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전통주 이용 실태 및 활성화 방안 = The Use of Korean Traditional Wines and a Plan for Encouraging I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020675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Now we are forgetting the taste for korean traditional wine because of foreign wine.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exam the recognition and use for the traditional wine and to consider the problems of traditional wine industry and the plan for its popu...

      Now we are forgetting the taste for korean traditional wine because of foreign wine.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exam the recognition and use for the traditional wine and to consider the problems of traditional wine industry and the plan for its popularization. For the study, general people in Seoul and Gyounggi were surveyed.
      Among the subjects, 51.3% of males drank once or twice a week and 33.2% of females drank once or twice a month. In their amount of drinking once, 57.9% of males drank one or two bottles of Soju and 23% of females did so. According to the results of survey, males drank more than females.
      With regard to drinking places, females drank more frequently at home than males while males drank more frequently at other places except home.
      Males enjoyed drinking in order of Soju and beer and females in order of beer and Soju. Males' favorite wines were in order of Soju, beer and korean traditional wines while females' in order of beer, wine and Soju. Females preferred low-proof wines to males.
      They answered that they drank traditional wines because the wines had good taste and smell. They enjoyed drinking Ceongju and sorts of Yakju most and then in order of sorts of Takju and fruit wines. They answered that they didn't choose traditional wines because it was difficult to find them. Some people answered that they didn't know.
      Males wanted to get presents in order of traditional wines, whisky and wine while females in order of wine, traditional wines and whisky. On the other hand, males wanted to give presents in order of wine, traditional wines and whisky. As the result shows, males wanted to use traditional wines as a present while females wine.
      Among the study subjects, most of them thought that they were proud of traditional wines as a cultural asset while some thought that the wines had not developed yet. And most of them showed that they were interested in the traditional wines over a little more.
      Males had purchased the traditional wines more than females. The older they were, the more they had purchased. They purchased them to present, to drink themselves and to serve to their ancestors.
      Considering the side dishes for the traditional wines, they answered that jeon (panfried food) and kimchi were suitable for sorts of takju, sorts of zzim (smothered food) for cheongju and sorts of yakju, and sorts of zzigae (a sort of stew) and tang (a sort of broth) for distilling spirits.
      The study subjects recognized highly Korean traditional wines in order of Baekseju, Sansachun, Cheongha, Maesilju, Bokbunjaju, Ogapiju, Yidong Makgeolli and Andong Soju while they recognized lowly them in order of Gyemyoungju, Songnoju, Yangonju, Omegisul and Yulju. The wines which had been designated as the traditional wines were recognized less than the wines which had not been designated. They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degree of recognition for traditional wines according to gender and age. Most of the survey respondents didn't know about traditional wines.
      They thought that in order to develope the traditional wine industry should be improved in order of the following; the places for purchasing and selling them should be increased, skills and management should be supported, a policy for encouraging the industry should be introduced, multi-product developments such as regional festivals and food should be supported, certificate systems should be organized and supported, specific materials should be supplied smoothly, product places of wines should be marked and a system to display their efficacy should be introduced.
      To popularize the traditional wines, they answered that some policies should be carried out; they should be publicized more intensively, competitive and differential traditional wines should be developed, their qualities should be enhanced, distribution networks should be increased immediately, education proper for them should be made, merchandising for them should be performed and marketing should be intensifi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외국산 주류에 밀려 전통주의 맥이 끊겨가고 있는 지금, 전통주에 대한 인식과 이용실태를 살펴보고 전통주산업의 문제점과 대중화방안 등을 고찰해봄으로써 전통주의 활성...

      본 연구에서는 외국산 주류에 밀려 전통주의 맥이 끊겨가고 있는 지금, 전통주에 대한 인식과 이용실태를 살펴보고 전통주산업의 문제점과 대중화방안 등을 고찰해봄으로써 전통주의 활성화를 모색하고자 서울·경기지역의 일반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하여 전통주 이용실태 조사를 하였다.
      음주횟수에서는 남자는 51.3%가 일주일에 1~2회 술을 마시고, 여자는 33.2%가 한달에 한두 번 마시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1회 음주량은 남자는 57.9%, 여자는 23%가 소주 한병~두병을 마신다고 하였다. 남자가 여자보다 술을 더 자주, 많이 마시는 것으로 나타났다.
      음주 장소는 여자는 집에서 더 자주 술을 마시는 것으로 나타났고, 남자는 집 외의 장소에서 마실 기회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즐겨 마시는 술은 남자는 소주, 맥주, 전통주 순이었고, 여자는 맥주, 소주, 와인 순으로 나타났다. 가장 좋아하는 술은 남자는 소주, 맥주, 전통주 순이었으며, 여자는 맥주, 와인, 소주 순으로 답하였다. 여자가 남자보다 도수가 낮은 술을 선호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전통주를 좋아하는 이유는 ‘맛이 좋아서’, ‘향이 좋아서’를 들었으며, 즐겨먹는 전통주는 청주 및 약주류가 가장 많았으며, 탁주류, 과실주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전통주를 선택하지 않은 이유는 ‘구하기 어려워서’, ‘잘 모르겠다’ 순으로 답하였다.
      선물로 받고 싶은 술은 남자는 전통주, 위스키, 와인 순이었고, 여자는 와인, 전통주, 위스키 순이었다. 선물로 주고 싶은 술은 남자는 전통주, 위스키, 와인 순이었고, 여자는 와인, 전통주, 위스키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남자는 전통주를, 여자는 와인을 선물로 이용하고 싶음을 알 수 있었다.
      전통주 구입경험은 남자가 여자보다, 연령이 높을수록 구입경험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구입이유는 선물하려고, 직접 먹으려고, 제사상에 올리려고 순으로 답하였다.
      전통주에 어울리는 안주는 탁주류에는 전, 김치가 어울린다고 하였으며, 청주 및 약주류는 전, 찜류가 어울리며, 증류주류에는 국물이 있는 찌개, 탕류가 어울린다고 하였다.
      술에 대한 전반적인 인지도는 백세주, 산사춘, 청하, 매실주, 복분자주, 오가피주, 이동막걸리, 쌀막걸리, 안동소주 등의 순으로 인지도가 높았으며, 계명주, 송로주, 향온주, 오메기술, 율주 등은 인지도가 낮았다. 전통주의 인지도가 전통주로 지정되어 있지 않은 술에 비해 인지도가 더 낮게 나타났다. 인지도는 성별과 연령에 따라 차이를 보였으며, 조사대상자 대분분이 전통주에 대해 잘 모르고 있었다.
      전통주에 대해서는 자랑스러운 문화유산이라는 생각이 가장 많았으며, 반면에 아직 발전 하지 못한 술이라는 생각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부분이 조금 이상 전통주에 관심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통주를 발전시키기 위해 전통주 산업이 우선적으로 개선해야 할 점은 구매, 판매 할 수 있는 곳의 증대, 기술 및 경영지원과 산업육성정책 도입, 지역축제 및 향토음식 등과의 복합 상품개발지원과 인증제도에 연계한 체계적인 지원과 육성, 특수원료의 안정적 공급과 주류의 원료 생산지 및 효능표시제도 도입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전통주의 대중화를 위해서는 홍보를 강화하고, 경쟁적 차별성이 있는 전통주를 개발, 품질을 고급화하여 판매, 보급 할 수 있는 유통망을 증대시켜야 하는 것이 시급하고, 전통주의 올바른 교육과 상품화에 대한 홍보 및 마케팅이 강화 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국문요약
      • Ⅰ. 서론 = 1
      • Ⅱ. 문헌적 고찰= 4
      • 1. 전통주의 정의 = 4
      • 목차
      • 국문요약
      • Ⅰ. 서론 = 1
      • Ⅱ. 문헌적 고찰= 4
      • 1. 전통주의 정의 = 4
      • 2. 전통주의 분류 = 4
      • 3. 전통주의 종류 = 8
      • 4. 전통주의 제조 = 10
      • 5. 전통주산업의 현황 = 14
      • Ⅲ. 연구대상 및 방법 = 16
      • 1. 조사대상 및 기간 = 16
      • 2. 설문지의 구성 = 16
      • 3. 분석방법 = 17
      • Ⅵ. 연구결과 및 고찰 = 18
      • 1.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 18
      • 2. 전통주 이용현황 = 20
      • 3. 전통주에 대한 인지도 = 46
      • 4. 전통주에 대한 기호도 = 61
      • 5. 전통주에 대한 인지도와 기호도간의 상관관계 = 75
      • 6. 전통주의 발전방안 = 75
      • Ⅴ. 요약 및 결론 = 80
      • 참고문헌 = 84
      • ABSTRACT = 89
      • APPENDIX = 9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