주기명

        세종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김희연
        참고문헌: p.222-233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세종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how visually impaired children and non-impaired children make peer relationship in a reverse inclusion early childhood classroom. The research method is an ethnography, in which full participant observations, i...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how visually impaired children and non-impaired children make peer relationship in a reverse inclusion early childhood classroom. The research method is an ethnography, in which full participant observations, in-depth interviews, and reference document analysis were used. Data were collected at the 5-year-old reverse inclusion classroom (Hat-nim-ban) of the S School for Visually Impaired in Seoul, Korea, where three visually impaired children and five non-impaired children live together. Data collection period was one year, from March of 2008 to February of 2009. Data were analyzed and interpreted through categorical coding, major event analysis, and causal chain analysis.
      The peer relationship of Hat-nim-ban children was arranged into three phases, which are distinctive through the medium of 'seeing.' The first phase is to begin relations through recognizing seeing and to characterized as the culture of separate life of the group, called 'someone who can't see' and the group, called 'they.' Each group approached to the other group with their own ways of seeing, and each group responded to the ways of seeing of the other group. The class teacher was in a passive standpoint. She adhered to the ideology of ideal inclusion and concerned mainly on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misbehaviors. The second phase is to progress relations through crossing the border of seeing and to characterized as the culture of double-layered living-off life of the mainstream and the branch. Vidually impaired children set themselves in a higher power rank in the whole classroom unit, bnd they were set in a lower power rank in a sub play-group unit at the classroom, with the border of seeing. Non-impaired children expressed their needs and complains. The teacher was in a standpoint of democratic teacher. She faced the realwit that cracks the ideology of idealized inclusion and made intervention with the strategies of mutual confrontation of two groups. The third phase is to encounter individuals beyond the border of seeing and to characterized as the culture of unified life of 'us.' Visually impaired children flowed into imagination play with non-impaired children. On the other hand, non-impaired children flowed into seeing play egies oconstruwed imanner and exseeded the meaning of seeing. The teacher turned into a standpoint of sen wiive teacher. She recognized the impor aied of teachers' multiple mediation amclaschildren who er tuegihere and now, that is existential uniqueness.
      Implications of research findings were discussed in five aspects; the meaning of inclusive education, the effect of inclusive education, the inclusive e여cation of visually impaired, peer relationship in early childhood, and living as a teacher of inclusive education. The educational strategies in future inclusive education for visually impaired children were suggest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역통합교실에서 시각장애유아와 일반유아가 또래관계를 어떻게 형성해 가는지를 문화기술지 방법을 통해 기술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2008년 3월부터 2009년 2월까지 시각...

      본 연구는 역통합교실에서 시각장애유아와 일반유아가 또래관계를 어떻게 형성해 가는지를 문화기술지 방법을 통해 기술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2008년 3월부터 2009년 2월까지 시각장애학교 유치원 만5세반(시각장애유아 3명과일반유아 5명)에서 완전참여관찰을 실시하였다. 자료수집과 분석은 한 가지 방법만 사용함으로써 역통합교실 맥락과 유아들의 행동을 기술하고 해석하는데 야기되는 해석의 판단오류를 줄이고자 Denzin(1978)이 제시한 삼각검증 방식으로 자료수집과 자료 분석이 이루어졌다. 자료는 문화기술지의 대표적인 기법인 참여관찰, 면담, 참조자료 방식으로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주제별 약호화와 범주, 주요사건분석, 원인연쇄분석 세 가지 방법으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내용을 기술하고 해석하였다.
      햇님반 유아들의 또래관계는 ‘보기’를 매개로 한 관계의 변화로 다음의 세 가지 국면으로 정리되었다. 첫 번째 국면은 보기의 인식으로 시작되는 관계의 시작으로 ‘눈 안 보이는 애들’과 ‘쟤’들의 따로 살이라는 문화 현상으로 포착되었고, 각 집단의 유아들은 자신들의 보기 방식으로 서로에게 접근하고 자신과는 다른 보기를 하는 상대 집단에 반응하기 시작한다. 이 국면에서 교사는 통합교육의 이상이라는 이념을 중심으로 문제행동에 대한 예방과 처치라는 전략으로 또래관계에 개입하는 소극적 입지를 견지한다. 두 번째 국면은 보기를 경계로 교차되는 관계의 진전으로 유아들은 주류와 비주류의 중첩성을 보이는 겹 더부살이라는 문화 현상으로 포착되었고, 유아들은 자신들의 보기 방식을 경계로 서열 배치와 자신과는 다른 보기를 하는 상대집단에 대해 불평을 하는 방식으로 요구를 표현한다. 이 국면에서 교사는 통합교육이라는 이념화 된 이상을 균열시키는 현실과 맞닥뜨리면서 시각장애유아와 일반유아를 상호 직면시키는 전략으로 또래관계 중재에 임하면서 민주적인 교사의 역할에 치중하게 된다. 세 번째 국면은 보기를 경계로 교차되는 관계의 진전으로 유아들은 ‘나’와 ‘너’가 아닌 ‘우리’로 함께 살아가는 우리의 한 살이라는 문화 현상으로 포착되었고, 서로의 보기 인식을 넘나들면서 환상놀이와 보기놀이를 재구성한다. 이 국면에서 교사는 햇님반 유아들의 현 모습에서 다양한 또래와의 만남의 장이 필요하다는 생각을 한다. 또한 유아들의 개별성과 역동성을 중심으로 하는 통합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신념으로 다면적이고 다층적인 매개자로서의 중재를 하면서 개별 유아에게 민감한 교사가 되려한다.
      본 연구에서 통합교육의 의미와 관련하여 특수교육과 일반교육의 합일점의 필요성과 개별 유아의 고유성 중심의 교육이 진정한 통합교육이라고 시사하였다. 통합교육의 효과와 관련해서는 양적연구 주도의 상황에서 질적연구의 중요성과 인권이란 가치로 이념화된 이상으로 부터의 탈피의 중요성이 강조되었다. 시각장애유아 통합교육 효과와 관련해서는 시각이라는 장애에 대한 직면화, 즉 ‘보기’ 인식의 발달이 시각장애유아의 정상발달의 결정적 환경이 됨을 역설하였다. 유아들의 또래관계의 효과와 관련해서 한국 사회 편견으로 드러난 장애는 불능이라는 편견을 불식시키고 ‘보기’의 의미를 시각적 능력 이외의 다양한 의미로 확장시켰다. 통합교육 교사로서의 삶과 관련하여 교사가 알고 있는 기존의 지식을 통해 아이들을 교정하는 것이 아니라 유아들의 또래문화 속에서 교수행위를 반성하면서 유아들과 함께 통합교육의 의미를 만들어 가고자 하는 반성적 사고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시각장애유아 양육방법과 통합교육 환경 조성을 위한 제언을 하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1
      • Ⅱ. 연구의 배경 = 8
      • 1. 통합교육의 의미와 연구동향 = 8
      • A. 통합교육의 의미 = 8
      • B. 유아통합교육의 연구동향 = 11
      • Ⅰ.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1
      • Ⅱ. 연구의 배경 = 8
      • 1. 통합교육의 의미와 연구동향 = 8
      • A. 통합교육의 의미 = 8
      • B. 유아통합교육의 연구동향 = 11
      • 2. 유아기 또래관계의 의미와 특징 = 14
      • A. 또래관계의 의미 = 14
      • B. 장애유아와 일반유아의 또래관계 = 17
      • 3. 시각장애유아 통합교육 = 20
      • A. 시각장애유아의 특성 = 20
      • B. 시각장애유아 통합교육 = 23
      • 4. 시각장애유아와 일반유아의 또래관계 문화의 키워드 '보다(Seeing)' = 25
      • A. '보다(Seeing)'의 의미 = 25
      • B. '보다(Seeing)'의 교육적 의의 = 27
      • Ⅲ. 연구방법 = 31
      • 1. 연구 현장 = 31
      • A. S맹학교 유치원 역통합교육 = 31
      • B. S맹학교 유치원 햇님반 = 32
      • 2. 연구 참여자 = 34
      • A. 시각장애유아 = 34
      • B. 일반유아 = 36
      • C. 연구자의 위치 = 39
      • 3. 문화기술지 = 40
      • 4. 자료수집 = 42
      • A. 참여관찰 = 42
      • B. 면담 = 43
      • C. 참조자료 = 44
      • 5. 자료 분석 = 45
      • A. 주제별 약호화와 범주 = 45
      • B. 주요 사건 분석 = 47
      • C. 원인 연쇄 분석 = 48
      • 6. 연구의 타당도와 신뢰도 = 49
      • Ⅳ. 역통합교실에서의 시각장애유아와 일반유아의 또래관계 = 52
      • 1. 햇님반 또래의 관계 시작: '보기'의 인식에서 시작하다 = 52
      • A. '눈 안 보이는 애'들과 '쟤'들의 따로 살이 = 54
      • 1) 서로 다른 집단 호칭 = 55
      • 2) 따로 노는 아이들 = 58
      • B. 나의 보기로 접근 = 61
      • 1) 소리와 만져서 보기: 시각장애유아 = 61
      • 2) 움직임과 외형으로 보기: 일반유아 = 68
      • C. 너의 보기에 반응 = 75
      • 1) 쟤들을 향한 동조와 과시: 시각장애유아 = 75
      • 2) 안 보이는 애들 속에 참여와 무시: 일반유아 = 79
      • D. 교사의 역통합교육: 시각장애유아 중심 = 85
      • 1) 이상향이라는 갑골 = 85
      • 2) 문제행동에 대한 개별적 예방과 처치 = 88
      • 3) 소극적 교사되기 = 92
      • 2. 햇님반 또래의 관계 진전: '보기'를 경계로 교차하다 = 95
      • A. 주류와 비주류의 겹 더부살이 = 96
      • 1) 시각장애 주인과 국비 손님 = 96
      • 2) 비주류 속 주류의 비주류화 = 101
      • B. 나의 보기를 경계로 한 서열 배치 = 104
      • 1) 권력의 행사: 시각장애유아 = 105
      • 2) 비주류를 자처: 일반유아 = 108
      • C. 너의 보기를 경계로 한 요구의 생성 = 113
      • 1) 불필요한 도움의 제거 그리고 인정받음: 시각장애유아 = 114
      • 2) 의무라는 무게와 불공평에 대한 불평: 일반유아 = 120
      • D. 교사의 통합교육: 일반유아 중심 = 125
      • 1) 현실이라는 균열 = 125
      • 2) 서로에게 직면화로 중재 = 130
      • 3) 민주적인 교사되기 = 136
      • 3. 햇님반 또래의 관계 맺음: '보기'를 넘어 만나다 = 145
      • A. 우리의 한살이 = 146
      • 1) 스스로 선택한 협력 = 146
      • 2) 경험의 능동적 공유 = 150
      • B. 너의 보기를 활용한 놀이의 재구성 = 155
      • 1) 할 수 있고 재미있는 환상 놀이로의 유입: 시각장애유아 = 155
      • 2) 진지하고 재미있는 보기놀이의 체험: 일반유아 = 164
      • C. 보기의 의미 확장을 통한 새로운 보기의 출현 = 171
      • 1) 적합행동 수행으로 보기 = 171
      • 2) 개별역량 발현으로 보기 = 176
      • D. 교사의 관계 교육: 우리 반 아이들의 개별 고유성 중심 = 179
      • 1) 우리 반 아이들의 지금과 여기 = 180
      • 2) 다면적·다층적 매개 = 184
      • 3) 민감한 교사되기 = 190
      • Ⅴ. 논의 및 시사점 = 196
      • 1. 통합교육의 의미 = 196
      • 2. 통합교육의 효과 = 200
      • 3. 시각장애유아와 통합교육 = 203
      • 4. 유아들의 또래관계 = 206
      • 5. 통합교육 교사로서의 삶 = 210
      • 6. 시각장애유아 통합교육을 위한 제언 = 216
      • - 참고문헌 - = 223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민혜영, "유아사회교육", 2010

      2 이소현, "특수아동교육", 학지사, 2006

      3 Lather, "Research and praxis", 1986

      4 Lincoln, Yvonna S, "Naturalistic inquiry", Sage Publications, 1985

      5 Vandeberg, Rubin, "Play.In P.H.Mussen.(Ed", 1983

      6 Reiser, "Integration als Prozess", 1986

      7 Stainback, "Facilitating friendships", 1987

      8 Lowenfeld, "In search of better ways", 1982

      9 김영천, "질적연구방법론Ⅰ", 2006

      10 Odom, McConnell, McEvoy, "Implementation ofsocialcompetenceinterventionsinearlychildhoodspecialeducationclasses:Currentpracticesandfuturedirections.InS.L.Odom,S.R.McConnell,&M.A.McEvoy(Eds.),Socialcompetenceofyoungchildrenwithdisabilities:Issues and strategies for intervention(pp.277-306). Baltimore: Pual H", "Implementation ofsocialcompetenceinterventionsinearlychildhoodspecialeducationclasses:Currentpracticesandfuturedirections.InS.L.Odom, 1992

      1 민혜영, "유아사회교육", 2010

      2 이소현, "특수아동교육", 학지사, 2006

      3 Lather, "Research and praxis", 1986

      4 Lincoln, Yvonna S, "Naturalistic inquiry", Sage Publications, 1985

      5 Vandeberg, Rubin, "Play.In P.H.Mussen.(Ed", 1983

      6 Reiser, "Integration als Prozess", 1986

      7 Stainback, "Facilitating friendships", 1987

      8 Lowenfeld, "In search of better ways", 1982

      9 김영천, "질적연구방법론Ⅰ", 2006

      10 Odom, McConnell, McEvoy, "Implementation ofsocialcompetenceinterventionsinearlychildhoodspecialeducationclasses:Currentpracticesandfuturedirections.InS.L.Odom,S.R.McConnell,&M.A.McEvoy(Eds.),Socialcompetenceofyoungchildrenwithdisabilities:Issues and strategies for intervention(pp.277-306). Baltimore: Pual H", "Implementation ofsocialcompetenceinterventionsinearlychildhoodspecialeducationclasses:Currentpracticesandfuturedirections.InS.L.Odom, 1992

      11 Hughes, Fergus P, "Children, play, and development", Allyn and Bacon, "Children, 1995

      12 박인호, "유치원 장애아 통합교육", 1996

      13 김병하, "특수교육의 역사와 철학", 대구대학교출판부, 2012

      14 Brown University.Library.News, "Child and adolescentBehaviorLetter", 1998

      15 Miles, M. B., "Qualitative data analysis (2nd ed.)", 1994

      16 Jacob, "Qualitativeresearchtraditions:A review", 1987

      17 박순희, "시각장애아동의 이해와 교육", 학지사, 2014

      18 이용남, "질적연구의 신뢰도와 타당도", 1992

      19 Merleau-Ponty, "류의근 역.(2002).지각의 현상학", 1945

      20 Mueller, Edward C, "Process and outcome in peer relationships", Academic Press, 1986

      21 이해균, "실명의 현상적 접근에 관한 고찰", 2002

      22 강영안, VanPeursen, 손봉호, "몸,영혼,정신:철학적 인간학 입문", "몸, 1985

      23 Cosaro, "Friendship and peer culture in the early years", 1985

      24 김종무, "시각장애학생의 교수-학습지도 전략", 1999

      25 Smollar, "AdolescentRelationswith Mothers,Fathers,andfriends", "AdolescentRelationswith Mothers, 1985

      26 Odom, Odom.S.L, "Preschoolinclusion:Whatweknow andwherewegofromhere", 2000

      27 Shaffer, "송길연 외 역.(2005).발달심리학(제 6판)", 2002

      28 Warren, "Blindness and Early child Development(2nd Ed.,rev.)", "Blindness and Early child Development(2nd Ed., 1984

      29 Berndt, Mathur, "Relations ofFriends'Activities to FriendshipQuality", 2006

      30 유수옥, "영유아교육기관에서의 장애 이해 교육", 집문당, 2008

      31 김동연, "특수학급 교육의 전개과정의 당면과제", 1987

      32 Peters, "Integration and socialization of exceptional children", 1990

      33 Davis, "Friendship and loverelationships.In K.E.Mitchell(Eds.)", 1982

      34 이석진, "한국 특수교육정책 발전과정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 대학원, 한국특수교육정책 발전과정에 관한 연구, 2005

      35 박준상, "메를로-퐁티에 비추어본 미적 경험과 예술", 대한철학회, 2007

      36 Bishop, "Educational placement decision-making: An ecologicalmodel", 1990

      37 Warren, David H, "Blindness and children : an individual differences approach",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4

      38 김보현, "블록놀이에서 나타나는 유아의 또래관계 탐색", 2008

      39 박주옥, "특수학교 내 유치원 과정 역통합교육 활동 분석", 공주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2

      40 Hallahan, Kauffman, "Exceptional learners: introduction to special education(9th ed.)", 2003

      41 차혜영, "유아교육기관의 통합교육 실시를 위한 제 요인 분석", 경남대학교 대학원, 2006

      42 Odom, Holcombe, Brown, "Observational assessmentof young children's social behavior with peers", 1996

      43 황병순, "감각동사 ‘보다’와 행위동사 ‘보다’.배달말학회", 1989

      44 Brodova, Leong, "Tools of the mind: the Vygotskian approach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1996

      45 허승준, "바람직한 통합교육을 위한 학교교육 패러다임의 전환", 2005

      46 Bursuk, Friend, "Including students with specialneeds: Apracticalguideforclassroom teacher", 2002

      47 Ross, "Socialcompetence in kindergarten:Application of symbolicinteractiontheory", 1985

      48 김성애, "21세기 유아교육의 과제에 따른 통합교육의중요성과 역할", 2007

      49 표재명 역, Buber, "I and thou.Trans.Ronald Gregor Smith.New York:Buber,Martin.(1958).나와 너", "I and thou.Trans.Ronald Gregor Smith.New York:Buber, 1958

      50 Denzin, "The research act: A theoretical instruction to sociological methods. 2nd. ed", 1978

      51 나유리, "시각행위동사 보다(觀)에 의한 형이상학적 금속조형 연구", 2005

      52 이영숙, "역통합교육 환경 조성을 위한 교육행정 지원에 관한 연구", 2007

      53 Loreman, Tim, "Inclusive education : a practical guide to supporting diversity in the classroom", RoutledgeFalmer, 2005

      54 강성종, "일반학교 교육과정과 특수학교 교육과정의 연계를 위한 시론", 2009

      55 김수진, "장애유아 놀이 활동의 실제.특수학교(유치원)1급 정교사 과정", 2005

      56 Fortini, "Attitudes and behavior toward students withhandicaps by their nonhandicapped peers", 1987

      57 우복원, "시각장애아의 신체 및 운동능력의 발달과 그 지도에 관한 고찰", 1983

      58 박승희, "한국 장애학생 통합교육 : 특수교육과 일반교육의 관계 재정립", 교육과학사, 2003

      59 박인호, "장애 유아의 사회적 통합 촉진을 위한 사회-의사소통 능력 증진", 2003

      60 원계선, "통합교육환경에서 문학적 접근이 유아의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통합교육 환경에서 문학적 접근이 유아의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2006

      61 김원경, "장애아동 통합교육 전망과 실천:전국 특수학급 담당교원 연수회", 2001

      62 임연수, "시각장애아 통합교육 환경에서의 또래간의 요구전략 및 반응전략", 2003

      63 배재정, "장애유아 통합교육에 대한 교사의 신념과 효능감에 따른 교사 역할", 2006

      64 Erickson, "Qualitative methods in research on teaching. In MWittrock(Ed.),Handbookofresearchonteaching", "Qualitative methods in research on teaching. In MWittrock(Ed.), 1986

      65 이제화, "학급수준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통합학급 유아의 행동에 미치는 영향", 2009

      66 최영해, "자연친화 프로그램 구성 및 적용에 따른 통합학습 유아들의 행동변화", 2008

      67 한남주, "통합교육 교사 중재를 통한 발달지체 유아의 사회적응 과정과 또래관계", 2008

      68 이수정(Lee Soo Jeoung), "통합환경에서의 장애 유아의 또래관계 증진 교수에 대한 국내 연구분석",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07

      69 이인경, "미국 통합교육의 찬·반 논쟁에 비추어 본 한국적 통합교육의 재조명(Ⅱ)", 미국 통합교육의 찬?반 논쟁에 비추어 본 한국적 통합교육의 재조명(Ⅱ), 2004

      70 Goldstein, Howard, "Promoting social communication :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from birth to adolescence", Paul H. Brookes Pub. Co., 2002

      71 손은주, "통합교육 환경에서의 협동게임이 일반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3

      72 Vygotsky, "Mind in society.Cambridge,MA:Harvard UniversityPress. Wittrock(Ed.), Handbook of research on teaching", "Mind in society.Cambridge, 1978

      73 Brown, Marchant.C, "The Role of Paly in Inclusive EarlyChildhood Settings.In:Playing for Keeps:Supporting Children`s Play", 1996

      74 이기현, "통합학급 청각장애유아의 친 사회적 행동발달 과정에 관한 문화 기술적 연구", 한국언어치료학회, 2003

      75 조윤경, "분산된 활동을 통한 복수 또래 중재가 장애유아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2001

      76 Berndt, "Children's Friendships: Shifts Over a Half-Century inPrespectives on Their Development and their Effects", 2004

      77 Sommers, "The influence df parental attitudes and socialenvironmentonthepersonalitydevelopmentoftheadolescentblind", 1944

      78 Roy, Benenson, Denko, "Behaviouralrulesunderlyinglearningtoshare:Effectsofdevelopmentandcontext.InternationalJournalofBehavioral", 2003

      79 임연수, "시각장애 유아의 사회적 시작행동 중재에 따른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韓國視覺障碍硏究會, 2002

      80 Creswell, J. W., "Educational research: Planning, conducting, and evaluating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2nd ed.)", "Educationalresearch:planning, 2005

      81 Kohl, Beckman, "Interactions ofpreschoolers with andwithouthandicaps in integrated and segregated settings:A longitudinalstudy", 1984

      82 Wolcott, "Ethnographerssansethnography:Theevaluation compromise.In Fetterman,D.M.(Ed.),Ethnography in EducationalEvaluation", "Ethnographerssansethnography:Theevaluation compromise.In Fetterman, 1984

      83 이소현, "자폐아 조기교육의 개념 및 방향 재정립: 프로그램의 질적 구성요소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특수교육학회, 2002

      84 Odom, Speltz, "Program variations in preschools forhandicapped and nonhandicapped children: mainstreamed vs. integratedspecialeducation", 1983

      85 Phyfe-Perkins, "Children'sbehaviorinpreschoolsettings:A review ofresearch concerning the influence of physical environment. In L. G.Katz(Ed.)", 1980

      86 Peck, Helmstetter, Carlson, "Parentandteacherperceptionsofoutcomes for nonhandicapped children enrolled in integrated early childprograms:A statewidestudy", 1992

      87 Hartup, "Peerrelations in early and middle childhood.In V.B.Van Hasseltand M.Hersen(Eds.),Handbook ofsocialdevelopment:Alifespanperspective", "Peerrelations in early and middle childhood.In V.B.Van Hasseltand M.Hersen(Eds.), 1992

      88 Laursen, Hartup, "Conflict and context in peer relations. In C. Hart(Ed.), Children on playgrounds: Research perspectives and applications(pp. 44-84)", "Conflictand contextin peerrelations.InC. Hart(Ed.), 1993

      89 Mannarino, "The developmentofchildren’s friendships.In H.C.Foot,A.J.Chapman,& J.R.Smith(Eds.),Friendshipsandsocialrelationsinchildren(pp.45-63)", "The developmentofchildren’s friendships.In H.C.Foot, 1980

      90 Rowland, "Patternsofinteraction between threeblind infantsand theirmothers.In A.E.Mills(Ed.),Language acquisition in the blind child(pp.114-132)", "Patternsofinteraction between threeblind infantsand theirmothers.In A.E.Mills(Ed.), 1983

      91 강혜경, 강혜경, "특수교사와 치료교사 간 협력적 접근을 통한 교실중심언어중재가 장애 유아의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특수교사와 치료교사 간 협력적 접근을 통한 교실중심언어중재가장애 유아의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2005

      92 Ladd, Coleman, "Young children's peerrelationship:Forms, features, and functions. In B.Spodek(Eds.),Handbook of research on the education of young children", "Young children's peerrelationship:Forms, 1993

      93 박윤, 양진희, "친사회적 동화를 활용한 주제극 활동이 유아의 사회적 적응행동과 일상생활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효과", 2007

      94 이소현, "장애 유아의 사회적 통합 촉진을 위한 사회적 상호작용 증진 활동이 일반 유아들의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학회, 2004

      95 백경순, 이대균, "통합교육 유치원에 소속된 특수유아의 자유놀이 실제에 대한 질적 연구(자유선택활동을 중심으로).열린유아교육연구", 2006

      96 Ladd, "Toward a furtherunderstanding ofpeerrelationships andTheir contributions to child development.In T.J.Berndt and G.W.Ladd(Eds.),PeerRelationshipsinChildDevelopment", "Toward a furtherunderstanding ofpeerrelationships andTheir contributions to child development.In T.J.Berndt and G.W.Ladd(Eds.), 1988

      97 Tronic, Bralzelton, "Stagesofearlybehavioralorganization:thestudy of a sighted infant and a blind infant in interaction with theirmothers.In High-Risk Infantsand Children,ed.T.M.Field.New York", "Stagesofearlybehavioralorganization:thestudy of a sighted infant and a blind infant in interaction with theirmothers.In High-Risk Infantsand Children, 1980

      98 Sacks, Kekelis, "Mainstreaming visually impaired childreninto regular education program: The effect of visual impairment onchildren's integration with peers,In S.Sacks,L.(Eds.)Visually impairedstudents", "Mainstreaming visually impaired childreninto regular education program: The effect of visual impairment onchildren's integration with peers, 1989

      99 Hill, Skellenger, "Thesocialfunctioning ofchildrenwith visualimpairments In.S.L.Odom,S.R.McConnell,M.A.McEvoy(Eds.),Socialcompetence of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Issuseandstategiesforintervention(pp.93-109)", "Thesocialfunctioning ofchildrenwith visualimpairments In.S.L.Odom, 1992

      100 Odom, McConnell, McEvoy, "Peer-related socialcompetenceand itssignificancefor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In S.L.Odom,S.R.McConnell& M.A.McEvoy(Eds.),Socialcompetence of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Issues and strategies for intervention", "Peer-related socialcompetenceand itssignificancefor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In S.L.Odom, 199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